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국정기조인 창조경제 실현을 위하여 향후 5년간 우리나라 과학기술 투자 및 정책목표, 추진방법 등을 설정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전략 연구로 ’창조적 과학기술로 여는 희망의 새시대’를 비전으로 5개 전략분야를 고도화하고, 19개 분야, 78개 과제를 수립
(High 1) 국가 연구개발 투자 확대 및 효율
- ’17년까지 총 92.4조원의 정부 연구개발예산 투자
- 선도형 연구개발 기획 - 관리 - 평가 시스템으로 개편
(High 2) 국가전략기술 개발
- 5대 분야 전략기술개발 추진(국가전략기술 120개, 중점기술 30개)
- 새로운 연구개발 추진모델 적용(안)
(High 3) 중장기 창의역량 강화
- 정부 연구개발예산 대비 기초연구 투자 비중 확대(’17년 40%)
- 국가발전의 중추거점으로 출연(연) 육성, 출연(연) 협동?융합연구 예산 확대
(High 4) 신산업 창출 지원
- 중소?벤처기업 중심 연구개발지원 강화
- 지식재산권(IP)을 고려한 연구개발 기획 강화
(High 5) 과학기술 기반 일자리 창출
- 1인 창조기업, 기술아이템 및 인력정보 지원 등 기술창업 지원 강화
- 연구장비 엔지니어, 빅데이터 전문가 등 新직업군 창출
[목차]
제1부 국가과학기술 비전
Ⅰ. 추진배경 및 추진체계
Ⅱ. 기본계획 비전, 목표 및 정책방향 수립체계
Ⅲ. 국가과학기술 비전과 목표
제2부 국가연구개발 투자 확대 및 효율화
Ⅰ. 추진배경 및 현황 분석
Ⅱ. 목표 및 추진전략
Ⅲ. 중점 추진과제
제3부 국가전략기술 개발
Ⅰ. 추진배경 및 현황 분석
Ⅱ. 우리나라 연구개발 역량 분석
Ⅲ. 국가전략기술 개발
제4부 중장기 창의역량 강화
Ⅰ. 창의적 기초연구 진흥
Ⅱ. 창의?융합 인재 양성?활용
Ⅲ. 국가발전 중추거점으로 출연(연) 육성
Ⅳ. 과학기술 글로벌화
Ⅴ. 새로운 지역 혁신체계 구축
Ⅵ. 창의적 과학문화 조성
제5부 신산업 창출 지원
Ⅰ. 중소?벤처기업 기술혁신 지원 ·
Ⅱ. 지식재산 생태계 조성
Ⅲ. 기술이전?사업화 촉진
Ⅳ. 신시장 개척 지원
제6부 과학기술 일자리 확대
Ⅰ. 창업 주체별 지원체계 구축
Ⅱ. 기술창업 생태계 조성
Ⅲ. 새로운 과학기술 일자리 창출
제7부 기본계획 이행방안
※ 보고서의 업로드 용량 초과로 원문 사이트에서 다운받아 보시길 바랍니다.
첨부파일(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