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천문연구원(원장: 한인우)은 2015년 6월 30일 한국과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이태리, 러시아, 인도, 칠레, 남아공, 호주 등 전 세계 23개국에서 제1회 ‘소행성의 날’(Asteroid Day) 행사가 공동 개최된다고 발표했다.
이 행사는 20세기 최대 충돌사건으로 기록된 퉁구스카 대폭발(1908년 6월 30일 시베리아 퉁구스카에서 발생)을 기념하기 위한 전 지구적 이벤트다. 당시의 폭발 에너지로부터 지름 40m급 석질 소행성이 지구 상층대기에서 파괴된 것으로 추정되며, 그 결과 2000km2에 달하는 지역이 초토화되었다.
■‘소행성의 날’ 선포자들은 이처럼 지구에 위협을 줄 수 있는 40m급 소행성 100만개 중에 단 1% 밖에 발견되지 않았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에, 소행성과 충돌재난에 관한 지구촌 시민들의 인식을 제고하는 한편, 미래에 닥칠 수 있는 재난에 대비, 그 해결책을 찾아보자는 취지에서 행사를 기획했다.
지구에 잠재적인 위협이 되는 소행성은 매년 1000개가량 발견되고 있지만, 이를 100배 늘려 매년 10만개를 찾고, 향후 10년간 100만개를 발견하는 것이 행사의 목적 중 하나이다.
국내에서는 한국천문연구원이 외계행성탐색시스템(Korea Microlensing Telescope Network, KMTNet)을 활용해 이들 소행성을 발견하고 그 특성을 밝히는 연구에 착수했으며, 현재 시험관측 중에 있다.
■ 이 행사에는 영국 과학관(Science Museum)을 비롯해 세계 56개소에서 열리며, 록 밴드 퀸(Queen)의 기타리스트이자 천문학자인 브라이언 메이(Brian May), 영화‘인터스텔라’를 자문한 킵 쏜(Kip Thorne), 생물학자 리처드 도킨스(Richard Dawkins), 아폴로 우주인 러스티 슈바이카르트(Rusty Schweickart)와 왕립천문학자 마틴 리즈경(Lord Martin Rees) 등 명사 100명이 서명했다.
‘소행성의 날’에는 전 세계 23개국에서 교육, 강연, 각종 공연, 공동체 행사와 같은 오프라인 행사와 함께, 각종 인터넷 플랫폼을 기반으로 SNS, 라이브 스트리밍을 활용해 온라인 공간에서도 다채로운 이벤트가 펼쳐진다.
■ 한국에서는 한국천문연구원과 한국천문학회, 한국우주과학회, 국립과천과학관, 한국천문우주과학관협회가 공동으로 포럼과 선포식 그리고 공개행사를 추진했다. 그러나 중동호흡기증후군(MERS)의 여파로 일부 행사가 취소 또는 연기되었다.
‘소행성의 날’ 포럼과, 국립과천과학관에서 개최 예정이던 일반 행사는 상황이 호전되는 대로 열릴 예정이다. ‘소행성의 날’선포식은 온라인 행사로 대체되며, 6월 27일부터 웹 사이트(ad2015.kasi.re.kr)에 자료가 공개된다.
■ 제1회‘소행성의 날’에는 최문기(전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이상천(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장), 최재천(국립생태원장), 오준호(KAIST 교수), 정관용(시사평론가), 윤태호(만화가), 장준환(영화감독), 송호준(미디어아티스트) 등 각 분야를 대표하는 103명의 전문가들의 명단과, 국내 선포문, 영상자료를 온라인으로 제공한다.
103인의 선포인 가운데는 천문학자, 수학자, 물리학자, 화학자, 지질학자, 생물학자와 같은 자연과학자 외에도 기계공학, 전자공학, 우주공학, 인지공학, 의공학 전공 엔지니어들도 다수 참여한다.
이밖에, 철학자, 역사학자, 사회학자, 시인, 소설가, 극작가, 도서평론가, SF 평론가, 미술비평가, 만화가, 만화평론가, 미디어아티스트, 영화감독, 변호사 외에도 천체사진가, 과학 커뮤니케이터, PD, 기자, 시사평론가, 논설위원 등 각계 명망가들이 ‘소행성의 날’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그 구성은 대학 31명, 연구원 24명, 정부기관 4명, 기업 8명, 과학커뮤니케이터 11명, 언론, 방송인 8명, 문화계 17명이다.
■ ‘소행성의 날’참여를 원하는 일반인은 웹 사이트(ad2015.kasi.re.kr)에 접속해 본인 이름과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면 누구나 전 지구적인 이벤트의 주인공이 될 수 있다.
※ ‘소행성의 날’이벤트를 주관하는 영국 웹 사이트 주소 : www.asteroidday.org/
※ ‘소행성의 날’해외 서명인 100인의 영국 웹 사이트 주소: www.asteroidday.org/signatories-list
※ ‘소행성의 날’한국 웹 사이트 주소: ad2015.kasi.re.kr
[ 참고자료 1] 국내 행사
당초 제1회 ‘소행성의 날’ 국내 이벤트는 아래와 같이 이틀에 걸쳐 각기 성격이 다른 두 가지 행사로 아래와 같이 계획되었다. 그러나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여파로 ‘소행성의 날’ 선포식은 취소됐고, ‘하늘과 별 국민포럼’은 무기한 연기하기로 결정됐다. 7월 4일 국립과천과학관에서 열릴 예정이던 일반 공개행사 일정은 추후 공지된다. 하지만 ‘소행성의 날’ 웹 사이트를 열어 인터넷 공간에서 ‘소행성의 날’을 선포하고 행사를 위해 준비했던 자료를 일반에 공개한다
제1회 ‘소행성의 날’ 선포식 (취소)
- 일시: 2015년 6월 30일
- 장소: 국립과천과학관 천체투영관
- 내용: 이 행사에서는 하늘과 별 국민 포럼을 비롯하여 한국천문연구원이 칠레, 남아공, 호주 3개소에 건설하는 외계행성탐색시스템(Korea Microlensing Telescope Network, KMTNet) 소개 동영상 상영과 강연, ‘소행성의 날’ 선포식과 해외 서명인들의 동영상 축하메시지 상영에 이어, 한국천문우주과학관협회 워크숍이 열릴 예정이었다.
제1회 ‘소행성의 날’ 일반 공개행사 (연기)
- 일시: 2015년 7월 4일
- 장소: 국립과천과학관 천체투영관
- 내용: 이 날 일반 공개행사에서는 ‘북위 51°’ (51° NORTH) 국내최초 시사회에 이어, 박상준 (SF 평론가, 서울 SF 아카이브 대표), 이정모 (서대문자연사박물관장), 문홍규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이 패널로 참여하고 원종우 (‘과학과 사람들’ 대표)가 진행하는 소행성 충돌재난에 관한 토크쇼가 예정됐다.
[ 참고자료 2] '소행성의 날' 국내 선포문
[ 참고자료 3] '소행성의 날' 공식영화 '북위 51°’ (51° NORTH)
종말을 향해 달려가는 세상과 개인의 일상을 추적하는 영화에 대한 착상은 강력한 폭발음과 함께 시작됐다. 이 아이디어는 참신한 영화 제작방식과, 전 세계 지성들이 외계의 잠재 위협에 관한 인식을 호소하는 이니셔티브로 이어졌다.
2010년, 영화제작자 그리고리 리히터 (Grigorij Richters)는 지구에 날아오는 소행성으로 인한 위협을 주제로 다룬 BBC 다큐멘터리 ‘소행성; 좋은 것, 나쁜 것, 그리고 암울한 것” (Asteroids: The Good, the Bad and the Ugly)을 보게 된다. 이후 그는 NEO로 인해 지구가 직면하게 될 대 재앙에 관한 생각에 빠져 들었다. 그는 이 거대한 주제를 청중들에게 이해시키려면 인간의 관점을 통해 여과시켜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상상력은 곧 날개를 달았고 그는 열정을 바쳐 ‘북위 51°’에 생기를 불어넣었다.
직장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골치 아픈 사생활로 고민하는 젊은 영화제작자, 데이먼의 캐릭터는 리허설과 즉흥적 발상을 통해 태어난다. 데이먼은 소행성이 전 세계를 파괴하는 순간이 코앞에 다가왔다는 사실을 깨닫고 감독 리히터 자신이 경험한, 위협과 경각심을 세계인들에게 알리는 자전적 아바타가 된다. 김독은 이러한 개인적 경험을 강조하기 위해 영화 속에 자주 등장하는 핸드헬드 카메라와 CCTV 영상을 혁신적으로 활용해 데이먼과 사회 전반에 걸쳐 펼쳐지는 이야기를 치밀하게 뒤쫓는다
천문학자이자 전설적인 록밴드 퀸 (Queen)의 리드기타리스트였던 브라이언 메이 (Brian May) 박사는 이 주제에 매료돼 영화의 사운드트랙 작업을 약속했다. 영화가 완성된 후 메이는 아프리카 테네리페 섬에서 열리는 과학과 미술, 음악이 만나는 천문학 축제 ‘스타무스 페스티벌’ (Starmus Festival)에서 영화 상영을 제안한다. ‘북위 51°’는 이곳에서 갈채를 받았으며, 메이를 비롯한 과학계 명사들은 마침내, 전 세계에 소행성의 위협을 알리는 기념일을 만들자는 제안에 공감한다.
이처럼 ‘소행성의 날’에 대한 제안은 급물살을 타고 세계적인 관심을 끌었고 리처드 도킨스 (Richard Dawkins), 킵 손 (Kip Thorned), 빌 나이 (Bill Nye)와 같은 과학자, 브라이언 메이, 피터 가브리엘 (Peter Gabriel)을 포함한 뮤지션, 우주인 크리스 핸드필드 (Chris Hadfield), 짐 러벨 (Jim Lovell) 같은 권위자들의 서명과 지지를 이끌어냈다.
제 1회 ‘소행상의 날’은 가장 최근 일어난, 규모가 가장 큰 소행성 충돌사건인 1908년 6월 30일 퉁구스카 사건을 기리기 위해 2015년 6월 30일로 결정된다. 게다가 과학자들만의 선언으로 출발하려고 생각했던 이 행사는, 대중의 상상력을 자극해 ‘세계를 구해야 한다!’는 거대한 목표를 내건, 글로벌 캠페인으로 거듭났다.
그리고 그 시작은, 영화를 만들자는 생각이었다.
[ 참고자료 4] 관련이미지
‘소행성의 날’ 홈페이지 그림
[사진 2] 영화 ‘북위 51도’ 공식포스터
소행성의 날 선포문
우리는 조상들이 물려준 아름다운 지구를 후손들에게 온전한 삶의 터전으로 다시 전해줄 의무가 있다. 그러나 우리는 지금 다양한 환경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보다 쾌적하고 안전한 삶을 위해 지혜를 모야야 한다.
소행성 지구 충돌은 자연재해 가운데 발생빈도가 낮지만, 실제로 일어날 경우 우리 가족과 사회, 인류문명에 미치게 될 피해는 매우 심각하다. 다만 다른 재해와 달리 예측과 대비가 가능하다는 점에 우리는 주목한다.
도시를 파괴할 수 있는 근지구소행성 100만여 개가 태양주변을 공전하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우리가 궤도를 아는 것은 단 1%, 즉 만 개에 지나지 않는다. 우리는 이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기술이 있으며, 최근 국내에서는 위협이 되는 소행성을 발견하고 물리적 특성을 밝히는 연구에 착수했다.
이에, 책임 있는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 우리는 아래와 같이 실천한다.
1. 정부와 민간 부문, 자선단체의 지원을 바탕으로 우리가 가진 기술을 활용해 인류에 위협이 되는 근지구소행성을 검출하고 추적한다.
2. 향후 10년 간 근지구소행성의 검출, 추적 건수를 100배 늘려 매년 10만 개를 새로 발견한다.
3. 2015년 6월 30일 소행성의 날을 선포하여 소행성 충돌 재난의 위험성을 널리 알리고 이에 대비하기 위한 국제공동의 노력을 강화한다.
우리는 과학자와 예술가, 언론인, 기업인, 일반시민과 함께 충돌 재난에 대한 우려를 공유하면서, 소행성으로 인한 재난을 막아 우리 삶의 터전인 하나뿐인 지구를 보전하려는 국제적인 노력에 적극 참여한다.
2015년 6월 30일
하늘과 별 국민포럼 대표 최문기 외 102인
[자료문의]
☎ 042-865-3251 한국천문연구원 우주과학본부 우주천문그룹 문홍규 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