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어떤 상황인가?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석재)은 우리나라 시간으로 2월 15일 오전 10시 44분에서 56분 사이에 플레어 폭발 (X2.2)이 있었다고 밝혔다. 이번 태양 폭발은 X등급으로 대단히 강력한 폭발로 분류된다.
2. 지구에 어떤 영향을 주었나?
플레어 현상은 태양활동에 따른 강력한 폭발로 빛의 속도로 지구에 도달하게 된다. 따라서 이번 태양폭발 현상은 이미 전리층에 영향을 주어 아마추어무선통신 등 단파통신에 영향을 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한국천문연구원에서 모니터링하는 전리층 관측자료에도 변화가 있었다.
이 폭발현상의 특이한 점은 이번 폭발과 동시에 태양대기물질방출(CME)이 함께 발생했다는 점이다. CME (Coronal Mass Ejection)란 태양폭발 시 발생하는 고속의 플라즈마입자로 지구에 도달하기까지 1-2일 정도 소요된다. 한국천문연구원에서 개발한 우주환경예보모델에 따르면 이 태양 플라즈마는 초속 900km 속도로 지구를 향하고 있으며 우리시간으로 17일 밤에서 18일 새벽 사이 지구에 도착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태양 플라즈마 입자가 지구에 도착하게 되면 지구 자기장에 영향을 미쳐 전파교란(통신 잡음 증가)이나 인공위성 운영 장애등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일상생활에는 큰 영향을 주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3. 언제 이정도 규모의 태양활동이 있었나..?
이 정도 규모의 태양폭발은 지난 2006년 12월 발생했으며 이 때 역시 단파통신 장애가 보고되었다. 주목할 점은 이번 폭발이 2012년으로 예상되는 24번째 태양흑점주기까지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번 폭발로 인한 전리층 교란은 위성통신에도 영향을 줄 수 있으며 특히 GPS 등 위성항법시스템을 활용한 정밀 측위(지구상 위치측정)에 오차를 유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태양우주환경연구그룹 조경석 042-865-3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