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소행성은 태양계 생성 초기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기 때문에 태양계 형성과 진화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열쇠가 된다. 특히 과거 하나의 커다란 소행성이 충돌로 인해 만들어진 소행성 종족(asteroid family)은 생성시점이 동일하다는 점에서, 그리고 하나의 모체로부터 분리되어졌다는 측면에서 태양계 소천체의 궤도 진화와 그 물리적 특성 연구를 진행하는 데 있어서 반드시 필요하다. 지금까지 64개의 소행성 종족이 알려졌는데(Nesborny 2012), 이들 중 목성과의 궤도 공명 때문에 역학적으로 불안정한 지역에 존재하는 소행성 종족은 근지구 소행성(NEA)들의 주요 공급처(source region)가 된다.
이러한 소행성 종족의 궤도진화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한 광도곡선 분석은 낮은 관측 효율과 소행성의 낮은 표면 반사율 등의 이유로 인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우리는 북반구에 위치한 1-2m 망원경 국제 공동 관측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역학적으로 불안정한 지역에 존재하는 소행성 종족에 대한 시계열 측광관측을 통하여 화성과 목성 사이의 소행성대(Main-belt)로부터 근지구 공간으로 유입되는 소행성의 기원과 역학적 진화에 대해 집중적으로 조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