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tal 889 RSS
27 2022-09
[참고자료] 천문연 OWL-Net으로 관측한 NASA 다트 탐사선 소행성 디모포스 충돌 실험 현장
No. 769
천문연 OWL-Net으로 관측한 NASA 다트 탐사선 소행성 디모포스 충돌 실험 현장 □ 개요 ㅇ 한국천문연구원(이하 천문연)은 우주물체 전자광학 감시네트워크(이하 OWL-Net, Optical Wide-field patroL Network)로 NASA 다트 탐사선의 소행성 디모포스 충돌 실험 현장을 포착했다. 관측 결과 충돌 직후 소행성 표면에서 먼지가 분출되는 모습(dust plume)을 확인했다.  □ 다트 탐사선 소행성 충돌 순간 영상  - 촬영 장비: 천문연 OWL-3호기 0.5미터 망원경  - 촬영 위치: 이스라엘 미츠페라몬 WISE 천문대  - 촬영 일시: 9/26 23:09-23:54 (UT), 9/27 08:09-08:54 (한국시간)    - 동영상 : 다트 탐사선 소행성 충돌 모습. 궤도를 돌고 있는 소행성 디모포스가 충돌하자 먼지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운로드 링크: http://210.110.233.66:8081/api.link/3d_baLoIGrDFWucP-MM~.avi □ 다트프로젝트 DART(Double Asteroid Redirection Test Project)  ㅇ 미국항공우주국(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NASA)의 쌍소행성궤도변경실험(Double Asteroid Redirection Test, DART)은 운동역학 충돌체(Kinetic impactor)를 활용해 인공적으로 소행성 궤도를 변경하는, 인류 최초로 시도하는 지구방위(planetary defense) 실험이다. ㅇ 다트 우주선은 미국 현지 시간으로 2022년 9월 26일 오후 7시 14분(한국 시간 2022년 9월 27일 오전 8시 14분)에 근 지구 쌍 소행성(near-Earth binary asteroid)인 디디모스(Didymos)의 위성 소행성 디모포스(Dimorphos)에 충돌에 성공했다.  ㅇ 다트 임무는 운동역학 충돌체를 인공적으로 소행성에 충돌시키는 기술을 확보하는 동시에 대상 천체의 질량과 구성성분, 내부 구조 등 세부 자료를 조사해 실제로 소행성이 지구에 충돌하는 긴급 상황에 이에 대비할 수 있는 기반 기술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한국측 다트프로젝트 참여 방법 및 관측 포인트 ㅇ DART는 우주선 본체가 운동역학 충돌체로 직접 소행성에 충돌하기 때문에 충돌 이후 나타나는 변화를 직접 관측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우주선에 함께 싣고 갔다가 충돌 직전에 사출될 이탈리아 우주국(Italian Space Agency, ASI)의 큐브셋(cubesat) 리시아큐브(LICIACube, Light Italian Cubesat for Imaging of Asteroids)를 이용해 DART 우주선의 충돌 장면을 관측한다. 그러나 리시아큐브는 DART 우주선의 약간 뒤쪽에서 우주선과 디모포스의 충돌 장면을 촬영한 직후 디모포스를 지나쳐 갈 예정이기 때문에 실제로 충돌 이후에 디모포스를 관찰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ㅇ 이에, 다트 임무팀은 세계 각국의 지상 망원경과 허블 우주망원경,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등을 활용해 디디모스를 관측해 충돌로 인해 일어나는 여러 현상을 감시, 디모포스의 궤도 변화를 확인 중이다. ㅇ 천문연은 산하 보현산천문대 1.8m 망원경, 레몬산천문대 1.0m 망원경, 소백산천문대 0.6m 망원경, 우주물체 전자광학 감시네트워크(OWL-Net, Optical Wide-field patroL Network) 0.5m 망원경 등을 이용해 디모포스의 궤도 변화를 조사 중이다. 충돌 후 약 2주간은 먼지 분출 등으로 지상망원경을 이용한 궤도 변화 산출이 어려우므로 이후 집중적으로 관측을 수행할 예정이다. □ 다트 충돌 실험 의미 ㅇ 다트 우주선은 약 170m 크기의 디모포스에 6.6km/초의 속도로 충돌했다. 그러나 이 과정은 다트 우주선이 디디모스와 디모포스를 구분하고 식별한 뒤, 1시간 이내에 이뤄져야 하므로 고도 기술이 요구된다. ㅇ 다트 임무 팀은 미국 존슨 홉킨스 대학(Johns Hopkins University)의 응용물리학 연구소(Applied Physics Laboratory, APL)에서 개발한 미사일 유도 알고리즘을 활용해 만든 소형 자동 실시간 항법 장치(Short for Small-body Maneuvering Autonomous Real Time Navigation, SMART Nav)를 활용해 지구와의 통신과 지원 없이 스스로 비행궤적을 결정(자율항법)하는 최첨단 시스템을 갖춰 이를 활용했다. □ 다트 프로젝트 관련 참고용 일반 영상   ㅇ 표적천체를 조준하는 DART (Credit: JPL DART Navigation Team)    2022년 7월 27일 DART 우주선의 탑제체인 고해상도 카메라(The Didymos Reconnaissance and Asteroid Camera for Optical navigation, DRACO)를 이용해 관측한 디디모스의 영상, 243장의 영상을 합성하여 획득된 영상 ㅇ DART 충돌의 인포그래픽 (Credit: NASA/Johns Hopkins APL) ㅇ DART 충돌 애니메이션 (Credit: NASA/Johns Hopkins APL)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FSL3sBDL7YM
05 2022-09
한가위 보름달 9월 10일 오후 7시 4분에 뜬다
No. 768
한가위 보름달 9월 10일 오후 7시 4분에 뜬다 - 2022년 추석 보름달 관련 천문정보 ■ 2022년 한가위(9월 10일, 토요일) 보름달이 서울 기준 19시 4분에 뜬다. □ 9월 10일 한가위 보름달이 뜨는 시각은 서울을 기준으로 19시 4분이며, 가장 높이 뜨는 시각은 자정을 넘어 11일 0시 47분이다.  □ 달이 태양의 반대쪽에 위치해 완전히 둥근달(망望)이 되는 시각은 추석 당일인 9월 10일 18시 59분이다. 그러나 이때는 달이 뜨기 전 이므로 볼 수 없다. □ 해발 0m를 기준으로 주요 도시에서 달이 뜨고 지는 시각은 아래와 같다.  2022년 추석 보름달 관련 천문정보로 지역, 9월 10일(추석) 달 뜨는 시각, 9월 11일 달 지는 시각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역 9월 10일(추석) 달 뜨는 시각 9월 11일 달 지는 시각 서울 19:04 06:41 인천 19:05 06:42 대전 19:01 06:40 대구 18:56 06:35 광주 19:02 06:43 부산 18:53 06:33 울산 18:53 06:32 세종 19:02 06:40  ※다른 지역은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지식정보 홈페이지(https://astro.kasi.re.kr/life/pageView/6) 월별 해·달 출몰시각 참고 (보도자료 끝. 참고자료 및 사진 있음.) [참고 자료] □ 보름달이 항상 완전히 둥글지 않은 이유    보름달은 음력 보름날 밤에 뜨는 둥근달을 말한다. 음력 1일은 달이 태양과 같은 방향을 지나가는(합삭) 시각이 포함된 날이며 이날부터 같은 간격(24시간)으로 음력 날짜가 배정된다. 예를 들어 합삭 시각이 음력 1일의 늦은 밤인 경우엔 음력 15일 뜨는 달이 태양 반대쪽에 오기 전이라 완전히 둥근 달이 아닐 수 있다.    이와 별개로 달의 타원궤도로 인해 태양의 반대쪽을 향하는 때(망)까지 실제 걸리는 시간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완전히 둥근달이 되는 정확한 시점은 음력 15일 이전 또는 이후가 될 수 있다.     이 두 가지 주요한 원인으로 보름달이 완전히 둥글지 않을 수 있다. 이번 음력 9월의 합삭 시각은 양력 9월 26일 6시 55분이다.  □ 보름달 사진                                                                                 제28회 한국천문연구원 천체사진공모전 수상작, © 배정훈                                                                                  제25회 한국천문연구원 천체사진공모전 수상작, © 김영재                                                                                  제24회 한국천문연구원 천체사진공모전 수상작, © 김석희 
17 2022-08
[과기부 보도자료] 천문연, 세계 최초 전천(全天) 영상분광 탐사 우주망원경 SPHEREx 장비 개발
No. 767
천문연, 세계 최초 전천(全天) 영상분광 탐사 우주망원경(SPHEREx) 성능 시험장비 개발 완료 - SPHEREx 극저온 진공챔버 개발 및 미국 설치 완료 - - NASA, 2025년 4월 발사 예정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영득, 이하 ‘천문연’)이 NASA SPHEREx(스피어엑스)* 우주망원경 성능 시험을 위한 장비 개발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 Spectro-Photometer for the History of the Universe, Epoch of Reionization, and Ices Explorer    ㅇ 해당 장비는 SPHEREx 망원경의 성능을 지상에서 정밀하게 시험하기 위한 시험 장비로, 천문연이 2019년 8월 개발 착수해 약 3년 만에 개발을 완료하고 지난 6월 미국으로 이송해 설치를 마쳤다. □ 천문연이 이번에 개발한 장비 중 핵심장비는 극저온 진공챔버다.    ㅇ 우주에서 적외선을 관측하려면 우주의 온도만큼 저온으로 냉각되는 망원경이 필요하다. SPHEREx에 최적화해 개발한 이 진공챔버는 망원경이 우주에서 냉각되어 도달할 영하 220도 이하의 극저온 진공상태를 구현하며,    ㅇ 앞으로 개발할 SPHEREx 망원경을 넣고 시험을 하여 망원경이 촬영하는 사진 속에서 초점이 고르게 제대로 맞춰지는지 검증하고, 사진의 각 부분에서 어떤 파장 즉, 어떤 색깔이 보이는지를 측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 극저온 챔버에서 SPHEREx 망원경의 성능을 시험하기 위해서는 거대한 챔버 자체뿐만 아니라 고가의 망원경을 안전하게 집어넣을 수 있는 보조 장비 등도 필요하다.  ㅇ 천문연은 SPHEREx 망원경 정밀 로딩 장비도 함께 개발했다. 뿐만 아니라 극저온에서 파장과 초점을 측정할 적외선 빛을 평탄하게 만들어주는 장치 등 보조 광학 장비들도 설계·제작했다. □ SPHEREx는 ‘전천(全天) 적외선 영상분광 탐사를 위한 우주망원경’이며 NASA 제트추진연구소(이하 ‘JPL’) 및 미국 캘리포니아 공과대학(이하 ‘Caltech’) 등 12개 기관이 참여하는 프로젝트이다.  ㅇ 프로젝트의 주요 하드웨어는 우주에서 냉각을 위한 외곽 차폐막(JPL), 적외선 검출기를 포함한 관측 기기(Caltech), 적외선 망원경(Ball Aerospace), SPHEREx의 극저온 성능시험 장비(천문연)로 각 기관이 역할 분담해 개발하고 있다.  ㅇ 이번 천문연의 SPHEREx 극저온 성능시험 장비 개발 설치 완료는 전체 SPHEREx 프로젝트 차원에서 2021년 상세 설계 이후 본격적으로 SPHEREx 하드웨어 개발이 가시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 천문연과 SPHEREx 연구팀은 2023년 상반기 미국 Caltech에서 망원경의 광학성능을 검증하는 검교정 시험을 진행할 예정이다.  ㅇ 천문연은 설치한 극저온 진공 챔버를 활용하여 망원경의 우주환경시험을 주도하고, 관측자료 분석 소프트웨어 개발 및 핵심 과학연구 등에 참여할 예정이다. □ SPHEREx는 계획상 2025년 4월에 태양동기궤도*로 발사돼 약 2년 6개월 동안 온 하늘을 총 네 번 102개의 색깔로 촬영하는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 위성 궤도면의 회전 방향과 주기가 지구의 공전 방향과 주기와 같은 궤도로서 태양과 항상 일정한 각도를 유지 □ Caltech에서 SPHEREx 관측기기 개발을 총괄하고 있는 기기 과학자인 필 콘굿(Phil Korngut) 박사는 “극저온 상태에서 우주망원경의 초점을 유지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며, 천문연의 진공챔버가 SPHEREx 발사에 있어 크게 기여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 한국 측 연구책임자인 천문연 정웅섭 박사는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의 경우, ‘좁은’ 지역을 정밀하게 관측하는 데 반해, SPHEREx는 ‘넓은’ 지역의 기본적인 물리적 특성을 제공하는 망원경”이라며,  ㅇ “추후 SPHEREx로 발견한 천체를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거대마젤란망원경 등을 활용한 후속 관측 및 연구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ㅇ 또한, 우주기술 측면에 있어서는 “이번 NASA와의 성공적인 공동 개발을 통해 적외선 우주망원경의 극저온 성능 시험 분야의 우주기술도 선진국 수준으로 도약할 수 있다”고 전했다. □ 과기정통부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한국이 이번에 개발한 장비는 SPHEREx 프로젝트에서 가장 주요 하드웨어 장비 중 하나“라며  ㅇ ”우주 관측 분야를 선도 할 수 있는 핵심 기술 확보를 위해 세계 유수의 연구기관과 공동연구를 확대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보도자료 끝. 참고자료 있음.) [참고자료 1] SPHEREx 개요 □ SPHEREx(Spectro-Photometer for the History of the Universe, Epoch of Reionization, and Ices Explorer)    ㅇ SPHEREx*는 ‘전천(全天) 적외선 영상분광 탐사를 위한 우주망원경’으로, 대기에 흡수되기 때문에 지상에서는 관측이 불가능한 적외선을 볼 수 있는 우주망원경이다. 미국 Caltech 주관으로 한국천문연구원과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 등 12개 기관이 참여하는 프로젝트이다.    ㅇ 2015년부터 시작된 2,800억 원 규모의 NASA 중형미션이며, 2021년 상세 설계 단계를 통과해 망원경이 제작되고 있다. 천문연은 2016년 기획 단계에서부터 참여했으며, SPHEREx 프로젝트에서 유일한 국제 협력 기관이다.    ㅇ 영상분광 기술을 이용해 온 하늘(전천, 全天)을 총 102개의 색깔로 촬영할 수 있다. 영상분광 기술이란 넓은 영역을 동시에 관측할 수 있는 ‘영상관측(Imaging)’과 개별 천체의 파장에 따른 밝기의 변화를 측정하는 ‘분광관측(Spectroscopy)’이 통합된 기술이다.    ㅇ 전체 하늘에 대한 적외선 분광 탐사는 전 세계적으로 처음 이루어지는 대규모 우주 탐사 관측이다. 2025년 4월에 발사되어 약 2년 6개월 동안 0.75 ~ 5.0μm 파장 범위에서, 낮은 분광 분해능(λ/Δλ = 40 – 150)으로 전천 탐사를 수행할 계획이다. 약 20억 개의 천체들에 대한 개별적인 분광 자료를 획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SPHEREx는 이러한 방대한 관측자료를 통해 우주의 3차원 공간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적외선 우주배경복사의 수수께끼를 푸는 실마리를 찾고,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행성계 탐사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SPHEREx로 확인된 특이 천체를 중심으로 JWST를 활용한 후속 관측 수행 및 연구 예정이다.     ㅇ SPHEREx 프로젝트 홈페이지 : http://spherex.caltech.edu/                                                SPHEREx 컨소시엄 참여기관 명단 및 주요 역할의 참여기관, 주요 연구수행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여기관 주요 연구수행 내용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Caltech, 캘리포니아공과대학) 주관기관, 적외선 관측기기 개발, 관측 소프트웨어 개발, 관측자료 처리 및 배포 한국천문연구원 극저온 진공챔버 개발, 검교정 시험장비 구축, 적외선 우주관측기기 개발, 관측자료 파이프라인 구축 및 과학연구 수행 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JPL, 제트추진연구소) 프로젝트 관리, 적외선 우주관측기기 개발, 미션 운영, 탑재체 개발 및 조립 Ball Aerospace (볼 에어로스페이스) 위성체 개발 및 조립 Harvard- Smithonian Center for Astrophysics (하바드-스미소니안 천체물리연구센터) 관측자료 처리 및 과학연구 수행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 어바인) Arizona State University (아리조나주립대학교) Rochester Institute of Technology (로체스터공과대학교) Argonne National Laboratory (아르곤국립연구소) University of Arizona (아리조나대학교) 과학연구 수행 Johns Hopkins University (존스홉킨스대학교) Ohio State University (오하이오주립대학교) [참고자료 2] SPHEREx 사진 및 영상                                    사진1. 천문연이 개발한 SPHEREx 시험장비 미국 실험실로 운송 모습. 출처 NASA/JPL-Caltech                                                             사진 2. 천문연이 SPHEREx에 최적화해 개발한 진공챔버. 출처 NASA/JPL-Caltech [참고자료 3] 주요 용어 설명 □ 분광관측(Spectroscopy)  ㅇ 파장에 따라 내는 빛의 밝기를 측정하는 것으로, 천체들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ㅇ 특히, 우주 거대 구조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개별 천체들이 얼마나 우리로부터 빨리 멀어져 가고 있는지(Redshift, 적색이동)를 측정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개별 천체들의 분광 정보가 필수적이다.  □ 영상분광기술(Spectro-photometry)  ㅇ 넓은 영역을 동시에 관측할 수 있는 영상관측(Imaging)과 개별 천체의 파장에 따른 밝기의 변화를 측정하는 분광관측(Spectroscopy)이 통합된 개념이다.  ㅇ 예를 들어, 특정 천체에 대해 100개로 나눠진 각각의 좁은 파장대의 분광 정보를 얻고자 할 때 가장 쉽게 떠올릴 수 있는 방법은 특정 파장대만 투과시키는 100장의 필터(filter)를 사용하여 각 필터들에 대해 100번의 사진을 찍는 것이다. 하지만 이렇게 많은 수의 필터들을 제작하여 우주망원경에 올려 관측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불가능하다. SPHEREx의 경우 필터의 위치에 따라 투과하는 빛의 파장이 달라지는 특수 선형 분광 필터(Linear Variable Filter)를 사용하여 천체의 영상과 분광 정보를 동시에 얻는다. 이 선형 분광 필터를 사용하여 필터를 교체하는 방법이 아니라 망원경과 필터의 방향을 조금씩 바꿔가며 사진을 찍은 뒤 합성하는 방법으로 천체의 분광 정보를 얻을 수 있다.   ㅇ 이러한 영상분광 기술을 사용하면 어떤 특정 천체뿐만 아니라, 전체 하늘을 100개의 파장에서 사진 찍는 것이 가능해진다. SPHEREx는 적외선을 투과하는 선형 분광 필터를 사용하는 영상분광 기술을 이용해 세계 최초로 ‘전천 영상분광 탐사(All-Sky Spectral Survey)’를 시도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 극저온 진공 챔버(Cryogenic vacuum chamber)  ㅇ SPHEREx가 동작할 우주환경과 같은 온도, 진공 상태를 제공할 수 있는 대형 실험 기기이다. SPHEREx 망원경을 통째로 챔버에 집어넣은 상태에서 ~80K(절대온도) 이하로 냉각할 수 있고, 우주 공간과 비슷한 진공상태를 만들 수 있다. 기존 극저온 진공챔버와 달리, 천체가 내는 빛의 파장과 비슷한 적외선 빛을 넣을 수 있게 제작되어 망원경 및 카메라의 냉각 및 광학 성능을 테스트할 수 있다. □ 천문 우주과학을 위한 NASA의 미션 및 단계  ㅇ NASA는 우주개발 로드맵을 추진하기 위해 주요 우주개발 미션을 소형, 중형 미션으로 나누어 후보들을 선정(아래 표 참조)하고, 이후 제안서 단계(Phase A) 연구 결과를 평가해 최종 미션을 선정한다. 공식 선정 이후 준비·계획 단계(Phase B)에서 예비설계를 진행하고, 성공적으로 평가받을 경우 제작 단계(Phase C)로 넘어간다. [참고자료 4] SPHEREx 관련 추가 설명자료 □ 천문 우주과학을 위한 NASA의 미션 및 단계  ㅇ NASA는 우주개발 로드맵을 추진하기 위해 주요 우주개발 미션을 소형, 중형 미션으로 나누어 후보들을 선정(아래 표 참조)하고, 이후 제안서 단계(Phase A) 연구 결과를 평가해 최종 미션을 선정한다. 공식 선정 이후 준비·계획 단계(Phase B)에서 예비설계를 진행하고, 성공적으로 평가받을 경우 제작 단계(Phase C)로 넘어간다.                                                                        천문 우주과학을 위한 NASA의 미션 및 단계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형미션(SMEX) 중형미션(MIDEX) 대형미션(Flagship Mission) 단계 1단계(기획연구) - 2단계(미션선정) 10년 장기 검토 - 미션 선정 예산 총 1,400억원 (120 million) 총 2,400억원 (200 million) 총 1조원 이상 (1 billion 이상) 선정 10개 내외 제안, 1개 미션 선정 7개 내외 제안, 1개 미션 선정 SPHEREx 허블 우주망원경,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등 기간 개발기간 4년 개발기간 5년 선정 미션에 따른 기간 설정 특징 참여 기관들의 연구개발 역량 및 예산 매칭이 중요 과학적 임팩트가 있으며, SMEX 예산 규모를 넘는 미션 약 10년 주기의 장기 계획 수립을 위한 관련 학계 전체 의견을 반영된 미션 선정
12 2022-08
[IAU 참고자료] 제31차 IAU 총회 폐막, 총 1900여 명 천문학자 참석
No. 766
제31차 IAU 총회 폐막, 총 1900여 명 천문학자 참석 - 2주간 국제천문연맹 총회 폐막, 2년 후 남아공에서 만나요 ■ 제31차 국제천문연맹(이하 IAU,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총회가 8월 11일(목) 부산 벡스코(BEXCO)에서 막을 내렸다. □ 코로나19로 인해 1년 연기된 이번 IAU 총회는 최초로 온·오프라인 하이브리드로 진행됐으며, 현장 참석과 온라인 각각 1200여 명, 700여 명으로 총 1900여 명이 참석했다. □ 제31차 총회에서는 205개 세션에서 약 1,700개의 학술 발표가 진행됐으며, 7개의 심포지엄, 10개의 포커스 미팅 등 천문학과 천문학 관련 기술에 대한 주제뿐만 아니라 천문학의 발전과 협력에 관한 발표가 이루어졌다. □ 총회에서 다뤄진 주요 주제는 올해 4월 설립된 군집위성의 방해에 맞선 어둡고 조용한 하늘 지킴이 센터(CPS, Center for the Protection of the Dark and Quiet Sky from Satellite Constellation Interference)다.  ㅇ 천문학자들은 천체관측에 악영향을 끼치는 빛 공해와 전파의 간섭을 줄이기 위한 방법을 논의했다. □ 또한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의 과학성과, 초대질량블랙홀을 촬영한 사건의 지평선 망원경, 허블상수 불일치 등 다양한 주제의 초청 강연이 진행됐다.  ㅇ 일반 시민들을 위한 천체관측회(Public Star Party), 함안군 말이산 별축제, 국립부산과학관 대중강연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함께 제공됐다.  □ 한편 IAU는 산하 과학문화 조직인 개발을 위한 천문학 분과(Office of Astronomy for Development, OAD)의 10주년을 맞이하여 외계행성 이름짓기 공모전 대회를 실시했다.  ㅇ 학생과 교사, 천문학 애호가, 아마추어 천문학자, 전문 천문학자가 함께 팀을 만들어 20개의 외계행성계 목록 중 하나를 택하고 그 이름과 제안 이유를 외계행성 이름짓기 대회 공식 웹사이트( https://www.nameexoworlds.iau.org/)에 제출하면 된다.  □ 폐막식에는 제32차 IAU 총회 개최지인 남아프리카 공화국 케이프타운으로 국기를 이양했다. 제32차 IAU 총회는 2024년에 개막할 예정이다.   [참고 사진]                                                                                                          사진 1.  8월 11일 IAU 총회 폐막식 모습                                                                                                          사진 2.  제32차 IAU 총회 개최지인 남아공으로 이양기를 전하는 모습  [참고 링크] - IAUGA 2022 이미지 갤러리:   https://www.iau.org/public/images/archive/category/general_assembly_2022/list/2/ - IAU GA 공식 웹사이트 : https://www.iauga2022.org/ - IAU GA 전자신문:   https://www.iau.org/static/publications/ga_newspapers/20220810.pdf - NameExoWorld 2022 공식 웹사이트: https://www.nameexoworlds.iau.org/
08 2022-08
[IAU 참고자료] IAU, 외계행성 이름짓기 공모전(NameExoWorlds 2022) 대회 실시
No. 765
IAU, 외계행성 이름짓기 공모전(NameExoWorlds 2022) 대회 실시 - 국제천문연맹(IAU) OAO 10주년 기념, 외계행성과 그 어미별 이름 짓기 ■ 국제천문연맹(이하 IAU,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이 외계행성*의 이름을 짓는 ‘NameExoWorlds 2022 국제 공모전’을 시작한다.      * 외계행성 : 태양계 밖 우주에 있는 다른 별(항성) 주위를 공전하는 행성 □ IAU는 산하 과학문화 조직인 IAU OAO(Office for Astronomy Outreach)  창립 1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20개의 외계행성계를 대상으로 이름을 짓는 공모전을 개최한다고 8일 밝혔다.  □ 학생과 교사, 천문학 애호가, 아마추어 천문학자, 전문 천문학자가 함께 팀을 만들어 20개의 외계행성계 목록 중 하나를 택하고 그 이름과 제안 이유를 제출하면 된다.   ㅇ 이들 행성계는 JWST(James Webb Space Telescope)의 첫 번째 외계 행성 목표 중 하나이기 때문에 특별한 관심을 받고 있다. 대부분의 외계행성은 주로 별표면통과방식(Transit) 방식과 직접촬영(Direct imaging) 기술을 통해 발견됐다. □ IAU가 설립된 1919년 당시 천문학자의 주요 임무 중 하나는 천체의 목록을 작성하고 천체의 이름을 붙이기 위한 일관된 규칙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최초의 외계행성이 불과 30년 전에 발견됐고, 이후로 현재까지 약 5,000개가 발견됐다. 이 외계행성들의 대부분은 과학적 명칭만 지니고 있으며 별도의 고유명사 이름은 없는 상황이다.  □ 이에 지난 2015년에 개최한 외계행성 이름 짓기 대회는 182개 지역에서 50만 명 이상이 참여해 19개의 외계행성계(별 14개와 외계행성 31개) 이름을 지었다. 2019년 IAU 100주년 기념행사의 일환으로 열린 대회에서는 112개국 780,000명이 넘는 사람들이 참여했다. 우리나라도 이 캠페인에 참여해 한국이 발견한 외계행성계에 ‘백두·한라’라는 이름을 붙이게 됐다.     * 2019년 외계행성 이름짓기 한국 캠페인 관련 보도자료   : https://www.kasi.re.kr/kor/publication/post/newsMaterial/12399 □ 이번 공모전은 11월 11일까지 ‘NameExoWorld’ 홈페이지에서 (http://nameexoworlds.iau.org) 접수를 받으며, 2023년 3월 20일 최종 선정 결과를 발표한다. 선정된 외계행성 이름은 기존의 과학명칭과 병행해 사용되며, 이름 제안자는 IAU로부터 공로를 인정받게 된다.    * 외계행성 이름 짓기 접수 신청 구글폼 링크   : https://docs.google.com/forms/d/e/1FAIpQLSdBNwrIBGTm9x-uw6_GEaKJkF2BWFIVmigWf8H961DlX6nFVQ/viewform □ 전 세계에서 개최되는 공모전의 구체적인 정보는 ‘NameExoWorld’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한국천문연구원(www.kasi.re.kr)과 한국천문학회(www.kas.org) 등을 통해 향후 제안 방법을 공지할 예정이다. □ 데브라 엘머그린 IAU 회장은 "IAU OAO 기념하기 위해 이번 총회 때 새로운 외계행성 이름짓기 대회를 개최하는 것은 매우 흥분되는 일이다”며 “이번 대회의 취지는 천문학을 통해 여러 사람들을 하나로 모으는 것이다”고 전했다.  □ IAU OAO 사무국장인 리나 카나스(Lina Canas)는 "지난 10년 동안 OAO는 전문가과 아마추어, 교육자와 학생 그리고 대중 사이에 다리를 놓기 위해 노력했다”며“외계행성 이름 짓기 대회는 다양한 부류의 사람들이 협력하고 참여함으로써 모든 사람이 천문학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OAO의 임무를 구현하는 훌륭한 사례 중 하나다”고 말했다.  □ 한편, IAU는 약 84개국과 12,400명 이상의 천문학자 회원으로 구성된 천문학 분야 세계 최대 규모의 국제기구로, 천체의 이름을 지정할 수 있는 공식적인 권한을 지니고 있다. 1919년 설립된 이래 지난 100여년 동안 국제협력을 통한 연구 및 정책 수립, 교육 등으로 천문학 발전을 이끌고 있다. 2006년 명왕성을 행성 목록에서 분리해 왜소행성으로 지정했으며, 지난해에는 ‘허블의 법칙’ 명칭을‘허블 – 르메트르 법칙’으로 개정했다. IAU 총회는 전 세계 천문학자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특별한 행사로, 8월 2일(화)부터 11일(목)까지 열흘 동안 우리나라 벡스코(BEXCO)에서 개최 중이다.  [참고 링크] - NameExoWorld 2022 공식 웹사이트: https://www.nameexoworlds.iau.org/  - IAU OAO 공식 웹사이트 : https://www.iau.org/public/oao/  - Executive Committee WG Exoplanetary System Nomenclature:   https://www.iau.org/science/scientific_bodies/working_groups/331/  [참고 링크] 그림  외계행성 이름짓기 2022 대회 관련 포스터 (Credit: IAU OAO/NARIT)
28 2022-07
[참고자료] 달 표면 무인 탐사를 위해 공동연구 맞손
No. 764
사진 설명: 7월 27일 오후 2시 대전 롯데시티 호텔에서 진행된 달 표면 무인 탐사 모빌리티 개발을 위해 공동연구 협약 체결식. 왼쪽부터 박영득 한국천문연구원장, 박종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부원장, 김현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구부원장, 박정국 현대차·기아 사장, 이상률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 정지영 한국원자력연구원 부원장, 임광훈 한국자동차연구원 경영지원본부장 ■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영득), 한국전자통신연구원(원장 김명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원장 김병석), 한국항공우주연구원(원장 이상률),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박원석), 한국자동차연구원(원장 나승식), 현대차·기아 (사장 박정국)은 7월 27일 오후 2시 대전 롯데 시티 호텔에서 달 표면 무인 탐사 모빌리티 개발을 위해 공동연구 협약을 체결했다. □ 이번 협의체는 성공적인 달 표면 무인 탐사 임무를 목적으로 ▲로보틱스랩을 포함한 로봇 개발 ▲과학 탐사 장비 및 운용을 위한 소프트웨어·하드웨어 설계 분야 ▲우주 환경 대응 분야 ▲탐사 임무 수행을 위한 특수장비 분야를 상호 교류·협력하기로 했다. 협의체는 이르면 8월부터 공동연구에 본격적으로 착수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22 2022-07
[과기부 보도자료] 8월, 세계 천문학자들이 부산으로 모인다
No. 763
8월, 세계 천문학자들이 부산으로 모인다 - 세계 최대규모의 천문학 학술대회인 제31차 국제천문연맹 총회 개최, 대한민국 천문학 우수성 홍보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천문학 분야의 세계 최대 규모 국제학술대회인 국제천문연맹(이하 IAU,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총회가 올 8월 부산에서 열린다고 밝혔다.  ㅇ IAU 총회는 전 세계 천문학자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특별한 행사로, 8월 2일(화)부터 11일(목)까지 열흘 동안 부산 벡스코(BEXCO)에서 개최된다.   ㅇ 2015년 미국 하와이에서 개최된 29차 IAU 총회에서 우리나라는 한국천문학회, 과기정통부, 부산광역시 등 정부와 민간의 적극적인 협력을 통해 남아공(케이프타운), 칠레(산티아고), 캐나다(몬트리올)와 치열한 경쟁 끝에 한국(부산) 유치를 확정한 바 있다.  ㅇ IAU 총회는 3년마다 대륙을 순환하며 열리는데 우리나라에서 개최되는 것은 처음이다. 이번 총회에서는 전체 205개 세션에서 약 1,700개의 학술 발표가 예정되어 있다.  □ 한국천문학회(회장: 박명구)와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영득)이 주관하고, 과기정통부, 부산광역시, 한국관광공사, 부산관광공사 등이 후원하는 이번 총회의 주제는 ‘모두를 위한 천문학’이다.  ㅇ 8월 3일에는 NASA가 발표한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하 JWST, James Webb Space Telescope)의 과학성과에 대한 초청 강연을 시작으로, 8월 5, 6일에는 각각 블랙홀 주변을 영상화한 사건의 지평선 망원경(이하 EHT, Event Horizon Telescope) 국제연구단장 셰퍼드 돌먼(Shepherd Doeleman) 교수와 2011년 노벨상을 수상한 브라이언 슈미트(Brian Schmidt) 교수의 대중 강연 등이 진행된다.  ㅇ 아울러 국립 부산과학관에서는 JWST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는 우주망원경 과학연구소(이하 STScI, Space Telescope Science Institute)의 손상모 박사를 비롯하여 서울대학교의 황호성 교수, 경희대학교의 이정은 교수, 전명원 교수가 ‘차세대 천문학’ 강연을 8월 6, 7일 오전과 오후 총 4회 개최한다.  ㅇ 8월 9일 15시부터 벡스코 야외 전시장에서는 지역 주민과 관광객 대상 천체관측회(Public Star Party)를 개최할 예정으로, 전문가 학술교류 이외에도 다양한 일반 국민 대상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다. □ 총회 행사를 총괄하는 강혜성 조직위원장(부산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교수)은 “이번 IAU 부산 총회를 개최로 우리나라가 세계 10위권의 경제력에 걸맞은 천문학 선진국으로 진입하는 계기가 되고, 이번 총회에서 다양하고 의미 있는 논의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고 했다. □ 과기정통부 오태석 제1차관은 “최근 ‘누리호’ 발사 성공으로 우주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크게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천문학계의 올림픽이라는 행사가 한국에서 열리는 것은 매우 의미 있고, 우리나라 기초과학계의 위상을 반영한다고 생각한다.”며 “정부는 이번 총회 개최를 계기로 한국 천문우주 분야가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도록 전문가들의 심도 있는 논의가 지속되기를 기대하고, 정책적 지원을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이전 총회는 2018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개최됐으며, 다음 총회는 2024년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에서 개최된다. (보도자료 끝. 참고자료 있음.) [참고자료 1] IAU 소개 및 포스터 □ 국제천문연맹, IAU(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 IAU는 84개 국가 12,400명 이상의 천문학자 회원으로 구성된 천문학 분야 세계 최대 규모의 국제기구로, 천체의 이름을 지정할 수 있는 공식적인 권한을 지니고 있다.  ㅇ 1919년 설립된 이래 지난 100여 년 동안 국제협력을 통한 연구 및 정책 수립, 교육 및 대중화 활동 등을 통해 천문학 발전을 이끌고 있다.  ㅇ 2006년 명왕성을 행성 목록에서 분리해 왜소행성으로 지정했으며, 2018년에는 ‘허블의 법칙’ 명칭을 ‘허블 – 르메트르 법칙’으로 개정했다.    - 영문 명칭 :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IAU)   - 설립 연도 : 1919년   - 본부 위치 : 프랑스 파리   - 설립 목적 : 세계 천문학자간 학술교류 도모 및 천문학 각 분야 연구 촉진 등   - 회원 현황 : 정식회원국 84개국 (94개국 참가), 회원 12,400여 명   - 총회 (General Assembly) : 1922년부터 매 3년간 대륙간 순환개최   - 최근 개최지 : 오스트리아 비엔나(2018), 미국 호놀룰루(2015), 중국 베이징(2012), 브라질 리우(2009), 체코 프라하(2006), 호주 시드니(2003), 영국 맨체스터(2000), 일본 교토(1997) IAU 84개 회원국의 대륙별 분포 그림1. 2018년 비엔나에서 개최된 제30차 IAU 총회에서 대회기를 이양 받는 강혜성 교수(조직위원장)와 박명구 교수(한국천문학회장)의 모습 IAU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XXXI General Assembly BUSAN 2022 August 2 (Tue) - 11 (Tue), 2022 BEXCO, Busan, Rep. of Korea 그림 2. IAUGA2022 공식 포스터 IAU 국제천문연맹총회 대중강연 모두를 위한 천문학 대중강연 1 Imaging a Supermassive Black Hole세퍼드 돌먼 교수하버드 & 스미스소니안 천체물리 연구소 TED [역사적인 블랙홀 이미지 이야기]강연 2020 브레이크스루 기초물리학상 수상 대중강연 2 The State of the Universe브라이언 슈미트 교수호주 국립 대학교(ANU) 2011 노벨 물리학상 수상 2015 브레이크스루 기초물리학 수상 강연일자 강연 당 강연자, 날짜, 장소를 나타내는 표 부문 강연자 날짜 장소 대중강연 1 셰퍼드 돌먼 8월 5일 금요일 19:00 ~ 20:30 부산 벡스코 오디토리움 대중강연 2 브라이언 슈미트 8월 6일 토요일 19:00 ~ 20:30 등록방법 등록기간 : 2022년 7월 1일 ~ 2022년 8월 6일(현장등록 가능) 등록방법 (일반) 이벤터스 페이지 방문▶ https://event-us.kr/IAUGA2022/event/445566 (중·고등학생) 1365 자원봉사 포털 신청▶ https://www.1365.go.kr/ IAUGA2022 유트브 체널에서 시청 가능*동시 통역 및 실시간 자막 제공 주관 및 후원 : 한국천문학회, 한국천문연구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부산광역시, 한국관광공사, 부산관광공사, KAOS 문의 : 제31차 국제천문연맹 총회 사무국 (T) 02)6288-6311 (E) outreach@isuga2022.org 그림3. 대중 강연 안내 [참고자료 2] 제31차 국제천문연맹 총회(IAUGA2022) 행사 개요   ㅇ 구성 : 개·폐회식, 초청 강연, 구두 발표 및 포스터 발표, 기념 만찬   ㅇ 기간 : 2022년 8월 2일 ~ 11일    ㅇ 장소 : 부산 벡스코(BEXCO)    ㅇ 후원 : 과기정통부, 부산시, 한국천문연구원, 한국관광공사, 부산관광공사   ㅇ 홈페이지 : www.iauga2022.org 그림4. IAUGA2022가 진행될 부산 벡스코 이미지 [참고자료 3]  대중 강연 및 초청 강연 목록 대중 강연 및 초청 강연 목록의 제목, 일정, 장소, 강연자, 비고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목 일정 장소 강연자 비고 Early Science with the James Webb Space Telescope 8/3 17:30 벡스코 오디토리움 Dr. Klaus Pontoppidan (STScl) 초청강연 (영어) The Hubble Tension 8/4 17:30 벡스코 오디토리움 Dr. Sherry Suyu (MPA/TUM) 초청강연(영어) Imaging a Supermassive Black Hole 8/5 19:00 벡스코 오디토리움 Dr. Sheperd S. Doeleman (Harvard & Smithsonian) 대중강연(통역) The State of the Universe 8/6 19:00 벡스코 오디토리움 Dr. Brian P. Schmidt (ANU) 대중강연(통역) Superflares and super coronal mass ejections on solar-type stars 8/10 17:30 벡스코 오디토리움 Dr. Hiroyuki Maehara (NAOJ) 초청강연(영어) 우주 지도를 활용한 암흑물질과 암흑 에너지의 이해 8/6 10:30 국립부산 과학관 황호성 교수 (서울대학교) 대중강연 생명의 기원 : 우주먼지와 얼음 8/6 13:30 이정은 교수 (경희대학교) 대중강연 우주 최초의 별과 우주 8/7 10:30 전명원 교수 (경희대학교) 대중강연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8/7 13:30 손상모 박사 (STScI) 대중강연 ㅇ IAUGA2022 대중 공개 관측행사(Public Star Party)   - 일  시 : 2022년 8월 9일(화) 15:00~21:30    - 장  소 : 벡스코 제1전시장 앞 광장   - 대  상 : 일반 시민    - 내  용 : 태양 관측, 야간 천체 관측(달 및 행성), 천문우주 체험부스 등   - 주  최 : 한국천문연구원, 가야별연구소, 부산시   - 주  관 : 가야별연구소, 부산과학기술협의회   - 후  원 : 벡스코  ㅇ 관련 사이트     국제천문연맹 https://iau.org/     제31차 국제천문연맹 총회 https://www.iauga2022.org/     한국천문연구원 www.kasi.re.kr     한국천문학회 www.kas.org
20 2022-07
[참고자료] 제미니 과학학술대회 및 대중 강연행사 안내
No. 762
제미니 과학학술대회 및 대중 강연행사 안내 □ 개요 ㅇ 한국천문연구원이 공동 운영에 참여하고 있는 ‘제미니 천문대(Gemini Observatory)’ 주관으로 제미니 과학학술대회(Gemini Science Meeting)가 오는 7월 25일부터 29일까지 서울 밀레니엄 힐튼 호텔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ㅇ 한국에서 처음으로 개최되는 이번 제미니 과학학술대회에는 한국인 연구자를 비롯해 미국, 캐나다, 브라질, 아르헨티나, 칠레 등에서 약 160여 명이 참가해 제미니 천문대를 이용한 최신 연구결과를 공유하고 제미니 천문대의 기기 개발, 운영 방향 등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 학술대회 홈페이지: https://noirlab.edu/science/resources/meetings/gsm2022 ㅇ 특히, 7월 28일 저녁 7시에는 일반 대중도 참여 가능한 ‘천체사진가 권오철의 제미니 천문대 촬영기(영문: The Magic of Astrophotography and Astronomy at Gemini Observatory)’ 특별 강연이 진행된다. 당일 현장 참석은 무료이며 선착순 입장이고, 유튜브에서도 실시간 중계된다.      ※ 강연 안내 페이지: https://noirlab.edu/science/events/websites/gsm2022/gong-gaegang-yeon       ※ 유튜브 링크: https://www.youtube.com/c/GeminiObservatory  □ 7월 28일 대중 강연 ㅇ 권오철 천체사진가는 특별 공개 강연인 ‘천체사진가 권오철의 제미니 천문대 촬영기’를 통해 제미니 천문대를 직접 방문하여 촬영한 아름다운 밤하늘, 제미니 망원경, 천문대에서 근무하고 있는 연구원들의 이야기를 전할 예정이다. 강연은 한국어로 진행(외국인 위한 통역 제공)되며 제미니 천문대 유튜브 채널 등을 통해 온라인 스트리밍으로도 제공될 예정이다. (포스터 별첨)  □ 제미니 천문대와 이번 학술대회의 중요성 ㅇ 제미니 천문대는 미국 하와이와 칠레 세로파촌에 각각 1기씩 세워진 지름 8.1m 대형망원경으로 구성된 국제적인 천문대다. 천문학자들은 제미니 천문대를 통해 태양계 및 외계 행성, 별과 은하의 생성, 블랙홀의 발견, 소행성 기원 등 우주의 생태와 관련된 다양한 천문 관측연구를 수행 중이다.  ㅇ 한국천문연구원은 2018년 7월에 공식 협약을 맺고 2027년까지 연간 약 25~30일의 관측일수를 확보하여, 연구 프로그램에 대해 관측시간 배분, 연구주제 선정 등 주요 의사결정에 참여하고 있다.  [참고자료] 1. 제미니 과학학술대회 포스터 Gemini Observatory Science Meeting Gemini observatory invites its international user community to Seoul, Korea, for a celebration of forefront access to the entire sky, and a preview of the even more exciting things to come. Hosted by the partnership's newest member, this special Science Meeting will feature the latest scientific results from Gemini, news on current instrumentation projects, updates on operations developments, fabulous dining, and lively discussion of Gemini's strtegic plans for the coming decade. Come join us in Seoul! 26-29 July 2022 Seoul, Republic of Korea For information and registration: noirlab. edu/gsm2022 Loc Hwihyun Kim, Gemini Observatory/NSF's NOIRLab (Chair), Ji Yeon Seok, KASI (Co-Chair), Anne Jordan, Gemini Observatory/NSF's NOIRLab (Co-Chair), Narae Hwang, KASI, Venu Kalari, Gemini Observatory/NSF's NOIRLab, Ye Jin Kim, KASI, Jeong-Eun Heo, Gemini Observatory/NSF's NOIRLab, Heeyoung Oh, KASI, Jocelyn Ferrara, Gemini Observatory/NSF's NOIRLab, Soung-Chul Yang, KASI SOC Elliott Horch(Chair), Southem Connecticut State University, Janice Lee, Gemini Observatory/NSF's NOIRLab, John Blakeslee, NSF's NOIRLab, Xiaohui Fan, University of Arizona, Denise Goncalves, Universidade Federal de Rio de Janeiro, Myungshin Im, Seoul National University, JJ Kavelaars, NRC Herzberg Astronomy & Astrophysics, jacqueline Keane, University of Hawai'i, Quinn Konopacky,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Jae-Joon Lee, Korea Astronomy and Sapce Institute, Jennifer Lotz, Gemini Observatory/NSF's NOIRLab, Chung-Pei Ma,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Adam Muzzin, York University, Adam Reiss, Johns Hopkins University & STScl, Carlos Saffe, Universidad Nacional de San Juan, Siyi Xu, Gemini Observatory/NSF's NOIRLab NOIRLab, GEMINI, AURA, NSF, NRC, LNA, 한국천문연구원 2. 특별 공개 강연 포스터 천체사진가 권오철의 제미니 천문대 촬영기 권오철 kwonochul.com 2022 7월 28 목요일 오후 7시 밀레니엄 힐튼 서울 그랜드 볼룸 Seoul 천체사진작가 권오철이 제미니 천문대를 여행하며 촬영한 사진과 이야기를 들려주는 시간. 한국천문연구원이 운영에 참여하고 있는 국제적인 천문시설에서 만난 망원경과 사람들 이야기. Lilve Streaming youtube.com/c/GeminiObservatory 본 강연은 우리말로 진행되며 온라인으로 생중계 됩니다. NOIRLab, GEMINI, AURA, NSF, NRC, LNA, 한국천문연구원
13 2022-07
[참고자료]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첫 영상 공개
No. 761
□ 개요 ㅇ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차세대 우주망원경인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하 JWST)이 찍은 컬러 우주 사진을 공개함.  ㅇ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11일(현지시간) 오후 백악관에서 사전 공개 행사를 통해 첫 이미지인 SMACS 0723 은하단의 심우주(Deep Field) 이미지를 공개함. ㅇ 12일 오전 10시 30분(현지시간, 한국 시각 12일 23시 30분)에는 사전 공개한   SMACS 0723 이미지에 더해 총 5개의 관측자료를 나사 TV를 통해 공개함.  ㅇ 다음과 같은 주제로 순차적으로 공개   심우주(Deep Field) – 외계행성(Exoplanet) – 별의 종말(Stellar Death) – 은하(Galaxy) – 별 탄생(Stellar Birth)  ㅇ 해당 이미지는 아래 사이트에서 확인, 고용량 다운로드 가능함.   (이미지 다운로드 사이트) □ 첫 공개 이미지와 해설   ㅇ 해당 사진은 ‘SMACS 0723’ 은하단으로, 지구에서 46억 광년(1광년은 빛이 1년 가는 거리로 약 9조4600억㎞) 떨어져 있음. ㅇ 공개된 이미지의 과학적 의미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첫 눈에 띄는 주요 특징을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음.  첫 번째, 공개된 이미지는 인류가 적외선 파장으로 관측한 이미지 중 가장 깊게 (또는 가장 멀리), 가장 자세하게 고분해능으로 관측된 심우주 영상임.  두 번째, 이번에 JWST가 관측한 천체 SMACS 0723는  ‘중력렌즈 현상’을 볼 수 있는 은하단으로 중앙에 보이는 무겁고 큰 중심은하 뒤편 더 멀리에 위치하여 원래는 보일 수 없었던 은하들이 중심은하의 중력장의 영향으로 휘어진 공간을 따라서 뒤편 은하들이 내는 빛이 우리에게 관측된 것인데, JWST의 고분해능 적외선 영상은 이 중력렌즈 현상으로 보이게 된 어둡고 멀리 있는 은하들의 세밀한 구조들을 이전 어떤 관측보다 훨씬 더 자세하게 보여준다는 의미가 있음.  세 번째, JWST는 빅뱅 이후 약 3~4억년이 지난 시점에서 생성되기 시작한 최초의 은하들을 촬영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데, 이번에 공개된 이미지에서 중력렌즈 현상으로 관측된 은하 이외에도 모든 영역에 걸쳐서 어둡고, 작은 점으로 보이는 수많은 은하들이 관측됐음. 이들에 대한 연구는 빅뱅 이후 태어난 초기 은하들에 대한 연구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 추후 공개된 이미지와 해설 ㅇ 심우주(Deep Field)    처음 공개한 SMACS 0723 은하단의 컬러 이미지에 더하여 ‘NIRSpec’ 이라는 관측장비로 관측한 어두운 배경 은하의 스펙트럼 분석자료를 공개했고, 분석 결과 이 은하의 나이는 131억년 정도로 측정되었다.  ㅇ 외계행성(Exoplanet)   ‘외계행성 WASP-96b’라고 이름 붙여진 뜨거운 목성형 외계행성(Hot Jupiter)의 대기를 NIRSS라는 스팩트럼 관측기기를 이용하여 관측한 결과를 공개했다. 공개된 WASP-96b 외계행성 대기의 스펙트럼을 통해 기체 상태의 물 분자들의 존재가 확인됐다.  ㅇ 별의 종말(Stellar Death)    남쪽 고리 성운(Southern Ring Nebular)이라고 이름 붙여진 행성상 성운의 근적외선 및 중적외선 컬러 이미지를 공개했다. 행성상 성운은 태양 정도의 질량을 가진 별의 진화의 마지막 단계를 일컫는다. JWST는 지구로부터 약 2천 500광년 정도의 거리에 있는 이 성운의 중심부의 푸른 빛깔의 뜨거운 이온화 가스층에서 바깥쪽으로 이어지면서 오랜지 색으로 보이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수소분자 구름의 자세한 구조를 보여주었다. 또한 이 성운의 중심별이 쌍성계라는 사실을 최초로 확증해 주었다.  ㅇ 은하(Galaxy)     스테판의 오중주(Stephan‘s Quintet)라고 불리는 5개의 은하가 모여 있는 지역을 근적외선 및 중적외선 파장으로 관측한 컬러 이미지를 공개했다. 스테판의 오중주 역시 이전에 허블망원경의 WFC3 카메라로 관측된 바가 있다. 이번 JWST가 내놓은 이미지는 서로 활발하게 상호작용하고 합병하고 있는 은하들의 모습을 놀랍도록 자세하게 보여주고 있다. 합병 과정에서 일어나고 있는 별 탄생의 모습,  영상의 중앙 상단에 위치한 나선은하, NGC7319 중심부에 있는 블랙홀이 주변의 가스와 먼지들을 빨아들이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에너지 제트현상도 이번 관측을 통해서 처음으로 선명하게 드러났다.  ㅇ 별 탄생(Stellar Birth)    이번 공개 행사의 마지막에 지구로부터 약 7천 600광년 정도 떨어진 거리에 있는 용골자리 성운(Carina Nebular)이라고 불리는 별탄생 지역을 근적외선(NIRICam) 및 중적외선(MIRI) 관측기기를 이용하여 촬영한 이미지를 공개했다. Carina Nebular 역시 이전에 허블로 관측된 적이 있으나, JWST가 이번에 공개한 이미지는 차갑고 어두운 먼지 구름 속에 가로막혀서 허블로도 볼 수 없었던, 이제 막 탄생하는 아기별들의 모습들을 선명하게 담고 있다.   □ 제임스웹과 기대 역할 ㅇ JWST는 미국, 유럽연합, 캐나다가 합작해 2021년 12월 25일 발사했다. 제작비만 약 100억 달러(약 13조 원) 투입됐다. 이제까지 가장 큰 우주망원경이었던 허블의 주경, 즉 빛을 모으는 거울의 크기가 지름 2.4m인 것과 비교해 금빛으로 빛나는 18개의 육각형 거울을 벌집 모양으로 이어붙인 제임스 웹의 주경은 6.5m에 달한다. 특히 허블망원경이 파장이 짧은 가시광선 위주였던 반면 JWST는 파장이 긴 적외선 관측용이다. 허블 또는 스피처망원경보다 10~100배 어두운 천체들을 볼 수 있고 적외선을 감지하는 다양한 첨단 관측기기를 이용해 지금까지 어떤 망원경보다도 더 먼 우주를 관측할 수 있다. 중간 크기의 블랙홀, 우주 팽창 속도 등 천문학과 우주연구에서 그동안 연구가 어려웠던 분야에 새로운 관측 데이터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빅뱅 직후 우주 생성 초기 신호를 포착하고 외계행성과 외계 생물체도 조사 임무도 맡았다. 목표 수명은 10년, 최대 20년 작동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12 2022-07
선생님들을 위한 여름 천문우주 온라인 교실 실시
No. 760
선생님들을 위한 여름 천문우주 온라인 교실 실시 - 온라인 천문학 교실 선착순 신청 … 25~26일 진행 ■ 한국천문연구원은 7월 25일(월)부터 이틀간 전국 초·중·고등 교원을 대상으로 온라인 천문우주 강연을 실시한다. □ 한국천문연구원은 1995년부터 매 여름·겨울방학 기간 동안 교원천문 연수를 실시해왔으며 올해 하계 교원천문연수는 코로나19(COVID-19)의 확산 여파로 전 과정을 메타버스 플랫폼인 게더타운(Gather.town)을 통해 진행한다.  □ 이번 온라인 천문우주 교실에서는 최신 천문학과 한국천문연구원의 대표 연구 내용들을 소속 연구자들이 직접 강연한다. 최신 천문학 이슈인 ‘위성항법과 남극에서 보는 우주’,‘천문학의 국제협력과 동향’ ‘전파망원경과 EHT’,‘광학망원경과 제임스웹 망원경’ 주제뿐만 아니라 ‘달 탐사와 다누리호’, 누리호 2차 발사와 우주시대의 시작’ 등 다양한 우주 탐사에 대한 해설을 접할 수 있다.  □ 또한, 메타버스 전시장을 활용하여 제30회 천체사진공모전 수상작 전시회가 진행될 예정이다. □ 하계 온라인 천문학 교실은 7월 11일(월)부터 선착순으로 접수 가능하며 한국천문연구원 홈페이지(과학문화-교원천문연수)를 통해 신청하면 된다. (보도자료 끝. 참고 사진 및 자료 있음.) [참고사진] 한국천문연구원 2022 하계 온라인 천문학 교실 포스터 2022 한국천문연구원 여름 온라인 교원천문연수 메타버스 속 천문우주 탐사 교실 7/25(월) 부원장 육인수10:20-10:50천문학의 국제협력과 동향 광학천문본부 김상철10:50-11:20광학망원경과 제임스웹 망원경 우주위험감시센터 김명진13:40-14:10자연우주물체 위협과 지구방위대 우주과학본부 심채경13:10-13:40달 탐사와 다누리호 7/26(화) 우주과학본부 정종균10:10-10:40위성항법과 남극에서 보는 우주 우주과학본부 박한얼10:40-11:10역법이야기 한국우주연구원 박창수13:40-14:10누리호 2차 발사와 우주시대의 시작 전파천문본부 손봉원13:10-13:40전파망원경과 EHT 기초 천문학부터 최신 연구 성과까지! 메타버스로 체험하는 천문학 강연! 역법부터 블랙홀 관측, 달 탐사, 제임스웹 망원경 그리고 누리호까지! 신청기간: 7월 21일까지 선착순 모집 강연일자: 7월 25일(월)~26일(화) 1일차: 10:00~14:40 2일차: 10:00~14:40 한국천문연구원 [참고자료] 2022년 하계 온라인 천문학 교실 프로그램 1일차(7월 25일) 온라인 강의 2022년 하계 온라인 천문학 교실 프로그램 1일차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구분 일시 강연 내용 1일차 7월 25일(월) 10:05~10:20 (15분) 인사말 10:20~10:50 (30분) 천문학의 국제협력과 동향 10:50~11:20 (30분) 광학망원경과 제임스웹 망원경 13:10~13:40 (30분) 달 탐사와 다누리호 13:40~14:10 (30분) 자연우주물체 위협과 지구방위대 2일차(7월 26일) 온라인 강의 ※ 세부 프로그램은 기관 사정으로 변동가능 2022년 하계 온라인 천문학 교실 프로그램 2일차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구분 일시 강연 내용 2일차 7월 26일(화) 10:10~10:40 (30분) 위성항법과 남극에서 보는 우주 10:40~11:10 (30분) 달력과 역법이야기 13:10~13:40 (30분) 블랙홀과 EHT 13:40~14:10 (30분) 누리호 2차 발사와 우주시대의 시작 [문의]  ☎ 대국민홍보팀 정동민 042-865-32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