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콜로퀴움

간의대 의표(儀表) 연구- 자격루 복원 2008-09-17

  • Speaker : 남문현 교수(건국대)
  • Date : 2008-09-17 16:00 ~ 17:30
옛날 사람들은 물의 흐름을 이용하여 시간을 쟀는데 이것이 물시계의 시초다. <br /><br />
물시계는 해시계와 더불어 사용되었지만, 밤낮으로 시간을 알아내는 데는 <br /><br />
물시계가 더 쓸모가 있어 동아시아를 비롯한 대부분의 문화권에서는 표준시계로 <br /><br />
사용되었다. 조선 세종은 위정자의 임무의 하나인 관상수시를 제대로 실현하기 <br /><br />
위해 조선의 실정에 맞는 수시(授時)제도를 갖추도록 여러 가지 정책을 세우고 <br /><br />
구체적인 사업에 착수하였다. 그리고 그와 아울러 천문관측의 필요성을 느껴 <br /><br />
그 일환으로 간의대를 만들고, 간의와 규표, 시보를 위한 보루각, 해시계 등의 <br /><br />
여러 천문기구들을 제작, 설치하였다. 그 중의 하나가 자격루이다. 자격루는 <br /><br />
물시계 시스템을 비롯하여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방목-동판), 에너지 <br /><br />
증폭기구(철환방출기구), 12시 시보장치(時機), 경점 시보장치(更點機) 등으로 <br /><br />
이루어진 복합 시스템이다. 동아시아 전통의 3단 유입식(流入式) 물시계 기술과, <br /><br />
13세기 아랍에서 제작된 시계에서 아이디어를 얻은 시보장치의 기술, 그리고 <br /><br />
한국 전래 기술의 융합으로 탄생된 자격루는 우리 풍토와 전통을 대변하는 <br /><br />
한국성(韓國性)과 아울러 세계로 열린 보편성을 지닌 창의적인 발명품이다. <br /><br />
그러나 이렇게우리 역사는 물론, 15세기 동아시아 시계기술사, 오토메이션(자동화)과 <br /><br />
로보틱스 역사의 한 장을 장식한 자격루이지만, 아쉽게도 1866년 병인양요의 <br /><br />
와중에 소실되어 자격루 설계도는 전해오지 못하게 되었다. 지난 30년 동안 <br /><br />
우리의 얼굴인 만 원권 지폐 속에 살아온 ‘물시계’는 세종 자격루의 후신이다. <br /><br />
이「보루각기」속의 자격루가 573년 만에 그 진면목을 우리 앞에 드러냈고, <br /><br />
연구를 시작한지 23년이라는 기나 긴 여정을 거친 후인 지난 2007년 11월말에 <br /><br />
복원되었다. 이번 발표에서는 세종시대의 왕성했던 의표사업과 아울러 새로 <br /><br />
복원한 자격루의 시스템과 복원과정을 설명하면서 한국의 전통과학기구들을 <br /><br />
살펴보고자 한다. <br /><br />
<br /><br />

attachment(1)

만족도 조사
콘텐츠 담당부서우주진화연구센터
콘텐츠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