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필호)은 한국시간으로 2013년 11월 29일 오전 3시 48분경 아이손 혜성(C/2012 S1, Comet ISON)이 태양과 가장 가까운 지점(근일점)을 통과한다고 발표한다.
※ 이 때 태양 표면으로부터 혜성까지의 거리는 약 1,168,000km로 태양의 지름(1,391,000km)보다 가까우며 지구-달거리(38만km)의 3배에 해당한다.
※ 이처럼 태양을 스치듯이 지나가는 혜성을 ‘태양최접근 혜성’(sungrazing comets)이라고 부른다. 아이손 혜성이 근일점을 통과할 때의 운동속도는 초속 393km에 달한다.
o 천문학자들의 예측에 따르면 29일 아이손은 3에서 7등급까지 밝아지지만, 햇빛에 가려 사람이 맨눈으로 보기는 어렵다. 한편, 최신 관측결과에 따르면 혜성 핵이 부서지기 시작했다는 징후가 나타났다. 따라서 당초 예상 밝기보다 어두워질 수 있지만 아직 속단하기에는 이르다고 전문가들은 말하고 있다.
※ 천체의 등급은 숫자가 작을수록 밝다. 겨울철 시리우스는 1등급, 여름직녀성은 1등급, 북극성은 2등급이며, 태양과 보름달은 ?26, ?13등급에 해당한다. 그리고 금성은 최대 ?5, 목성과 화성은 최대 ?3등급까지 밝아진다. ※ 혜성의 밝기는 혜성 머리에 해당하는 코마의 전체등급으로 정의되며, 3등급이더라도 같은 등급의 별보다는 더 어둡다.
o 아이손 혜성은 근일점을 지나는 11월 29일, 햇빛에 가려 보이지 않다가 12월 1일에는 일출직전 동쪽 지평선 낮게 모습을 드러낸다. 그러나 일출 직전이기 때문에 볼 수 있는 시간은 매우 짧다.
● 아이손은 혜성의 고향으로 알려진 오르트구름(Oort cloud)에서 탈출해 내태양계로 ‘처녀비행’을 하는 보기 드문 천체다.
o 이 혜성은 45억 년 전, 태양계 형성 직후부터 얼어붙은 채 남아 원시물질을 원형 그대로 보존하고 있으며, 태양계의 기원과 진화에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비슷한 예로는 1996년 지구에 접근한 햐쿠타케(Hyakutake, C/1996 B2) 혜성과 1997년 근지점을 지난 일-밥(Hale-Bopp, C/1995 O1) 혜성을 들 수 있다.
o 아이손은 쌍곡선 궤도를 따라 움직이는 비주기혜성이다. 태양계 안쪽으로 들어오는 사건은 이번이 처음이며, 앞으로 성간 공간으로 튕겨져 나가 영원히 돌아오지 않는 운명을 맞게 된다.
● 전 세계 아마추어천문가들과 연구자들은 휴대용 쌍안경으로부터 지름 10미터 급 관측시설과 허블우주망원경에 이르는, 역사상 가장 많은 연구시설을 동원해 아이손을 집중감시하고 있다.
o 한국천문연구원(이하 ‘천문(연)’)은 보현산천문대 1.8m 망원경, 소백산천문대 0.6m 망원경과 레몬산천문대 1m 망원경, 한국우주전파관측망 등 산하 지상관측 시설과 과학기술위성 3호에 탑재된 다목적적외선영상시스템을 이용해 아이손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다.
천문(연)은 이와 함께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서브밀리미터천문대 10m 전파망원경을 관측에 활용한다 (부록 8 참조_첨부문서).
자료문의
042-865-3266 한국천문연구원 우주감시센터 최영준 박사
042-865-3251 한국천문연구원 우주감시센터 문홍규 박사
2013년 12월 1일 아이손 혜성의 별자리 사이의 위치. 새벽 동쪽 지평선 위에서 찾을 수 있다. (한국천문연구원, WICEAN)
첨부파일(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