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석재)은 지난 3월 11일 발생한 일본대지진의 영향으로 한반도가 최대 5cm까지 이동한 것으로 분석되었다고 발표하였다.
○ 한국천문연구원의 국내 GPS 관측망 자료 분석에 따르면 지진 발생 직후 한반도 지각이 1cm에서 5cm까지 동쪽으로 이동하였으며 특히 진원지와 가까운 독도와 울릉도의 경우 상대적으로 더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 이번 일본의 강진에 의하여 일본 본토가 동쪽으로 약 2.4m 움직였다는 분석이 미 지질조사국에 의하여 발표된 바 있으며, 한국천문연구원의 예비분석결과도 지역에 따라 2m 내외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 이와 같은 결과는 이번 강진에 의하여 일본이 한반도로부터 동쪽으로 2m 이상 멀어졌으며, 인접한 한반도의 지각 또한 적지 않은 영향을 받은 것을 보여 주고 있다.
○ 이와 같은 결과는 지진에 의한 한반도 지각변위를 국내 GPS 관측망 자료로부터 직접 산출한 첫 사례로서 의미가 있으며, 지진에 의한 한반도 지각변위가 일시적인 것인지 또는 지속적인 것인지에 대한 추가적인 감시가 필요하다고 한국천문연구원은 밝혔다.
○ 현재 국내에는 약 90여개의 GPS 상시관측소가 운영되고 있으며, 이번 분석을 위하여 한국천문연구원의 9개 GPS 관측소 및 국토해양부 위성항법중앙사무소의 2개 GPS 관측소 자료를 처리하였다.
<참고자료>
[그림 1] 지진으로 인한 GPS 기준점의 위치변화
그림 속의 별은 지진 발생 지점이며 화살표는 각각 GPS 기준점의 위치변화의 방향과 크기를 나타낸 것이다.
진원에 가까울수록 위치변화가 크며 멀어질수록 작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림 2] 지진 발생 전후의 GPS 기준점의 동쪽방향 위치변화
가로축은 시간변화, 세로축은 변위의 크기(단위 cm)이며
위의 그림은 독도 GPS 기준점, 아래 그림은 서울 GPS 기준점이다.
지진 발생시점 이후 급격하게 변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진원과 가까이 위치한 독도 기준점의 변위가 더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국내 GPS 관측소에서 관측된 변위크기>
위치 | 단위(cm) | ||||||
---|---|---|---|---|---|---|---|
GPS 관측소 |
지명 |
경도 |
위도 |
동쪽방향 |
오차 |
북쪽방향 |
오차 |
BHAO |
보현산 |
128.9763 |
36.1637 |
2.37 |
0.22 |
0.49 |
0.11 |
DAEJ |
대전 |
127.3745 |
36.3994 |
1.96 |
0.26 |
0.17 |
0.22 |
DOKD |
독도 |
131.8699 |
37.2393 |
5.16 |
0.22 |
0.31 |
0.08 |
JEJU |
제주 |
126.4622 |
33.2883 |
0.89 |
0.28 |
0.34 |
0.21 |
KOHG |
고흥 |
127.5192 |
34.4538 |
1.33 |
0.11 |
0.41 |
0.17 |
MKPO |
목포 |
126.3814 |
34.8169 |
1.21 |
0.26 |
0.33 |
0.2 |
MLYN |
밀양 |
128.7440 |
35.4914 |
1.97 |
0.14 |
0.46 |
0.05 |
SBAO |
소백산 |
128.4569 |
36.9342 |
2.43 |
0.36 |
0.44 |
0.19 |
SKCH |
속초 |
128.5648 |
38.2510 |
3.4 |
0.21 |
-0.08 |
0.32 |
SKMA |
서울 |
126.9180 |
37.4935 |
2.11 |
0.13 |
0.07 |
0.13 |
ULLE |
울릉도 |
130.7977 |
37.5184 |
4.07 |
0.28 |
0.35 |
0.1 |
문의
한국천문연구원 우주과학연구본부 우주측지연구그룹장 조성기 042-865-3236
우주과학연구본부장 박종욱 042-865-3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