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EBS 창사특집 다큐『아인슈타인과 블랙홀』제 1부 ‘아인슈타인, 우주를 말하다’ 방영 2006-07-21

☆ EBS 창사 6주년 기념으로 제작된 특별기획 2부작 『아인슈타인과 블랙홀』이 방영됩니다.

  

- 1부 : 아인슈타인, 우주를 말하다

- 방송일 : 7월 21일 밤 11시 ~ 11시 50분

- 연출 : 고영준 PD  

 

한국에서도 본격적인 우주시대의 서막이 올랐다. 이미 한국 최초의 우주인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고,

7월 말이면 아리랑 2호가 발사되어 지구를 돌게 된다. 하지만 우리에게 우주는 아직도 비밀이 많은 대상이다.

과연 우주는 어떻게 지금의 모습을 이루게 되었을까? 이런 비밀을 똑같이 고민한 사람이 있다. 바로 아인슈타인이다.

그는 상대성 이론을 이용해 이러한 우주의 비밀을 풀려고 했다. 그의 이러한 노력으로 블랙홀의 비밀,

초신성 중력파의 비밀의 단서를 풀게 되었다. 현대의 우주론은 그의 상대성이론을 바탕으로 펼쳐지고 있다.

제 1부 ‘아인슈타인, 우주를 말하다(가제)’는 현대 우주론 발전에 기여한

아인슈타인 ‘중력연구’의 성과와 의의를 살피고 아울러 첨단 우주 천문학의 현주소를 알아본다.

 

< 내용 >

1. 스웨덴 오로라 : 지구가 거대한 자석이라는 결정적 증거, 이러한 전자기력의 힘으로 오로라가 발생

2. 미국 SDSS 천문대 : 한국이 참여한 외국의 천문대 프로젝트 중의 하나로 우주진화에 대한 연구를 목적으로 우주천체의 기록을 디지털화 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3. 하와이 수바루 천문대 : 일본인들이 하와이 정상에 세운 거대한 천문대로 우주의 가장 먼 곳에서 일어나는 각종 천문현상을 관측할 수 있는 몇 안되는 천문대다.

4. 윌슨산 허블 망원경 : 우주 팽창의 증거를 발견했다는 천문대 , 세계최초로 사진술을 이용한 관측에 성공했다. 이외에 세계최초로 초신성을 발견한 60인치 망원경을 소개한다.

5. NASA WMAP의 성과 소개 : 우주가 가속 팽창하고 있다는 사실을 과학적인 관측 데이터로 증명해낸 프로젝트, 우주배경복사 관측으로 빅뱅의 결정적 증거이다.

6. 암흑물질 연구소 : 우주의 진화의 미세입자인 암흑물질 윔프를 발견하려는 서울대 김선기 교수팀의 양양발전소 연구실을 찾았다.

7. 아인슈타인 천문대 : 아인슈타인의 우주에 대한 관심을 알 수 있는 천문대, 아인슈타인의 우주에 대한 관심의 정도를 알 수 있다.

8. 중력렌즈 현상 : 우주연구는 이제 항성 탐색에서 행성 탐색의 단계로 넘어가고 있다. 행성탐색을 위해 중력렌즈 현상을 연구하는 충북대 한정호 교수 소개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