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Understanding Surface Brightness
2018-07-17
  • Speaker : Eodam Hwang
  • Date : 2018-03-07 14:00 ~ 15:00
  • Place : J329
  • Professor : Do-Young Byun

 표면밝기의 정의와 표면 밝기와 혼동할 수 있는 다른 flux측정 개념에 대해 이야기하였음. 안시관측의 경우에 빛을 내는 광원의 표면적이 넓어지는 경우, 각 단위 면적당 면적에 비례하여 감소된 표면 밝기 값을 가짐. 하지만 안시관측에서 우리 눈의 동공 면적 한계로 인해 보이는 빛을 다 받아들이지 못하게 됨. 광원에서 내는 빛이 100이라면 눈에서는 100을 받을 수 있는 면적이 부족하여 일부만 받게 되는 것임. 하지만 망원경을 이용하여 광원을 보게 되면, 망원경의 구경이 커지는 것에 비례하여 더 빛을 많이 받아들이고 더 밝게 볼 수 있는 것처럼 느껴짐. 결론적으로는 광원에서 내는 빛의 양은 일정하고 인간이 망원경을 사용하더라도 눈으로 빛을 받아들이게 되므로 보는 빛의 양은 일정함. 또한 인간의 광학체계는 어두운 빛들을 저장하여 한 번에 처리 할 수 없으므로 인간이 볼 수 있는 광도의 한계가 존재함. 이러한 이유로, 천문학에서 안시관측이 아닌 빛의 양을 대부분 보존하여 기록하기에 용이한 CCD라는 기기를 사용하고 있음.


참고자료 : Sky&Telescope 06 Dec 2017 P.28

만족도 조사
콘텐츠 담당부서
콘텐츠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