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보도자료

태양 코로나그래프(CODEX), 발사 후 국제우주정거장 도킹 성공 2024-11-06

태양 코로나그래프(CODEX), 발사 후 국제우주정거장 도킹 성공

- 5일 23시 52분 CODEX 실은 화물선, 국제우주정거장 도킹 완료


 우주항공청(청장 윤영빈, 이하 ‘우주청’)과 우주청 산하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영득, 이하 ‘천문연’)은 11월 5일(화) 오전 11시 29분(현지시간 11월 4일(월) 21시 29분) 태양 코로나그래프(이하 CODEX, COronal Diagnostic EXperiment)가 미국 플로리다의 케네디우주센터에서 발사됐으며, CODEX를 탑재한 스페이스X의 드래곤(Dragon) 화물선이 5일(화) 23시 52분(현지시간 5일(화) 9시 52분) 성공적으로 국제우주정거장에 도킹했다고 밝혔다.

  천문연은 스페이스X로부터 발사 직후 발사체 1단과 2단 분리 및 드래곤 화물선과 발사체 2단 분리 정보를 확인했으며, 발사 약 12시간 후 드래곤 화물선이 성공적으로 국제우주정거장에 도킹한 것을 확인했다. 

  CODEX는 11월 9일부터 11일까지 3일에 걸쳐 NASA의 자동 로봇팔을 이용해 국제우주정거장의 예정된 위치(ELC3-3)에 설치된다. 설치 이후 약 1개월의 시험 운영(Commissioning) 기간을 거쳐 6개월에서 최대 2년간 국제우주정거장의 90분 궤도 주기 동안 최대 55분씩 태양 관측 임무를 수행한다. CODEX는 태양 코로나의 형상만 촬영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에 제한적으로만 관측할 수 있었던 코로나의 온도와 속도를 세계 최초로 하나의 기기에서 동시에 관측해 2차원 영상으로 구현한다.


  한국 측 연구책임자인 천문연 김연한 박사와 한국 측 기술개발을 총괄하는 최성환 박사 연구팀은 “2016년부터 시작한 NASA와 태양권물리분야 공동협력과 개발이 무르익어 발사와 도킹까지 성공하게 되어 무척 기쁘고, 여전히 긴장된다”고 전했다.


  NASA 측 연구책임자인 제프리 뉴마크(Jeffrey Newmark) 박사는 “한국이 가지고 있는 우수한 소프트웨어 기술과 NASA의 광학계 및 태양 추적장치 기술이 잘 접목된 상생 기술의 성공사례일 것”이라며 “앞으로 남은 국제우주정거장으로의 설치와 운영에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강현우 우주청 우주과학탐사임무설계프로그램장은 “차세대 코로나그래프 CODEX의 성공적인 발사는 태양 활동에 기인한 우주 환경 예보 및 관련 연구에 있어 중대한 진전을 의미한다”며, “이번 발사를 통해 한국의 우주 과학 분야에서의 위상이 한층 높아졌음을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붙임 1. CODEX 발사 과정 개요 1부

     2. CODEX 국제우주정거장 도킹 개요 1부

     3. CODEX 상세 소개 1부.  끝.



[붙임 1] CODEX 발사 과정 개요


CODEX 발사 순서 및 시간, 주요내용으로 정리한 표

CODEX 발사 순서 및 시간, 주요내용으로 정리한 표
순서 시간 주요 내용
[펠컨9 발사 및 발사체 분리 과정]
1 L+0분 (5일 11시 29분) 발사
2 L+2분 23초~34초 발사체 1단 엔진 정지(MECO)
발사체 1단/2단 분리
발사테 2단 엔진 점화
3 L+8분 40초 발사체 2단 엔진 정지(SECO)
4 L+9분 30초 드래곤 화물선 분리
[CODEX를 탑재한 드래곤 화물선 궤도상 운영 및 ISS 접근]
5 L+15~18분 드래곤 화물선 노즈콘(도킹부 덮개) 개방
6 L+11시간 국제우주정거장(ISS) 접근 시작
7 L+12시간 07분 국제우주정거장 출입금지구역(200m 거리) 진입
8 L+12시간 23분(5일 23시 52분) ISS 도킹


국제우주정거장에 도킹된 드래곤 화물선

                                                                               국제우주정거장에 도킹된 드래곤 화물선 이미지



[붙임 2] CODEX 국제우주정거장 도킹 개요


□ CODEX 국제우주정거장 설치 위치

 ㅇ 국제우주정거장 플랫폼 ELC3-3

  ELC, EXpedite the PRocessing of Experiments to Space Station(ExPRESS) Logistics Carrier)는 국제우주정거장(ISS)의 우현 및 좌현 트러스 각각 두곳에 위치해 외부 탑재체를 지원하도록 설계된 플랫폼이다. CODEX는 국제우주정거장 ELC3의 Site 3에(ELC3-3) 설치되어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국제우주정거장 ELC3-3에 설치된 CODEX 위치 / 국제우주정거장 외부탑재체 설치 위치 - ELC-2, AMS, ESP-3, ELC-4(왼쪽) / ELC-1, ELC-3(오른쪽) / ELC-3(태양 코로나 그래프 (Coronal Dignostic Experiment, CODEX)) / ExPress Logisitcs Carriers(ELC) : ELC-1, ELC-2, ELC-3, ELC-4 / ESP-3 :EXternal Stowage Platforms / AMS : Alpha Magnetic Spectrometer


ㅇ CODEX 도킹 관련 동영상

  - CODEX를 실은 드래곤 화물선 국제우주정거장(ISS) 메인 도킹 영상:

     https://drive.google.com/file/d/1DiKguI5KooBvhJivveKEA6psVtePmYuw/view?usp=drive_link

  - 드래곤 화물선 국제우주정거장 진입 및 교신 영상:

     https://drive.google.com/file/d/1HrJBUUEt8QgWD9WQliKsTg-9GGqW5PBI/view?usp=drive_link

  - 도킹 이후 CODEX 설치 과정 가상 영상:

     https://svs.gsfc.nasa.gov/vis/a010000/a014600/a014647/MAGIK_SpX-31_Animation.mp4


[붙임 3] CODEX 상세 소개


CODEX의 형상 및 주요 내용을 설명하는 표 / 총중량 : 220kg(코로나그래프 및 태양추적장치 포함) - 코로나그래프 자체 중량. 40kg / 크기 : WxLxH(m) 1.5x1.5x1.3 / 관측시간 : 90분 주기 궤도당 최대 55분 관측 / 탑재위치 : 국제우주정거장 외부탑재체 플랫폼(ELC3-3)

□ 코로나그래프 소개 및 의의  

 ㅇ 코로나그래프는 태양 표면에 비해 백만 배 이상 어두운 태양 대기의 가장 바깥 영역인 코로나(corona)를 관측할 수 있는 특별한 망원경이다. 태양의 표면인 광구가 매우 밝아 개기일식을 제외하면 지상에서 코로나를 관측하기 어려우며, 인공적으로 태양 면을 가려야만 코로나를 관측할 수 있다. 이번에 한미 연구진이 공동으로 개발한 CODEX는 태양 코로나의 형상뿐만 아니라 기존에 제한적으로 관측할 수 있었던 온도와 속도를 하나의 기기에서 동시에 관측하여 2차원 영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고안된 세계 최초의 코로나그래프다.

□ 천문연-NASA 역할 분담

 ㅇ 천문연은 CODEX의 핵심기술인 편광카메라, 필터 휠, 구동 제어기 등 하드웨어와 코로나그래프의 비행 및 지상 운영 소프트웨어를 개발했다. NASA는 코로나그래프의 광학계, 광기계부, 태양 추적 장치를 개발했으며, 국제우주정거장 설치와 운영을 담당한다. 


천문연과 NASA의 역할분담

ISS용 CODEX 개발을 위한 천문연-NASA 역할 분담

  • 천문연
    • 시스템 엔지니어링 참여
    • 구동부(덮개, 필터휠)
    • 카메라 전자부
    • 인터페이스(메인 전자부, 편광 카메라)
    • 차폐기 설게 지원 및 시험 참여
    • 광학계 조립 및 시험 참여
    • 운영 소프트웨어 개발
    • 환경 및 성능시험 지원
    • 기구 시험 지원, 데이터센터 공동 운영
  • NASA
    • 시스템 엔지니어링 주관
    • 품질관리
    • 시슽엠 요구조건, 인터페이스 조정
    • 광학 및 구조 설계 제공
    • 차폐기, 렌즈, 인클로저
    • 시스템 조립 및 성능 분석
    • 환경시험 및 검보정
    • 태양추적장치 개발
    • 태양추적장치 개발
만족도 조사
콘텐츠 담당부서
콘텐츠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