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는 우리나라 독자적으로 인공위성을 상시 감시할 수 있는「우주물체 전자광학감시 시스템」을 개발해 11월 12일 몽골 천문 및 지구물리 관측소에 첫 번째 광학 관측소를 설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우주물체 전자광학감시시스템은 미국에 의존하던 인공위성궤도 자료를 우리나라가 독자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 이에 따라 현재 운영 및 폐기된 저궤도 인공위성의 궤도 정보를 지속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고, 한반도 정지궤도 영역을 상시 관측해 위성보유국으로서 기본적인 우주정보 획득 및 우주자산 보호 능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필호)은 지난 3년 동안 구경 50cm 광시야 망원경과 CCD카메라, 고속 위성 추적 마운트로 구성된 우주물체 광학 감시시스템을 개발해 연구원 내에 설치 및 시험가동에 성공했다.
○ 이 시스템은 전자동망원경을 이용한 세계 최초의 우주물체 광학 감시 시스템으로 국내 독자기술로 다중궤적 관측을 통한 우주물체 위치정보 획득 방법 실용화에 성공했다는 의미를 갖는다.
○ 특히, 관측계획의 수립부터 관측결과 분석까지 모든 과정을 로보틱스와 자동화된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진행할 수 있어 오류가 최소화됐으며, 관측 자료의 수신,처리 및 관측소 운용 전 과정을 무인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어 24시간 우주 감시가 가능해졌다.
○ 올해 11월 몽골 지역의 관측소 설치를 시작으로 카자흐스탄, 뉴질랜드 지역에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글로벌 우주물체 전자광학감시네트워크 구축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 한편, 본 사업은 국가현안 해결형 사업(NAP) 일환으로 추진되어 우주물체 전자광학감시시스템의 국산화 및 기술 확보에 다양한 국내 중소기업이 참여했다.
○ ㈜레인보우(KAIST 휴보랩 창업벤처)는 ‘마운트와 망원경 제어 기술’, ㈜지솔루션은 ‘관측소 운영시스템’, ㈜데코컴포지트는 ‘관측 돔과 캡슐형 관측소’ 개발을 담당해 핵심 우주기술을 확보했다.
○ 이번에 확보된 우주물체 전자광학감시시스템 개발 기술은 공군의 ‘전자광학 위성감시체계 구축사업’에 직접 활용될 예정이며, 국가 우주위험대비를 위한 감시체계 구축 등에 활용되어 우주산업 기반을 확대하고 신산업 창출에 기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붙임 1.「우주물체 전자광학 시스템」테스트베드 및 관측 영상
붙임 2. 우주물체 전자광학 감시체계 기술개발 사업 개요
자료문의
02-2110-2440 미래창조과학부 우주기술과 박경수과장
02-2110-2449 미래창조과학부 우주기술과 윤희봉사무관
042-865-5638 한국천문연구원 우주감시센터 박장현센터장
좌측은 「우주물체 전자광학 시스템」테스트베드 및 관측 영상, 우측은 한국천문연구원 내 설치된 우주물체 광학감시시스템(실제)
다목적실용위성 1호 궤적 영상
- 위성 : ’99.12. 발사, ’08.2. 운용 종료
- 관측 : ’13.9.26 05:37:41±2(천문연(대전))
- 중심좌표 : 방위각 108.8°, 고도27.3°
과학기술위성 1호 궤적 영상
- 위성 : ’03.9. 발사, ’09.5. 운용 종료
- 관측 : ’13.9.26 05:46:51±2(천문연(대전))
- 중심좌표 : 방위각 159.2°, 고도30.9°
우주물체 전자광학 감시체계 기술개발사업 개요
□ 사업목적
우주물체로부터 국가우주자산을 보호하고 국가안보 및 사회안전 위협요소에 대응하기 위한 전자광학 감시체계 기술 개발
- 독자적 우주정보 생성 : 1500km 이하 저궤도위성에 대한 궤도정보 독자생산, 한반도 정지위성 벨트 감시(자국위성 및 미확인 위성)
- 자국위성 충돌 방지 : 우주잔해물 충돌후보 감시, 충돌 예보시스템 구축 (10cm 급 20% 충돌관리)
□ 사업내용
구분 | 내용 |
---|---|
사업기간 | ‘11년~'16년 |
총사업비 | 비240억원(’12년까지 기 투자액 : 63억원) |
지원조건 | 출연 및 수탁 |
사업시행주체 | 한국천문연구원 |
□ 사업 필요성
ㅇ 인공위성과 우주잔해물의 기하급수적 증가에 따른 우주물체 간 충돌, 위성 기능장애 등 국가우주자산에 대한 위협 증대
ㅇ 한반도 상공의 우주물체에 대한 국가안보 차원의 독자적 우주정보 획득 필요성 대두
ㅇ 우주물체 추락 등 우주재난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위협과 사회적 관심 증가
□ 사업 기대효과
ㅇ 우주감시 능력 조기보유(광학+레이저)
- 미확인 위성의 궤도 추적을 통한 임무 파악 및 대응
- 한반도 상공 통과 위성에 대한 위성정보 확보
· 대미 의존에서 탈피 및 독자적 우주정보 획득체계 구축
ㅇ 우주개발 기반 기술의 확보
- 국내 위성의 궤도 예측을 통한 독자적 위성 감시
· 우주미아 방지, 우주잔해물 등과의 충돌 경고 등
□ 국외현황
ㅇ 미국, 북미방공사령부 산하 4개의 전자광학추적소와 20여개의 레이더 감시시설, 8개의 레이저 추적시설을 운영 중
ㅇ 일본, 1998년 북한의 광명성 사건 이후 5개년 계획으로 광학 및 전파감시시설 구축 완료
ㅇ 유럽, 19개소의 인공위성 레이저 추적시설 운영
첨부파일(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