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개요
  • 생명체 탄생의 본질을 파악하기 위하여, 별과 외계행성의 생성과 진화 및 내부구조 등과 같은 물리적/화학적 특성을 규명해야 할 필요가 있음
  • 천문(연)은 24시간 연속관측이 가능한 광시야 탐색시스템 KMTNet 등을 활용하여 외계행성과 희귀한 특이 변광성의 발견 및 특성연구를 수행하고 있음
주요 연구내용

분광관측을 통한 시선속도 변화 방법으로 외계행성 탐색과 물리적/화학적 특성 분석

외계행성 KOI-2687 b,c의 상상도(좌)와 BOES 시선속도 곡선(우)

외계행성 KOI-2687 b,c의 상상도(좌)와 BOES 시선속도 곡선(우)
보현산천문대 고분산에셀분광기(BOES)를 이용한 시선속도 후속관측으로 Kepler 천체 KOI-974 b와 KOI-2687 b,c가 외계행성임을 증명
(이병철 등, Astrophysical Bulletin 심사 중, 한국과 러시아 국제공동연구).
KOI-974 b는 지구반경 4배의 해왕성 질량이며, KOI-2687 b,c는 모두 지구질량의 외계행성으로 추정

미시중력렌즈 방법을 이용한 외계행성 발견 및 특성 연구

KMTNet 지상망원경과 Spitzer 우주망원경 공동관측 상상도
광도곡선 변화 그래프

KMTNet 지상망원경과 Spitzer 우주망원경 공동관측 상상도(좌)와 광도곡선(우)
지구질량 외계행성 발견(Shvartzvald 등, 2017, ApJL, 840, L3, 천문연구원 연구진이 국제공동연구 참여)

미시중력렌즈 방법으로 발견한 나홀로 행성의 상상도
광도곡선 그래프

미시중력렌즈 방법으로 발견한 나홀로 행성의 상상도(좌)와 광도곡선(우)
나홀로 행성 발견(Morz 등, 2020, ApJL, 903, L11, 천문연구원 연구진이 국제공동연구 참여)

별표면 통과(Transit)와 시각측정(Timing) 분석 방법으로 행성 탐색 및 물리량 정밀 측정

외계행성 상상도

외계행성 상상도

광도곡선 변화 그래프

극심시각 변화곡선

2개의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 2개의 외계행성 세계최초 발견(이재우 등, 2009, AJ, 137, 3181)

희귀한 특이 변광성 발견으로 국제천문학계에 영향력 있는 성과를 창출

미시중력렌즈 방법으로 발견한 나홀로 행성의 상상도

식과 맥동현상을 보이는 광도곡선

광도곡선 그래프

쌍성효과를 제거하고 남은 맥동 주파수

TESS 우주망원경의 관측자료를 분석하여 희귀 천체인 맥동식쌍성 발견(이재우 등, 2019, AJ, 157, 223).
식쌍성의 공전주기는 약 7.59일이고, 다중 맥동주기는 0.077-0.101일 사이에 분포

연구시설 및 장비 관련 활용 기술
  • 레몬산/소백산/보현산망원경, KMTNet, Spitzer, Kepler, TESS, 다수의 2미터급 분광망원경(태국 TNO, 중국 YO, 일본 OAO 등) 
만족도 조사
콘텐츠 담당부서
콘텐츠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