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작성한 "윤초"관련 보도자료는 미래창조과학부에서 배포하였습니다.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는 4월 22일(현지시각) 박근혜 대통령의 남미 순방을 계기로 한-칠레 양국 간 천문 우주 과학분야 협력을 도모하기 위하여 한국 천문연구원(원장: 한인우)과 칠레과학기술위원회(위원장: 프란시스코 브리에바 로드리게즈, Francisco Brieva Rodr?guez)간 양해각서(MoU)를 체결하였다고 밝혔다.
ㅇ 금번 양해각서 체결을 통해 양 국 천문연구기관이 함께 연구사업을 발굴 지원하고, 박사 후 연구원 프로그램 및 대학원 과정을 공동운영하는 등 천문우주과학분야 연구협력이 활성화 될 전망이다.
□ 칠레에는 일반적으로 천체관측에 유리한 조건인 도시의 빛으로부터 멀고, 대기가 희박한 고산지대가 존재해 남반구에서 천체관측을 위한 최적지로 손꼽혀 세계 유수의 대형 관측 시설이 건설되고 있다.
ㅇ 현재 시각은 지구 자전과 공전에 기초한 천문시와 거의 일정한 시간 간격의 원자시계에 의한 원자시의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유지하도록 정하고 있다.
□ 우리나라도 한국천문연구원을 중심으로 칠레에 건설되고 있는 대형 망원경 구축 사업에 적극 참여하여 선진국들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연구역량을 증진시켜 나가고 있다.
ㅇ 일례로 한국천문연구원은 지난 2009년부터 미국 카네기연구소, 하버드대, 호주국립대 등 천문연구기관들과 대형 광학망원경인 거대 마젤란 망원경(Giant Magellan Telescope, GMT) 개발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이 망원경은 지름 25m의 초대형 망원경으로 건설이 완료될 경우 현존 최대 광학망원경인 하와이 망원경(Keck)의 2배에 해당된다.
ㅇ 이 뿐만 아니라 미국 국립전파천문대, 유럽 남방천문대, 일본국립천문대 등과 함께 칠레 아타카마 사막에 건설된 알마(ALMA, Atacama Large Millimeter Array) 전파망원경을 활용한 천문연구에도 참여하고 있다.
※ 알마 망원경은 지름 7~12m 망원경 총 66기를 활용한 현존하는 최대 전파망원경 네트워크로 16km 규모의 단일 망원경으로 관측하는 효과를 냄
□ 칠레는 위와 같은 천문관측시설들이 들어서는 부지를 제공하는 조건으로 일반적으로 관측시간의 약 10%정도를 할당받고 있어, 천문우주 연구를 위한 유리한 여건을 갖고 있다.
ㅇ 이번 양해각서 체결로 한국과 칠레의 연구자들이 칠레의 관측 여건를 활용한 공동연구가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되어, 향후 한국의 천문학적 성과의 비약적 도약을 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ㅇ 또한 칠레와의 대학원과정 공동운영 등 천문우주교육과 인재양성을 위한 협력을 통해 국제사회에 한국천문학의 우수성을 알리고, 천문우주분야 글로벌 인재 양성을 위한 교두보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한편 양해각서 체결식에 참석한 최양희 장관은 프란시스코 브리에바 로드리게스 칠레 과학기술위원회 위원장과의 면담에서 금번 양해각서 체결을 통해 양국의 천문우주분야 발전에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며 양국 간의 협력을 강조했다.
[자료문의]
☎ 042-865-3324 한국천문연구원 글로벌협력실 이경숙 선임행정원
첨부파일(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