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tal 551 RSS
28 2025-07
No. 551 일반
우리 연구원의 2025년 2분기 친인척 채용인원을 붙임과 같이 안내 드립니다.
30 2025-06
한국천문연구원 인권침해 구제절차 타당성평가 설문조사 안내
No. 550 일반
한국천문연구원에서는 다음과 같이 인권침해 구제절차 타당성평가 설문조사를 실시합니다. 많은 참여 부탁 드립니다.
26 2025-06
No. 549 일반
2025학년도 KASI 학부생 견학 프로그램 참가자 모집 대한민국 천문우주과학의 성지, 한국천문연구원(KASI)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유관분야 최고 석학들의 생생한 연구 현장에서 여러분의 꿈을 발견하세요!     한국천문연구원(KASI) 천문우주과학 전공(https://kasi.re.kr/kor/introduce/pageView/332)은 2025학년도 KASI 학부생 견학 프로그램 참가자를 모집합니다. 대전 대덕특구에 위치한 한국천문연구원 캠퍼스는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Astronomy and Astrophysics)과 우주과학(Space Science) 분야에서 기초과학기술 및 응용과학기술 지식 습득에 탁월한 연구 및 교육 환경을 제공하는 국내 유일의 유관분야 과학기술전문 기관으로서, 세계를 향해 도약하는 핵심 과학기술그룹들과 최고의 경쟁력을 갖춘 연구시설 및 실험실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한국천문연구원 최고 석학들의 생생한 연구 현장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견학 프로그램] - 일시: 8월 22일(금) 오전 10시30분 – 오후 5시 (점심 도시락 제공) - 장소: 한국천문연구원 이원철홀 1층 102호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덕대로 776)  - 대상: 대학 학부생 (1순위: 3, 4학년 및 졸업예정자, 2순위: 기타 학년 재학생) - 모집인원: 45명 - 접수기간: 6월26일 09시 - 7월26일 17시 - 신청방법: 온라인 접수 (QR코드 구글폼, 붙임 포스터 참고)  - 문의메일: hradmin@kasi.re.kr - 참가자 선정: 접수기간 내 신청자 중 우선순위에 따라 선착순 45명 선발 모집      * 선정여부 개별 이메일 공지 및 수업공결협조요청 공문 발송 (필요시) - 견학 프로그램  10:30 ~ 10:45 - 도착 및 견학안내 (이원철홀 102호)  10:45 ~ 10:50 - 한국천문연구원장 환영말씀 (박장현 원장) 10:50 ~ 11:00 - 한국천문연구원 스쿨 소개 (선광일 스쿨대표교수) 11:00 ~ 12:00 - 대덕전파망원경 견학, 대덕전파 (정은정 박사) - 광학실험실, 빛마름동 (한정열 교수) - KMTNet 운영실, 이원철홀 (이충욱 박사) 12:00 ~ 13:00 - 점심 식사 (이원철홀 102호) – 연구 분야 교육 포스터 세션 13:00 ~ 14:30 - 고천문 전시물 견학, 세종홀 1층 및 중앙정원 (민병희 교수) - 탐사과학 운영실 (다누리 MOC), 세종홀 1층 (담당자) - SNIPE 지상국 (MOC), 세종홀 3층 (양태용 박사) - 우주물체 감시실, 세종홀 3층 (최진 박사) - 인공위성 탑재체 제작실, 장영실홀 2층 (이대희 교수) - KVN 견학, 장영실홀 2층 (백준현 박사) 14:30 ~ 15:00 - 휴식 (이원철홀 102호) – 연구 분야 교육 포스터 세션 15:00 ~ 17:00 - KASI 연구분야 소개 및 UST안내 (이원철홀 102호) [담당교수] - UST 재학생과의 대화 (이원철홀 102호) [교수진+학생대표단] 17:00 - 견학 종료  - 견학 참가자 지원: 대전 외 지역 참가자 전원에게 왕복 교통비 실비 지급(단, 증빙 서류 제출 필수, 최대 지급 한도: 구간별 KTX 일반석 또는 고속버스 금액 내)
18 2025-06
한-일 공동으로 세계 최대 전파망원경용 새로운 분광기 개발 시작
No. 548 일반
□ 한국천문연구원(이하 천문연)은 일본국립천문대(이하 NAOJ)와 공동으로 세계 최대 전파간섭계 망원경 ALMA(Atacama Large Millimeter/submillimeter Array)용 새로운 분광기 개발을 시작합니다.     ※ 분광기: 분광기는 망원경이 수신한 전파 정보를 주파수에 따른 전파의 강도로 표현된 스펙트럼으로 변환하는 장치  □ 지난 4월 ALMA 이사회는 일본이 ALMA 망원경용으로 설계하고 개발했던 모리타 어레이(the Morita Array)를 위한 새로운 분광기 TPGS(Total Power GPU Spectrometer)의 개발을 승인했습니다. 이 분광기 개발을 천문연과 NAOJ가 공동으로 수행할 계획입니다.  세계 최대 전파간섭계 망원경 ALMA의 모리타 어레이 안테나 그룹 (출처: Morita Array ALMA) □ 해당 한-일 공동 연구팀은 과거 아타카마 컴팩트 어레이(이하 ACA, Atacama Compact Array)라고 하는 유사한 분광기 제작에 성공한 적이 있습니다. ACA 분광기는 2022년 2월 22일에 첫 관측(First Light)에 성공, 이듬해 10월부터 본격적인 관측에 돌입했으며, 올해에는 NAOJ 기관장상(NAOJ Director General’s Award)을 수상하기도 했습니다. □ 이 ACA 분광기 공동 개발의 경험과 기술을 바탕으로 새로운 TPGS 개발이 추진되는 것입니다. TPGS가 개발되면 기존 ACA 분광기를 대체하게 됩니다.  □ TPGS는 ALMA 전체 업그레이드 프로그램(이하 WSU, Wideband Sensitivity Upgrade) 중 동아시아 ALMA가 기여한 주요 성과 중 하나입니다. 이 성능 향상 프로그램을 통해 수신기의 중간 주파수 대역폭이 최소 2배 이상 확장되고, 상관기 및 분광기를 포함한 관련 장치 및 소프트웨어가 향상될 예정입니다.  □ 구체적으로 분광기의 경우, 기존 ACA 분광기에 비해 새로운 TPGS는 안테나에서 수집되는 데이터 입력 속도가 10배 증가하며, 최대 상관 대역폭을 4배 더 높이며, 분광 분해능도 16배 더 정밀하게 향상됩니다.  □ TPGS 프로젝트의 한국측 과제책임자인 천문연 김종수 책임연구원은 "TPGS는 최첨단 그래픽 처리 장치들(이하 GPUs)을 사용해 데이터 처리 능력을 향상시키고, 새롭게 떠오르는 400GbE 기술을 활용해 안테나에서 디지털화된 데이터를 GPU 메모리로 직접 전송함으로써 데이터 수집 성능을 개선할 것이다”며 “매우 성공적이었던 ACA 분광기의 기존 소프트웨어 재사용을 극대화해 신속하게 개발하고 원활하게 연동할 것이다”고 밝혔습니다.  □ 공동 연구팀은 이미 2024년 11월에 개념설계검토(CoDR, Conceptual Design Review) 및 체계요구조건검토 (SRR, Subsystem Requirements Review)를 통과했습니다. 이제 개발팀은 2026년 초로 예정된 기본설계검토(PDR, Preliminary Design Review)를 위한 작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 한편, 총 66개의 ALMA 안테나 중 일본이 개발한 16개의 안테나는 ‘모리타 어레이’라는 별명을 가진 아타카마 콤팩트 어레이(ACA)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ACA는 총 16개의 안테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중 12개는 7미터 크기의 안테나이고, 나머지 4개는 12미터 크기의 안테나입니다. 12미터 안테나 4개는 따로 '토탈 파워 어레이(Total Power(TP) Array)'이라는 이름으로 불립니다. ACA는 우주 공간에 넓게 퍼져 있는 가스나 천체들, 그리고 우주의 큰 구조물에서 나오는 전파 신호를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습니다. □ 아타카마 대형 밀리미터/서브밀리미터 어레이(이하 ALMA, The Atacama Large Millimeter/submillimeter Array)는 국제 천문 시설로, 유럽남방천문대(이하 ESO,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Astronomical Research in the Southern Hemisphere), 미국 국립과학재단(이하 NSF, the U.S. National Science Foundation) 및 일본 자연과학연구기구(이하 NINS, the U.S. National Science Foundation)가 칠레 공화국과 협력하여 운영하는 공동 사업입니다. ALMA는 회원국들을 대표하는 ESO, 캐나다 국립연구위원회(NRC, the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Canada)와 대만 국가과학기술위원회(NSTC, the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Council)와 협력하는 NSF, 그리고 대만 중앙연구원(AS, the Academia Sinica)과 한국천문연구원과 협력하는 NINS에 의해 자금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ALMA의 건설과 운영은 회원국들을 대표하는 ESO, 북미를 대표하여 연합대학법인(AUI, Associated Universities, Inc.)이 관리하는 국립전파천문대(NRAO, the National Radio Astronomy Observatory), 그리고 동아시아를 대표하는 NAOJ가 주도하고 있습니다. 공동 ALMA 천문대(JAO, The Joint ALMA Observatory)는 ALMA의 건설, 시운전 및 운영에 대하여 통합적으로 이끌고 관리합니다. □ 한국천문연구원은 2012년 일본국립천문대(NAOJ)와 ALMA 협력에 대한 협약을 맺고 2013년부터 사용이 가능하게 됐습니다. 2014년 8월에는 일본자연과학연구기구(NINS)와 ALMA 운영 및 개발에 관한 협약을 맺어 동아시아 ALMA 컨소시엄에 일본 등에 이어 공식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04 2025-06
No. 547 일반
우리나라가 세계 최대 망원경인 GMT 건설 사업에 참여하게 됨에 따라 GMT 시대에 활동하게 될 예비 천문학자들과 한국천문연구원 광학 관측 연구자들이 함께, 직접 망원경과 관측기기를 이용하여 천체관측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광학관측 천문학에 대한 이해를 돕고, 예비 천문학자들과의 교류를 도모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2025년 소백산천문대 대학생 여름학교”를 개최합니다. ■ 목적   - 전공대학생 등 예비천문학자에 대한 천체관측 연구연수를 통한 관측천문학 이해 증진   - GMT 시대를 대비한 광학 관측 천문학자 육성 ■ 주제 : "CCD Photometry with IRAF" ■ 대상 : 천문학 관련 전공 학부생(2, 3학년 이상, 측광학 이수자)    ※ 여름학교를 이수한 참가자는 2026년 소백산천문대 겨울학교 우선 선정 대상자에 포함됩니다 ■ 일정 : 2025년 8월 11일(월) ~ 2025년 8월 14일(목) [3박 4일간] ■ 인원 : 10명 내외 ■ 여름학교 강의 계획   - 천체측광관측    - Linux 및 IRAF 기초   - Aperture / PSF Photometry   - 천체의 광도곡선 및 색등급도 작성   - 특강 : 미정 ■ 참가비는 소백산천문대에서 전액 지원(개인교통비는 제외) ■ 강사진 : 한국천문연구원 소속 연구원 ■ 신청 및 마감 : 참가자 직접 이메일 신청, 2025년 7월 11일 마감 ■ 선정 및 통보 : 강사진이 선정, 이메일 개별 통보 (7월 17일까지) ■ 신청 접수 및 문의   - 문의 : 043-422-1108   - 신청접수: soaoedu@gmail.com ■ 참가신청서 다운로드 : 첨부파일 (2025년 대학생 여름학교 참가신청서.hwp) 한국천문연구원 관측인프라운영본부 광학인프라센터
09 2025-05
No. 546 일반
우주항공청에서는 2025년 6월 중 한국천문연구원에 대한 종합감사를 실시할 예정입니다. 이에 우주항공청에서는 직원 여러분의 업무수행 과정에서 발생한 불합리한 사항 등에 대해 의견을 수렴하오니 의견을 제출해 주시기 바랍니다. - 의견 수렴 내용 - ① 업무(연구) 수행과정에서의 개선이 필요한 사항(잘못된 관행 등) ② 예산 및 연구비 부당 집행 사례 ③ 우주청 및 상급자 등의 부당 지시 및 갑질 사례 ④ 연구원의 비위 사례 ⑤ 기타 개선이 필요한 사항 등 ㅇ 접수기간 : 2025.5.12. ~ 감사종료일까지. ㅇ 접수처 : kjw2850@korea.kr, smilekcg@korea.kr, llalsdn@korea.kr  아울러, 동 의견수렴은 「부패방지 및 국민권익위원회의 설치와 운영에 관한 법률」제76조에 따라 시행하는 사항이며, 또한, 같은 법 제62조 및 제64조 등에 따라 의견 제출자와 의견 내용에 대해서는 비밀이 보장되며, 신분상 불이익 등을 받지 않도록 보호됨을 알려드립니다. 
02 2025-05
No. 545 일반
KASI-Yonsei Postdoctoral Positions (2025) The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KASI) and Yonsei University invite applications for postdoctoral research associates. The positions are initially for 2 years and could be renewed for another two years based on the mid-term evaluation. Qualified applicants are those who earned their Ph.D. within the past 5years (starting date is within 5 years of receiving their Ph.D.) or those who will obtain their Ph.D. before the appointment date. The postdoctoral offices will be mainly on the Seoul campus of Yonsei University. We welcome applicants from all fields of astronomy and astrophysics, while some preference will be given to those who have interests in (1) galaxy formation and evolution including galaxy clusters and environmental studies, low-surface brightness phenomena, and numerical simulations, (2) inference of machine learning for astronomical data sets (e.g., in respect of LSST and DESI), or (3) any other fields that are active in both KASI and Yonsei astronomy department. Salary will be commensurate with experience and qualifications. The pay grade will be determined based on experience and performance. An appropriate research fund is available for travel, publication fee, and equipment. Korean applicants must have completed mandatory military service or received an exemption, and must be eligible to travel abroad. Applicants should send 1) a short research plan (1 page), 2) a CV with a publication list, and 3) a list of two referees who would write a letter of recommendation if the applicant is shortlisted to Prof. Sukyoung Yi (yi@yonsei.ac.kr) or Dr. Taehyun Jung (thjung@kasi.re.kr) by 31 May 2025. Applicants must be available to begin the position no later than October 2025. Questions should be sent to Prof. Sukyoung Yi (yi@yonsei.ac.kr) or Dr. Taehyun Jung (thjung@kasi.re.kr). Application Deadline: 31 May 2025 Email: Prof. Sukyoung Yi (yi@yonsei.ac.kr), Dr. Taehyun Jung (thjung@kasi.re.kr)
29 2025-04
2025년 하계 UST 연구인턴십 선발 공고
No. 544 일반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한국천문연구원 스쿨)에서 2025년 하계 연구인턴십을 모집합니다. 1. 지원자격   - 대한민국 국적자   - 국내 대학교 학부과정 4학기 이상 이수한 재적생 혹은 졸업생     ※ 자세한 지원자격은 선발 공고문 참조 2. 지원접수   - 지원기간: 2025. 4. 23.(수) 10시 ~ 5. 6.(화) 15시   - 지원방법: 연구인턴십 지원시스템(intern.ust.ac.kr) 통한 지원   - 합격자 발표: 2025. 6. 5.(목) 15시  3. 주요내용   - 국가연구소 인턴십 수행을 통한 진로탐색   - 국가연구소 박사급 연구자인 UST 교수의 지도   - 석·박사급 연구자의 1:1 멘토링 지원   - 총 120만원 활동비 지급   - 연구활동 종사자 보험 가입(전액 UST 부담) 4. 참고사항   - 필수 제출서류(재학/휴학/졸업증명서 및 성적증명서)를 미제출하거나 공고일 이전 발급된 서류를 제출하는 경우 자동 불합격 처리   - 지도교수에 따라 면접 없이 서류심사만 진행할 수 있음   - 기타 자세한 사항은 선발공고문 확인 5. 문의: intern@ust.ac.kr, 042-865-2421 미래를 혁신하고 세계를 선도하는 UST 2025 하계 UST 연구인턴십 지원자격 국내 대학교 학부과정 4학기 이상 이수한 재적생 및 졸업생 ※ 석사·박사과정 재적생 및 졸업생 지원 불가 ※ 자세한 지원자격은 선발 공고문 참조 선발인원 약 150명 주요 활동 및 혜택 국가연구소 인턴십 수행을 통한 진로탐색 국가연구소 박사급 연구자인 UST 교수의 지도 석·박사급 연구자의 1:1 멘토링 지원 총120만 원 활동비 지급 연구활동 종사자 보험 가입(전액 UST 부담) 연구인턴십 일정 모집공고 : 2025.4.16.(수) 지원접수 : 2025.4.23.(수) ~ 5.6.(화) ※ intern.ust.ac.kr 로 접속 혹은 QR코드 스캔 활동기간 : 2025.7.4.(금) ~ 8.8.(금) ※ 발대색 및 해단식 일자 포함 문의처 UST 입학팀(inhwa@ust.ac.kr, 042-865-2421) 인턴십 지원하기
28 2025-04
No. 543 일반
우리 연구원의 2025년 1분기 친인척 채용인원을 붙임과 같이 안내 드립니다.
28 2025-04
No. 542 일반
2025년 대한민국 안전大전환, 집중안전점검(2025. 4. 14.~6.13.) 여러분의 작은 관심과 행동이 큰 변화를 만들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붙임의 카드뉴스를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