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0년간의 노벨 과학상을 분석하여 노벨상을 수상한 연구를 유형별로 분류, 세계적인 수준의 과학자를 배출하기 위한 정책 방향 제시
노벨상을 수상한 대부분의 연구는 ’패러다임 전환형 연구’
지금 중요한 연구만을 지원하는 정책으로는 노벨상을 기대할 수 없음. 노벨상을 수상한 많은 연구들은 시작 당시에 크게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았고 지원을 받는 데도 어려움을 많이 겪었음.
[과제1] 고위험-고보상 연구에 대한 정책적 지원 수단 개발
[과제2] 패러다임 창출을 위한 다학제적, 기구적 성격의 연구 지원
[과제3] 유연하고 지속적인 연구지원체제의 도입
[과제4] 국제적 연구 네트워크의 구축 지원
지난 30년간의 노벨 과학상을 분석하여 노벨상을 수상한 연구를 유형별로 분류, 세계적인 수준의 과학자를 배출하기 위한 정책 방향 제시
노벨상을 수상한 대부분의 연구는 ’패러다임 전환형 연구’
지금 중요한 연구만을 지원하는 정책으로는 노벨상을 기대할 수 없음. 노벨상을 수상한 많은 연구들은 시작 당시에 크게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았고 지원을 받는 데도 어려움을 많이 겪었음.
[과제1] 고위험-고보상 연구에 대한 정책적 지원 수단 개발
[과제2] 패러다임 창출을 위한 다학제적, 기구적 성격의 연구 지원
[과제3] 유연하고 지속적인 연구지원체제의 도입
[과제4] 국제적 연구 네트워크의 구축 지원
과학기술과 ICT를 통한 창조경제와 국민행복 실현
“창의성으로 희망의 새 시대를”
◆ 국가 R&D와 ICT 역량을 총동원해 창업생태계 조성
◆ 과학기술과 ICT를 기반으로 신산업과 신수요를 창출하고 기존산업 강화◆‘21세기의 언어인 SW’와 콘텐츠를 창조경제의 핵심 산업으로 육성
□ 미래창조과학부(이하 ‘미래부’, 장관 : 최문기)는 4월 18일(목) 오전 청와대에서 방송통신위원회, 원자력안전위원회와 합동으로 박근혜 대통령에게 2013년도 업무계획을 보고하였다.
○ 이 자리에서 최문기 장관은 “이미 세상에 존재하는 산업만으로는 일자리 창출과 경제 성장에 한계가 있다”고 진단하고,
○ 과학기술과 ICT를 세계 최고 수준으로 육성하여 신산업을 창출하고 각 산업에 융합?확산시켜 창조경제를 실현해야 한다고 말했다.
과학기술과 ICT를 통한 창조경제와 국민행복 실현
“창의성으로 희망의 새 시대를”
◆ 국가 R&D와 ICT 역량을 총동원해 창업생태계 조성
◆ 과학기술과 ICT를 기반으로 신산업과 신수요를 창출하고 기존산업 강화◆‘21세기의 언어인 SW’와 콘텐츠를 창조경제의 핵심 산업으로 육성
□ 미래창조과학부(이하 ‘미래부’, 장관 : 최문기)는 4월 18일(목) 오전 청와대에서 방송통신위원회, 원자력안전위원회와 합동으로 박근혜 대통령에게 2013년도 업무계획을 보고하였다.
○ 이 자리에서 최문기 장관은 “이미 세상에 존재하는 산업만으로는 일자리 창출과 경제 성장에 한계가 있다”고 진단하고,
○ 과학기술과 ICT를 세계 최고 수준으로 육성하여 신산업을 창출하고 각 산업에 융합?확산시켜 창조경제를 실현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물리학회는 대한민국이 당면한 각종 생산산업, 정보통신, 에너지, 환경, 의료, 경제 사회의 문제를 극복하고 국가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기 위하여 이제까지 모방적 추격형으로 수행되어온 과학기술연구를 세계 선도적 창조형으로 발전시켜야 하며, 이를 위한 기반이 기초과학 중의 기초과학인 물리학의 학문적 성취 및 연구력을 세계 5위권으로 발전시킴으로써 마련될 수 있다고 확신한다. 대한민국 물리학의 발전을 위해서는 대규모의 연구투자가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필요하며, 이를 위한 물리학 선도분야 육성방안 작성을 위하여 신성철 한국물리학회 회장의 위촉으로 2011년 초에 한국물리학회 비전정책특별위원회(공동 위원장: 오세정 교수, 박영아 교수)를 구성하고 비전정책특별위원회 안에 선도분야육성 소위원회(위원장: 이범훈 교수)를 구성하였다.
[ 목차 ]
머릿말
1. 입자물리학 로드맵
2. 원자물리학 로드맵
3. 응집물질물리학 로드맵
4. 응용물리학 로드맵
5. 통계물리학 로드맵
6. 플라즈마물리학 로드맵
7. 광학 및 양자전자학 로드맵
8. 원자 및 분자물리학 로드맵
9. 반도체물리학 로드맵
10. 천체물리학 로드맵
한국물리학회는 대한민국이 당면한 각종 생산산업, 정보통신, 에너지, 환경, 의료, 경제 사회의 문제를 극복하고 국가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기 위하여 이제까지 모방적 추격형으로 수행되어온 과학기술연구를 세계 선도적 창조형으로 발전시켜야 하며, 이를 위한 기반이 기초과학 중의 기초과학인 물리학의 학문적 성취 및 연구력을 세계 5위권으로 발전시킴으로써 마련될 수 있다고 확신한다. 대한민국 물리학의 발전을 위해서는 대규모의 연구투자가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필요하며, 이를 위한 물리학 선도분야 육성방안 작성을 위하여 신성철 한국물리학회 회장의 위촉으로 2011년 초에 한국물리학회 비전정책특별위원회(공동 위원장: 오세정 교수, 박영아 교수)를 구성하고 비전정책특별위원회 안에 선도분야육성 소위원회(위원장: 이범훈 교수)를 구성하였다.
[ 목차 ]
머릿말
1. 입자물리학 로드맵
2. 원자물리학 로드맵
3. 응집물질물리학 로드맵
4. 응용물리학 로드맵
5. 통계물리학 로드맵
6. 플라즈마물리학 로드맵
7. 광학 및 양자전자학 로드맵
8. 원자 및 분자물리학 로드맵
9. 반도체물리학 로드맵
10. 천체물리학 로드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