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알림사항

[일반] 2023 연간천문종합지(천문력) 안내 2023-01-03

한국천문연구원의 2023 천문력 관련 다운로드 링크 재안내드립니다


천문력 컴퓨터 바탕화면 다운로드 파일 안내 링크: 

https://www.kasi.re.kr/kor/publication/post/notice/29337


천문력 PDF 및 AI 파일 다운로드 파일 안내 링크:

https://www.kasi.re.kr/kor/publication/post/notice/29336


다운로드가 진행되지 않을 경우 하단의 구글 드라이브 링크를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벽걸이형 ai:  https://drive.google.com/file/d/1wYeS6gMqFlrw5FE-DbekrGXFxjB3FURI/view?usp=share_link

탁상형 ai: https://drive.google.com/file/d/1bcC1512p1upnVxAbnDxb817QUr7x7_GZ/view?usp=share_link


벽걸이형 pdf:  https://drive.google.com/file/d/1xLF0E1JxmOwONzifp3QQ9My4JyHVWMkj/view?usp=share_link

탁상형 pdf: https://drive.google.com/file/d/1Kiir-VAd3RYQ1JhpmzQPRovRkNg0yfh3/view?usp=share_link


※컴퓨터 바탕화면 및 PDF, AI 파일은 이용 가능하지만, 현재 절판된 천문력은 더 이상 구매하실 수 없습니다.

천문력2023

ASTRONOMICAL CALENDAR

한국천문연구원

천문력의 구성

  • 월령에 따른 달의 모양
  • 탄생 별자리
  • 이달의 주요 천문현상
  • 음력날짜 (월령)
  • 일·월 출몰시각
  • 일일 천문현상 / 천문소사

용어 설명

용어설명을 나타내는 표입니다.
일·월 출몰시각 태양과 달의 가장 윗부분이 지평선(수평선)에 나타나고 사라지는 시각, 월출, 월몰 시각에 "··:··" 표시가 된 날은 그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외행성과 태양 사이에 지구가 위치하여 태양과 외행성의 시황경 차이가 180°가 되는 현상, 즉 태양-지구-외행성 순으로 위치한 때이다.
내합과 외합 내합과 외합의 시각은 태양과 내행성(수성, 금성)의 시황경이 같게 되는 시각이며, 내행성이 태양과 지구 사이에 있는 경우를 내합, 내향성과 지구 사이엥 태양이 잇을 때를 외합이라 한다.
지구 관측자가 봤을 때 행성의 겉보기 위치가 거의 변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상태이다.
최대이각 태양과 내행성의 각 거리가 최대로 되는 각도이며, 지구에서 볼 때, 태양의 동쪽으로 최대 각거리에 있는 경우를 동방최대이각, 서쪽에 있는 경우를 서방최대이각이라 한다.
근일점 태양과 지구 사이의 거리가 최소가 되는 지점이다.
원일점 태양과 지구 사이의 거리가 최대가 되는 지점이다.
월령 바로 직진 합삭·시각으로부터 매일 오후 0시까지의 시간을 일 단위로 표시한것이다. 예를 들어 합삭 시간이 어제 오후 9시였다면 오늘의 월령값은 1이다. 어제 합삭 시간이 오전 9시였다면 오늘의 월령값은 1.5이다.
AU(Astronomical Unit) 태양과 지구 사이의 평균거리(1.496X1011m)를 말한다.
ZHR(Zenithal Hourly Rate) 6.5등성까지 보이느 맑은 밤, 유성의 복사점이 천정에 있다고 가정할 때 1시간동안 한 사람이 맨눈으로 관측할 수 있는 유성의 수, 실제로 관측할 수 잇는 것은 이보다 작다.

표지 설명 :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용골자리 성운 ⓒNASA, ESA, CSA, and STScl

지구로부터 약 7,600광년 떨어진 거리에 있는 용골자리 성운(Carina Nebula)이라고 불리는 별 탄생 지역을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의 근적외선(NIRICam) 및 중적외선(MIRI)관측기기를 이용하여 촬영한 이미지. 차갑고 어두운 먼지 구름 속에 가로막혀서 허블우주망원경으로도 볼 수 어ㅃㅆ었던, 이제 막 탄생하는 아기별들의 모습들을 선명하게 담고 있다.

만족도 조사
콘텐츠 담당부서
콘텐츠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