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천문연구원 우주환경감시실 개소- 태양활동에 의한 지구근접 우주환경 변화 감시 - 2007-02-26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석재)은 2007년 2월 27일(화요일) 우주환경감시실(Space Weather Monitoring Lab)을 개소한다. 이번에 개소하는 우주환경감시실은 국내에서 최초로 시도되는 본격적인 우주환경 감시와 예보의 출발점이 될 것이다.

 

○ 한국천문연구원(이하 ‘천문(연)’)에서는 올해부터 5년간 우주환경예보센터 구축사업을 시작한다. 이 사업은 국내․외 우주환경 감시 자료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예보함으로써 급격한 태양활동과 지구근접 우주환경 변화에 의한 21세기형 우주재난을 대비하기 위한 것으로 이번에 개소하는 감시실은 이 사업의 첫 출발이 된다.

 

○ 우주환경감시실은 현재까지 천문(연)에서 개발한 우주환경감시 시스템을 통합 분석하기 위해 구축되었다. 이 감시시스템에서는 우주환경 3가지 기본요소인 태양 복사, 고에너지 입자, 그리고 지자기장의 변화를 분석ㆍ예보한다. 또한 지구 전리층 전자밀도의 변화, 태양활동 및 태양풍 변화, 전지구적 단파통신 최적 주파수 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태양 충격파의 지구 전달 시간 및 자기권계면 위치 예보를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자료들은 위성의 발사 및 운용, 무선 통신 운용 및 장애 원인 파악 등에 활용된다.

 

○ 향후 천문(연)은 국내 우주환경 감시를 위한 우주환경 관측시스템을 개발하고, 국내외 우주환경 자료를 위한 데이터 센터를 운용할 계획이다. 또한 우주환경 정보 사용자를 위한 종합적인 예ㆍ경보 모델을 개발하여 독자적인 우주환경예보센터를 2011년까지 구축할 계획이다.  2011년은 태양활동의 극대기로 예견되고 있으며 이 시기에 예상되는 인공위성의 궤도 이탈, 우주비행사의 생명 위협, 인공위성의 수명 단축과 고장, HF, UHF/VHF, 위성통신의 장애, 군사적 피해 등 우주재난을 최소화 하는데 활용될 예정이다.

 

 

■ 우주환경

  우주환경이란 지구 상층의 전리층부터 열권과 자기권을 비롯하여 행성 간 공간에 이르는 우주공간을 통칭한다.  태양은 때때로 급격한 자기장 폭발을 일으키고 이러한 태양활동은 인공위성 및 무선 통신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한국천문연구원 태양우주환경 그룹

  한국천문연구원 태양우주환경그룹에서는 핵심우주기술사업의 일환으로 우주환경감시센터 기반기술 개발, 태양관측자료의 우주환경 응용기술 개발 등을 수행하여 태양 및 우주환경과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활동을 위해 고분해능의 태양전면 H-alpha 관측시스템(H-alpha Full Disk Monitoring System)과 인공 개기일식장치인 코로나그래프(Coronagraph) 등을 개발하였다.  

 

  2004년 7월부터는 태양폭발 위치감지 및 관측 기술개발의 일환으로 미국의 뉴저지 공과대학과 공동으로 태양 마이크로파 스펙트럼과 태양전파폭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태양전파폭발 위치감지시스템(Korean Solar Radio Burst Locator)과 세계 최대의 태양망원경(New Solar Telescope)을 개발 중에 있다.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문용재 그룹장 : 042-865-3249 (연구실), yjmoon@kasi.re.kr

                                 최성환 연구원 : 042-865-3214 (연구실), shchoi@kasi.re.kr

         한국천문연구원 우주환경감시실 웹페이지 : http://sos.kasi.re.kr

 

#FileLink0#

그림 1. 우주환경변화에 따르는 여러 영향들

 

#FileLink1#

그림 2. 우주환경감시실 모습

 

#FileLink2#

그림 3. 우주환경 모니터링 웹페이지 화면 모습(http://sos.kasi.re.kr)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