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천문연구원 박필호 원장은 7월 20일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일본국립천문대 미야마 쇼켄 대장과 동아시아 우주전파관측 연구의 허브가 될 ‘한일상관센터’의 공동운영을 위한 합의 각서에 조인하였다.
○ ‘한일상관센터(Korea-Japan Correlation Center, KJCC)’에는 한국이 일본과 공동으로 개발한 세계 최고 속도의 우주전파관측 자료 처리 장치가 설치되어, 총 16개 전파망원경으로부터 초당 1 기가바이트씩의 관측 자료를 처리할 수 있는 세계 최고의 시설이다. 이 센터는 지난 2010년 5월 13일 개소하여 한국과 일본은 물론 동아시아 지역의 천문학과 측성학 분야의 우주전파 관측연구의 중심 허브 역할을 수행할 준비를 진행해 왔었다.
○‘한일상관센터’의 핵심 장비인 ‘한일공동VLBI상관기(Korea-Japan Joint VLBI Correlator, KJJVC)’는 여러 대의 전파망원경을 연결하여 관측하는 우주전파관측망(VLBI, Very Long Baseline Interferometer) 시스템의 핵심 장비로서, 한국천문연구원과 일본국립천문대 사이의 공동개발 협정(2005년 7월 7일)을 바탕으로 2006년부터 개발하여 최근에 전체 시스템이 완성되었다.
○KJJVC는 한국천문연구원의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의 관측 자료 뿐만 아니라 일본국립천문대의 VERA 관측망 및 일본 내의 대학연구관측망(JVN)과의 공동 관측 자료를 전담 처리하는데 활용된다. 기존 KVN만으로는 직경 500km 전파망원경의 성능을 기대할 수 있지만, 한일 공동 관측연구를 통해 직경 2,000km의 전파망원경 성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향후 중국의 VLBI관측망(CVN)과 공동 관측연구를 수행할 경우 직경 5000km의 전파망원경 성능에 이르게 된다.
○ 기존의 VLBI 자료처리 센터는 일본국립천문대가 위치한 동경의 미타카 상관센터로 1Gbps (초당 128메가바이트 속도)로 최대 5개 관측국의 우주전파 관측 자료를 처리할 수 있다. 한일상관센터는 한국천문연구원의 KVN 3개 관측국과 일본국립천문대의 VERA 4개 관측국을 포함한 7개 관측국의 우주전파 관측 자료뿐만 아니라 최대 16개 전파망원경으로 8Gbps(초당 1기가바이트 속도 )의 관측 자료를 처리할 수 있으므로 동아시아 지역에서 세계 최고 성능의 새로운 자료처리센터로서 자리매김 할 것이다.
○ 한일상관센터(KJCC)의 실질적인 공동운영에 대한 이번 합의에 따라 한국천문연구원은 한일공동 VLBI 상관기(KJJVC)를 비롯한 상관센터의 운영을 담당하고 KJJVC를 위한 공간 등의 인프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일본국립천문대는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제공한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운영 경비를 분담하고, 미타카 상관센터의 운영 경험을 전수하는 등 상호협력을 통하여 운영효율을 극대화하게 되었다.
○ 이날 한일상관센터 공동운영 합의각서 조인식에는 양국의 우주전파관측 연구자가 참석한 가운데 박필호 한국천문연구원장과 미야마 쇼켄 일본국립천문대장이 ‘한일상관센터 공동운영 합의각서’에 서명하였다.
○ 한국천문연구원 오세진박사는 ‘이번 조인식을 통해 한국과 일본이 공동으로 개발한 한일공동VLBI상관기(KJJVC)의 실질적인 공동운영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고 밝히며, ‘2012년 정상운영이 시작되면 미국의 VLBA 상관센터, 유럽의 JIVE 상관센터보다 우수한 성능을 가진 세계적인 우주전파 처리센터로 발돋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보충자료]
○ 한일공동VLBI상관기 (Korea-Japan Joint VLBI Correlator, KJJVC) :
한국과 일본이 분담하여 개발한 ‘한일공동VLBI상관기’는 최대 16기의 전파망원경으로 구성되는 우주전파관측망에 대하여, 각 전파망원경 당 최대 1 기가바이트/초의 관측 자료를 넘겨받아 처리할 수 있는 세계 최고 속도의 우주전파관측 자료 처리장치이다. 관측 자료를 담는 매체로 KVN 표준의 하드디스크 형과 VERA 표준의 카셋트 테이프 형, 그리고 미래지향의 광네트워크 형을 모두 호환하여 처리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최대 주파수 분해능은 광대역(512MHz) 관측모드에서 3.9kHz, 협대역(16MHz) 관측 모드에서 122Hz의 성능을 자랑하며, 이는 22GHz 관측의 경우 천체의 움직임에 대해 각각 53.3 m/sec 및 1.66 m/sec의 속도차를 검출해 낼 수 있는 성능이 있다. 카메라의 노출시간에 해당하는 적분 시간은 최소 25.6 밀리 초부터 최대 10.24초까지 조절할 수 있어서, 다양한 관측목적에 대응할 수 있다. ‘한일공동VLBI상관기’는 현존하는 세계 최고 속도의 상관처리장치에 걸맞게 초당 최대 1.4 기가바이트의 우주전파 자료처리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 한일상관센터에 설치된 각 기관에서 분담한 시스템들
ο 한국천문연구원
- 고속재생기(Mark5B 시스템) 4sets
- VLBI 상관기 시스템(VLBI Correlator System) 1set
- 자료 아카이브 시스템(Data Archive System) 1set
- 관련 소프트웨어 및 제어 PC
ο 일본국립천문대
- 고속재생기(VERA2000(DMS 포함))
- 자료동기재생처리시스템(Raw VLBI Data Buffer)
- 관련 소프트웨어 및 제어 PC
○ 일본국립천문대의 한일상관센터 공동운영 주요 분담내역
ο 상관센터에서 근무하는 운영요원, 자료 분석가, 박사후연구원 등의 인건비
ο 상관센터의 시설 유지비용
ο VLBI 기록미디어의 운송비용(상관센터→각 관측국)과 상관결과를 관측자에게 제공하는 비용
○ 한일상관센터의 담당 업무
ο 상관기 시스템의 운영과 유지보수
ο VLBI 기록미디어의 운송과 보관 관리
ο VLBI 관측 자료의 상관처리
ο 상관처리 결과의 Quality를 확인하고 VLBI 관측 시스템을 포함한 시스템 유지보수 보고
ο 상관결과를 저장하고 관련 자료베이스의 유지보수
ο 상관처리 결과를 관측자들에게 배포
[그림1] 한일상관센터에 설치된 한일공동VLBI상관기의 모습
[그림2] 한일상관센터(KJCC)가 담당하게 될 VLBI관측망
[용어설명]
○ VLBI : 초장기선 전파간섭계(超長基線 電波干涉計), Very Long Baseline Interferometer의 약자로 멀리 떨어진 여러 전파망원경을 동시 운용함으로써 망원경들이 떨어진 거리만큼 거대한 망원경이 구현할 수 있는 해상도를 얻는 관측 기술이다. 은하의 중심구조, 블랙홀의 모습 등 멀리 있는 천체의 상세 관측에 주로 사용된다.
○ KVN : 한국우주전파관측망. Korean VLBI Network. 서울(연세대), 울산(울산대) 및 제주(탐라대)에 설치된 21m 전파망원경 3기로 구성된 VLBI관측망. 다중 주파수 동시관측이 특기.
http://kvn-web.kasi.re.kr/
○ VERA : 일본국립천문대 소속의 VLBI 관측망. VLBI Exploration of Radio Astronomy의 줄임말. 미즈사와, 이리키, 이시가키지마 및 오가사와라에 설치된 20m 전파망원경 4기로 구성된 VLBI관측망. 2빔 동시관측이 특기.
http://www.miz.nao.ac.jp/index.html
○ JVN : 일본내 대학연합 VLBI관측망. Japan VLBI Network의 줄임말. 일본국립천문대를 주축으로 일본내 대학이 연합하여 운용하는 VLBI관측망. 관측주파수가 낮은 편이나 큰 전파망원경이 포함되어 집광력이 좋은 점이 특징.
http://www.astro.sci.yamaguchi-u.ac.jp/~kenta/jvnhp/
○ EAVN : 동아시아VLBI관측망. East Asian VLBI Network의 줄임말. 한국의 KVN, 일본의 VERA 및 JVN, 중국의 CVN이 협력하여 구성하는 거대 VLBI 관측망. 한일상관센터의 상관처리 능력을 기반으로 동아시아권(한중일)의 전파망원경을 망라하는 국제협력을 통해 달성할 예정으로, 계획대로 이루어지면 미국의 VLBA, 유럽의 EVN에 필적하는 성능을 확보하게 됨.
[사진1] 협약 조인식
문의
한국천문연구원 전파천문사업센터 오세진 02-2012-7541
전파천문본부장 김현구 02-2012-7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