■ 한국천문연구원은 주요 지역의 2017년 12월 31일 해넘이 시각 및 2018년 1월 1일 해돋이 시각을 발표했다.
□ 2018년 떠오르는 새해 첫 해는 아침 7시 26분에 독도에서 가장 먼저 볼 수 있으며, 7시 31분 울산 간절곶과 방어진을 시작으로 내륙지방에서도 볼 수 있다.
□ 한편 2017년 12월 31일 가장 늦게 해가 지는 곳은 신안 가거도로 17시 40분까지 지는 해를 볼 수 있고, 육지에서는 전남 진도의 세방낙조에서 17시 35분까지 볼 수 있다.
□ 발표한 일출시각은 해발고도 0m를 기준으로 계산된 시각으로 고도가 높을수록 일출 시각이 빨라져 해발고도 100m에서의 실제 일출 시각은 발표시각에 비해 2분가량 빨라진다. (표1 참고)
□ 일출이란 해의 윗부분이 지평선(또는 수평선)에 나타나기 시작할 때를 의미하고, 일몰이란 해의 윗부분이 지평선(또는 수평선) 아래로 사라지는 순간을 의미한다.
□ 기타 지역의 일출·몰 시각은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지식정보 홈페이지(astro.kasi.re.kr)의 생활천문관에서 찾아볼 수 있다.
<표1> 2017년 12월 31일 해넘이 시각 및 2018년 1월 1일 해돋이 시각
각 지방의 연말 해넘이
(2017년 12월 31일)
| 지역 | 해넘이 시각(시,분) |
|---|---|
|
인천백령도 |
17 31 |
|
인천대청도 |
17 32 |
|
인천소청도 |
17 32 |
|
인천연평도 |
17 28 |
|
석모도민머루 |
17 26 |
|
강화도동막 |
17 25 |
|
인천을왕리 |
17 26 |
|
인천월미도 |
17 25 |
|
무의도하나개 |
17 26 |
|
영흥도장경리 |
17 26 |
|
화성전곡항 |
17 26 |
|
화성제부도 |
17 26 |
|
화성궁평 |
17 26 |
|
당진난지도 |
17 27 |
|
당진왜목마을 |
17 27 |
|
서산간월암 |
17 28 |
|
보령대천 |
17 29 |
|
태안만리포 |
17 29 |
|
안면도꽃지 |
17 29 |
|
보령무창포 |
17 29 |
|
서천춘장대 |
17 29 |
|
부안격포 |
17 31 |
|
부안곰소항 |
17 30 |
|
영광가마미 |
17 32 |
|
무안도리포 |
17 32 |
|
진도세방낙조 |
17 35 |
|
완도보길도 |
17 34 |
|
신안흑산항 |
17 37 |
|
신안홍도 |
17 38 |
|
신안가거도 |
17 40 |
|
해남땅끝마을 |
17 34 |
|
제주차귀도 |
17 38 |
|
제주협재 |
17 37 |
|
성산일출봉 |
17 34 |
|
서귀포마라도 |
17 38 |
|
서귀포강정 |
17 37 |
|
서귀포표선 |
17 35 |
|
서귀포이어도 |
17 38 |
|
독도 |
17 05 |
|
울릉도 |
17 08 |
|
부산태종대 |
17 22 |
|
부산다대포 |
17 22 |
|
울산간절곶 |
17 20 |
|
대왕암공원 |
17 19 |
|
울산방어진 |
17 19 |
|
울산주전몽돌 |
17 19 |
|
감포수중릉 |
17 18 |
|
포항호미곶 |
17 17 |
|
포항구룡포 |
17 17 |
|
포항칠포 |
17 18 |
|
포항화진 |
17 17 |
|
영덕장사 |
17 17 |
|
영덕고래불 |
17 16 |
|
울진망양정 |
17 15 |
|
울진죽변 |
17 15 |
|
삼척맹방 |
17 15 |
|
동해추암 |
17 15 |
|
동해망상 |
17 15 |
|
강릉정동진 |
17 15 |
|
강릉경포대 |
17 15 |
|
강릉주문진 |
17 15 |
|
양양하조대 |
17 15 |
|
양양낙산 |
17 15 |
|
속초항 |
17 15 |
|
고성백도 |
17 15 |
|
고성송지호 |
17 15 |
|
고성화진포 |
17 15 |
|
거제학동몽돌 |
17 24 |
|
고흥외나로도 |
17 30 |
|
서울 |
17 23 |
|
세종 |
17 25 |
|
대전 |
17 25 |
|
대구 |
17 22 |
|
부산 |
17 21 |
|
광주 |
17 30 |
|
인천 |
17 25 |
|
울산 |
17 20 |
|
해발고도
[m] |
일출시각 차이 [min] |
|---|---|
|
0 |
0 |
|
20-30 |
-1 |
|
100 |
-2 |
|
200 |
-3 |
|
400 |
-4 |
|
600 |
-5 |
|
900 |
-6 |
|
1200 |
-7 |
|
1550 |
-8 |
|
2000 |
-9 |
각 지방의 새해 해돋이
(2018년 1월 1일)
| 지역 | 해돋이 시각(시,분) |
|---|---|
|
인천백령도 |
07 57 |
|
인천대청도 |
07 57 |
|
인천소청도 |
07 56 |
|
인천연평도 |
07 52 |
|
석모도민머루 |
07 50 |
|
강화도동막 |
07 49 |
|
인천을왕리 |
07 49 |
|
인천월미도 |
07 48 |
|
무의도하나개 |
07 49 |
|
영흥도장경리 |
07 48 |
|
화성전곡항 |
07 47 |
|
화성제부도 |
07 47 |
|
화성궁평 |
07 47 |
|
당진난지도 |
07 48 |
|
당진왜목마을 |
07 47 |
|
서산간월암 |
07 47 |
|
보령대천 |
07 45 |
|
태안만리포 |
07 48 |
|
안면도꽃지 |
07 46 |
|
보령무창포 |
07 45 |
|
서천춘장대 |
07 45 |
|
부안격포 |
07 44 |
|
부안곰소항 |
07 43 |
|
영광가마미 |
07 43 |
|
무안도리포 |
07 43 |
|
진도세방낙조 |
07 42 |
|
완도보길도 |
07 40 |
|
신안흑산항 |
07 45 |
|
신안홍도 |
07 46 |
|
신안가거도 |
07 45 |
|
해남땅끝마을 |
07 40 |
|
제주차귀도 |
07 39 |
|
제주협재 |
07 39 |
|
성산일출봉 |
07 36 |
|
서귀포마라도 |
07 38 |
|
서귀포강정 |
07 38 |
|
서귀포표선 |
07 36 |
|
서귀포이어도 |
07 38 |
|
독도 |
07 26 |
|
울릉도 |
07 31 |
|
부산태종대 |
07 32 |
|
부산다대포 |
07 32 |
|
울산간절곶 |
07 31 |
|
대왕암공원 |
07 31 |
|
울산방어진 |
07 31 |
|
울산주전몽돌 |
07 32 |
|
감포수중릉 |
07 32 |
|
포항호미곶 |
07 32 |
|
포항구룡포 |
07 32 |
|
포항칠포 |
07 33 |
|
포항화진 |
07 34 |
|
영덕장사 |
07 34 |
|
영덕고래불 |
07 35 |
|
울진망양정 |
07 35 |
|
울진죽변 |
07 36 |
|
삼척맹방 |
07 37 |
|
동해추암 |
07 38 |
|
동해망상 |
07 38 |
|
강릉정동진 |
07 39 |
|
강릉경포대 |
07 40 |
|
강릉주문진 |
07 40 |
|
양양하조대 |
07 41 |
|
양양낙산 |
07 42 |
|
속초항 |
07 42 |
|
고성백도 |
07 43 |
|
고성송지호 |
07 43 |
|
고성화진포 |
07 43 |
|
거제학동몽돌 |
07 33 |
|
고흥외나로도 |
07 36 |
|
서울 |
07 47 |
|
세종 |
07 43 |
|
대전 |
07 42 |
|
대구 |
07 36 |
|
부산 |
07 32 |
|
광주 |
07 41 |
|
인천 |
07 48 |
|
울산 |
07 32 |
|
가지산 |
07 34 |
|
내연산 |
07 34 |
|
두타산 |
07 38 |
|
보현산 |
07 35 |
|
설악산 |
07 42 |
|
소백산 |
07 39 |
|
오대산 |
07 41 |
|
응봉산 |
07 37 |
|
주왕산 |
07 35 |
|
청량산 |
07 37 |
|
토함산 |
07 32 |
|
팔공산 |
07 36 |
[문의]
☎ 042-865-2195, 글로벌협력실 정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