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보도자료

11월 19일 달 일부가 지구에 가려지는 부분월식 천문현상 예보 2021-11-11

11월 19일 달 일부가 지구에 가려지는 부분월식 천문현상 예보

- 부분월식 최대식 시각 19일 18시 2분 54초…월출 이후 관측 가능 -


■ 한국천문연구원은 11월 19일 달의 일부가 지구의 본그림자에  가려지는 부분월식이 일어난다고 예보했다. 이번 월식은 11월 19일 16시 18분 24초에 달의 일부분이 가려지는 부분식이 시작되지만, 달이 17시 16분에 뜨기 때문에 월출 이후 시점부터 관측이 가능하다. 


그림1. 2021년 11월 19일 부분월식 진행도


그림1. 2021년 11월 19일 부분월식 진행도


표1. 11월 19일 부분월식 진행 시각

표1. 11월 19일 부분월식 진행 시각

11월 19일 부분월식 진행시각
진행상황 시각(KST)
반영식의 시작 11월 19일 15시 00분 24초
부분식의 시작 16시 18분 24초
월출 17시 16분
부분식의 최대 18시 02분 54초
부분식의 종료 19시 47분 24초
반영식의 종료 21시 05분 30초
일몰 : 17시 19분 월출 : 17시 16분


 이날 지구 본그림자가 달을 가리는 부분식은 16시 18분 24초에 시작되며 18시 2분 54초에 최대, 19시 47분 24초에 부분식이 종료된다. 이번 부분월식의 최대 식분은 0.978로 달의 대부분이 가려져 맨눈으로도 쉽게 구분할 수 있다. 이번 월식은 아프리카 서부, 유럽 서부, 아메리카, 아시아, 호주, 대서양과 태평양에서 볼 수 있다.


 달이 지구 그림자에 최대로 가려지는 ‘최대식’ 시각은 18시 2분 54초인데, 이때 달의 고도가 약 7.8도로 높지 않기 때문에 동쪽 지평선 근처 시야가 트여 있는 곳에서 맨눈으로 관측이 가능하다.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다음 월식은 2022년 11월 8일에 달이 지구의 본그림자에 완전히 가려지는 개기월식이다. (보도자료 끝. 참고 그림 및 설명 있음.)



[참고 동영상] 

 2011년 12월 10일 ‘개기월식’ 동영상(한국천문연구원 전영범 책임연구원 촬영)

- 다운로드 링크 : http://210.110.233.66:8081/api.link/3d_baLIJGbHeTecL_A~~.mp4

- 오는 11월 19일 월식은 달의 일부가 가리는 부분월식이지만, 최대식분이 0.978로 달의 대부분이 가려지므로 실제 관측은 동영상의 개기월식과 거의 흡사하게 보인다.


[참고 사진] 

그림 2. 부분월식(2017.8.8. 촬영)

그림 2. 부분월식(2017.8.8. 촬영)


그림 3. 개기월식(2011.12.10., 한국천문연구원 전영범 책임연구원 촬영)

그림 3. 개기월식(2011.12.10., 한국천문연구원 전영범 책임연구원 촬영)


[참고 설명] 


 월식은 어떤 원리로 일어나게 될까?

월식은 지구가 달과 태양 사이에 위치하여 지구의 그림자에 달이 가려지는 현상이다. 보름달일 때에 일어나며 지구가 밤인 지역에서는 어디서나 볼 수 있다. 그러나 달의 궤도와 지구의 궤도가 약 5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달의 위상이 보름달일지라도 월식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지구의 본 그림자에 달의 일부가 들어갈 때 부분월식이 일어나며, 달의 전부가 들어갈 때 개기월식이 일어난다. 달이 지구 그림자에 들어간다고 안 보이게 되는 것은 아니다. 지구 대기를 통과한 태양 빛이 굴절되며 달에 닿게 되고, 이 빛에 의해 달이 검붉게 보이게 된다. 


그림4. 월식의 원리

그림4. 월식의 원리


만족도 조사
콘텐츠 담당부서
콘텐츠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