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환경감시기관 10년 맞아 온고지신의 자리 마련 2025-09-24

우주환경감시기관 10년 맞아 온고지신의 자리 마련

- 26일, 우주위험대응과 우주상황인식 역량 발전 토론회 개최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장현, 이하 천문연)은 우주환경감시기관으로 지정된지 10주년을 맞아 오는 26일 오전 10시 대전 본원에서 ‘우주위험대응과 우주상황인식 역량 발전 토론회’를 개최한다. 


☐ 우주항공청(청장 윤영빈, 이하 ‘우주청’) 주최, 천문연 주관으로 펼쳐지는 이번 행사에는 우주청, 천문연, 산·학·연·군 등 우주위험감시 관련 유관기관 관계자 10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 앞서 천문연은 광학감시 체계 능력 등을 인정받아 지난 2015년 1월 ‘우주개발진흥법’과 ‘우주위험대비기본계획’에 따라 우주환경감시기관으로 지정된 바 있으며, 

  ○ 명실공히 우리나라 우주 자산과 사회 사회 안전에 위협이 될 수 있는 우주물체 추락·충돌 위험을 사전에 감시하고, 우주위험 대응 실무를 총괄하는 역할을 수행해 왔다. 


☐ 천문연은 10년간 우주물체 전자광학 감시체계(OWL-Net)를 개발 및 운영해오며, 중국 톈궁 1호, 창정 로켓 잔해, 미국 ERBS 위성 추락* 등 주요 추락 상황을 예보했으며, 또한 독자적으로 개발한 인공위성 비행역학 시스템 핵심기술을 한화시스템에 이전하는 등 민간 및 공공에 기술이전도 활발히 진행해 왔다. 

   * 미국 ERBS 추락(′23.1.) 상황 감시, 우주위험‘경계’경보 발령, 최종 추락 상황 분석 등 우주물체 추락 상황별 정밀 분석결과의 적시 제공으로 국민 불안감 해소 노력 


☐ 본 행사에서는 이러한 광학감시 역량 성과 외에 우주환경감시기관 10년의 궤적을 공유하고, 국가 우주위험대응과 우주상황인식 역량 발전 방향 토론회를 개최하여, 우주상황인식 및 우주주권 확보를 위한 전문가들의 패널토론도 진행한다. 

  ○ 특히, 내년부터 추진할 R&D 사업인 국가 우주상황인식시스템(K-SSA)*개발로 우주공간에서의 안전한 우주활동, 우주주권, 우주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는 국가 차원의 핵심 인프라 확보 방향에 대해 소개할 계획이다.

   * 국가 우주상황인식시스템(K-SSA, ‘26~’30): 우주기반 우주감시 관측인프라 확보와 AI 기반의 예측 및 분석으로 우주상황인식·우주교통관리를 통합하는 한국형 우주위험감시 시스템


☐ 천문연 조성기 우주정보연구본부장은 “뉴스페이스로 우주위험과 상황 인식 기술이 더욱 절실해진 시대”며 “차세대 우주감시 체계의 비전을 제시하고, 우주환경감시기관으로서 다음 10년을 준비하기 위한 아이디어들을 모으는 장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1


<참고 1. 우주환경감시기관 설명>


□ 우주위험 대응 관련 법령

  ㅇ 우주개발진흥법 제15조(우주위험대비 기본계획의 수립 및 우주환경 감시기관 지정)

  ㅇ 제1차 우주위험대비기본계획(우주위험 감시·대응 기술확보)

  ㅇ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자연우주물체의 추락·충돌 재난 포함)


□ 우주환경 감시기관의 임무(우주개발진흥법 시행령 제13조의5)


 - 우주위험대응기술 관련 연구개발 및 기획

 - 관계기관 및 민·관·군 합동 대응체계의 구축·운영 지원

 - 우주위험의 예방 및 대비를 위한 국제협력체계의 구축 운영



□ 천문연(우주환경 감시기관) 수행 업무

  ㅇ 우주위험 대응기술 연구개발 및 기획

  - 우주물체감시시스템 사업 추진 

  - 우주물체 추락·충돌 위험 대응기술 개발 및 감시장비 구축 

  - 우주위험 분석 기술 개발

  ㅇ 우주위험 대응 체계 구축․운영

  - 과기정통부 우주위험대첵본부·대책반, 우주환경감시기관 구축·운영

  - 우주위험 대응 매뉴얼 수립·개정

  - 우주위험 (비상)상황실 운영

  - 안전 한국 훈련 실시

  ㅇ 우주위험 대응 국제협력체계 구축

  - UN 우주의평화적이용을 위한 위원회(COPUOS) 참여

  - 국제소행성경보네트워크(IAWN) 참여

  - 소행성위협대응 우주임무기획자문위원회(SMPAG) 참여

※ COPUOS: Committee on the Peaceful Uses of Outer Space

  IAWN: International Asteroid Warning Network

  SMPAG: Space Mission Planning Advisory Group 



□ 연혁 

  - 1986. 3. 22. 인공위성의 궤도 및 추적을 통한 우주감시 연구 시작

  - 2000. 6. 14. 근지구천체(NEO) 연구실로 국가지정연구실 사업 선정, 인공위성 및 NEO 감시 연구 시작

  - 2008. 7. 10. 자연우주물체감시 전담 연구 그룹 신설

  - 2008. 12. 1. 인공 및 자연우주물체 감시 전담 연구 그룹 신설

  - 2011. 6. 1. 국내 최초 ‘우주물체 전자광학 감시체계’ 개발 전담 부서 신설

  - 2014. 6. 20. 부원장 직속 우주위험감시센터로 승격 

  - 2014. 5. 30. 제1차 국가우주위험대비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 

  - 2014. 5. 30. 국가 우주우주위험대비기본계획의 임무 이행 

  - 2015. 1. 14. 국가 우주환경감시기관으로 한국천문연구원 지정

  - 2015. 1. 14. ~ 우주위험감시센터에서 우주환경감시기관 임무 전담 이행 


□ 우주위험감시의 핵심 가치 

  ㅇ 국가 지정 ‘우주환경감시기관’으로서 우주위험대비 기본계획의 연차별 시행계획의 충실한 이행 

  ㅇ 대한민국이 보유하고 있는 대형 우주감시 관측 인프라의 현업 운영 및 우주감시 능력 확보를 위한 관측 인프라 기술개발 및 구축 

  ㅇ 우주위험감시 기술개발과 관측인프라 구축 성과를 통해 국가 우주위험대비 및 국제 협력을 위한 공유로 사회적 기여 



<참고 2. 지난 10년 대표 성과>

 ㅇ 감시 기술 개발 

  - 국내 최초 우주물체 전자광학감시네트워크(OWL-Net) 전 세계 5개국(몽골, 모로코, 이스라엘, 미국, 한국) 설치(’16년) 및 운영 

  - 유성체감시네트워크 개발(’17년~) 16개소 구축  

  - 우주잔해물 감시레이더 테스트베드 구축 중(‘20년~’27년)

  - 지구위협소행성 감시용 광시야 광학망원경 구축 중(‘20년~’27년)

  - 우주위험대응통합시스템 구축 중(‘23년~’27년)

  - 중고궤도 광학감시망원경 개발 중(‘24년~’27년)


  ㅇ 추락상황 예보 실적 

  - 2025.07. 표류 중인 인공우주물체 물체 발견 및 분석-중국 우주발사체 추정 

  - 2025.05. 러시아 금성탐사선 코스모스 482 착륙선 추락상황실

  - 2023. 01. 미국 ERBS 위성 추락 – 우주위험 ’경계’ 경보 발령 

  - 2021. 05. 중국 우주발사체 창정-5B 추락

  - 2018. 04. 중국 우주정거장 톈궁1호 추락 – 우주위험 ’경계’ 경보 발령 

  - 2015. 05. 러시아 우주화물선 프로그레스위성 추락 

  - 2013. 11. 유럽우주청 고체 위성 추락 

  - 2013. 01. 러시아 코스모스 1484 위성 추락

  - 2012. 01. 러시아 탐사선 포브스-그룬트추락 

  - 2011. 10. 독일 뢴트겐 위성 추락


  ㅇ 우주위험감시 핵심기술의 독자개발 및 민간 기술이전 성공

  - 우주위험감시 및 분석 연구로 우주물체 궤도결정·예측, 추락·충돌 위험 분석 시스템인 ‘카시오페이아’ 국내 독자개발 성공 

  - 우주물체 비행역학 시스템의 민간 기술이전 성과로 우주산업화 기여 

  - 우주감시 분야의 독자적인 핵심기술 확보로 국내 우주위험대응 역량 확대와 상호 호혜적인 국제협력 체계 구축에 기여


  ㅇ 우주위험 대응체계 구축 및 국제 협력에 기여 

  - 톈궁, 창정 로켓, NASA 위성 추락 등 세계적 수준의 선제적이고 정확한 추락 예측 분석으로 국가 우주위험 대응 체계에 기여

  - UN COPUOS, 국제우주상황인식연합훈련 등 국제협력에 기여



<참고 3. 국가 우주상황인식시스템(K-SSA) 소개>

국가 우주상황인식시스템(K-SSA)는 지상기반 우주감시 관측 인프라, 우주기반 우주감시관측인프라, 분석시스템을 통해, 관측, 분석 및 우주위험 대응까지 포함한 우주상황인식(SSA)부터 우주교통관리(STM)까지 우주물체에 대한 탐지, 추적, 정보 통합관리, 위험도 분석기술을 총 망라한 국가 통합 우주상황인식시스템이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