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3회 천체사진공모전 당선작 발표
한국천문연구원(원장 : 한인우)과 동아사이언스(대표 : 김두희)는 제23회 천체사진공모전의 수상작을 아래와 같이 발표합니다.
올해도 별과 우주를 좋아해주시는 많은 분들의 관심과 참여 속에서, 제23회 천체사진공모전이 진행되었습니다.
총 196점의 작품이 출품되었으며, 영예의 대상은 장승혁씨의 ‘오리온 중심부’가 차지했습니다.
최우수상은 김가람씨의 ‘은하수 파노라마’, 우수상은 안호재씨의 ‘H-alpha 태양 모자이크’가 선정되었고, 이 밖에도 금상 4점, 은상 8점, 동상 8점 등 총 23점의 작품이 수상작으로 선정되었습니다.

올해는 사진 뿐만 아니라 그림과 동영상부문도 추가되었습니다.
아쉽게도 많은 작품들이 당선되진 않았지만, 내년에는 더 많은 작품들을 보여드릴 수 있게 되길 바랍니다.
페이스북에서 진행된 천체사진공모전 시민투표 이벤트 결과는 27일 혹은 28일 경 공지될 예정입니다.
아래에서 천체사진공모전에 당선된 사진들을 감상하세요^^
제23회 천체사진공모전 당선작
★대상 - 오리온 중심부 / 장승혁
강원도 철원 수피령에서 촬영한 작품.
오리온자리에서 가장 화려한 삼태성에서부터 오리온대성운 부근을 광시야로 담고있음.
(※ 사진의 저작권은 출품자에게 있으며, 무단 사용시 사용자가 전적으로 민형사상 책임을 지게 됩니다.)

★최우수상 - 은하수 파노라마 / 김가람
호주 미라인 스테이션에서 촬영한 작품.
마젤란 은하와 함께 무지개처럼 펼쳐진 은하수,
그리고 은하수 아래로 커튼처럼 드리워진 녹색의 대기광까지 겹쳐져 있다.
(※ 사진의 저작권은 출품자에게 있으며, 무단 사용시 사용자가 전적으로 민형사상 책임을 지게 됩니다.)

★우수상 - H-alpha 태양 모자이크 / 안호재
인천과학고등학교에서 촬영한 작품.
H-alpha라는 특정한 파장으로 촬영한 태양.
고해상도로 촬영하기 위해 태양을 47부분으로 나누어 촬영한 뒤 하나의 사진으로 합치는 모자이크기법을 사용하여 태양 전체를 촬영하였다.
태양의 흑점, 필라멘트, 홍염이 잘 드러나있다.
(※ 사진의 저작권은 출품자에게 있으며, 무단 사용시 사용자가 전적으로 민형사상 책임을 지게 됩니다.)

사진부문
★심우주분야 금상 - 러브조이혜성의 질주 / 김창배
전남 영광 내산서원에서 촬영한 작품.
캘리포니아성운과 플레이아데스성단 사이를 가로지르는 러브조이혜성이다.
(※ 사진의 저작권은 출품자에게 있으며, 무단 사용시 사용자가 전적으로 민형사상 책임을 지게 됩니다.)

★심우주분야 은상 - 우주 해파리의 유영 / 전영준
강원도 홍천군 공작산 주차장에서 촬영.
해파리성운이라고도 불리는 IC443
(※ 사진의 저작권은 출품자에게 있으며, 무단 사용시 사용자가 전적으로 민형사상 책임을 지게 됩니다.)

★심우주분야 은상 - 여름밤의 낭만 / 전혜영
제주도에서 촬영.
은하수의 아름다운 색과, M8과 M20의 선명함
(※ 사진의 저작권은 출품자에게 있으며, 무단 사용시 사용자가 전적으로 민형사상 책임을 지게 됩니다.)

★심우주분야 동상 - NGC6992 동베일성운 / 허성렬
경북 영천시 화북면에서 촬영한 작품
5000년 전 폭발한 초신성잔해로 알려진 베일성운 중 가장 아름다운 성운으로 꼽히는 동베일성운이다.
백조자리에 위치해 있다.
(※ 사진의 저작권은 출품자에게 있으며, 무단 사용시 사용자가 전적으로 민형사상 책임을 지게 됩니다.)

★심우주분야 동상 - M51부자은하 / 오상도
경북 성주군에서 촬영한 작품
두 은하가 서로 만나서 합쳐지는 과정이 보이는 부자은하.
(※ 사진의 저작권은 출품자에게 있으며, 무단 사용시 사용자가 전적으로 민형사상 책임을 지게 됩니다.)

★태양계분야 금상 - 월식 타임랩스 / 전신우
안양시 호계동에서 촬영한 작품
월식 진행을 5분마다 찍은 후 선별하여, 지구의 그림자 크기를 가늠해 볼 수 있도록 배열하였다.
(※ 사진의 저작권은 출품자에게 있으며, 무단 사용시 사용자가 전적으로 민형사상 책임을 지게 됩니다.)

★태양계분야 은상 - 우리별 태양 / 김종호
경기도 가평에서 촬영
백색광 태양필터와 특수 필터인 h-alpha 필터를 통해 역동적인 태양의 활동을 표현했다.
(※ 사진의 저작권은 출품자에게 있으며, 무단 사용시 사용자가 전적으로 민형사상 책임을 지게 됩니다.)

★태양계분야 은상 - 1만 년 만에 찾아온 반가운 손님 / 전지영
충남 서천에서 촬영
지구로부터 7,020만 km 떨어진 곳에 있는 혜성. 러브조이 혜성이다.
(※ 사진의 저작권은 출품자에게 있으며, 무단 사용시 사용자가 전적으로 민형사상 책임을 지게 됩니다.)

★태양계분야 동상 - 붉은달 하얀달 / 서유경
서울 동작대교에서 촬영
개기월식 중인 달을 한강을 배경으로 찍은 사진이다. 개기월식의 과정이 잘 드러나있다.
(※ 사진의 저작권은 출품자에게 있으며, 무단 사용시 사용자가 전적으로 민형사상 책임을 지게 됩니다.)

★태양계분야 동상 - 달과 수성 / 송가을
부산 해운대에서 촬영
수성식은 수성의 특성상 고도가 낮기 때문에 쉽게 볼 수 없는 현상이다.
수성식이 진행되기 직전인 월령1일의 매우 가느다란 달과 함께.
(※ 사진의 저작권은 출품자에게 있으며, 무단 사용시 사용자가 전적으로 민형사상 책임을 지게 됩니다.)

★지구와우주분야 금상 - Orion Wide Field / 이기원
화순 이양면에서 촬영한 작품
오리온자리의 넓은 영역이 담겨있다.
(※ 사진의 저작권은 출품자에게 있으며, 무단 사용시 사용자가 전적으로 민형사상 책임을 지게 됩니다.)

★지구와우주분야 은상 - 불꽃처럼 / 오권열
강원도 함백산 정상에서 촬영한 작품
유성의 폭발과 그 후의 모습까지.
(※ 사진의 저작권은 출품자에게 있으며, 무단 사용시 사용자가 전적으로 민형사상 책임을 지게 됩니다.)

★지구와우주분야 은상 - 세계 최북단 마을 롱위어비엔의 개기일식 / 김동훈
노르웨이 스발바르제도 롱위어비엔에서 촬영한 작품
스발바르의 수도인 롱위어비엔을 둘러싼 설산의 중턱인 해발 200m 지점에서 바라본 개기식 중의 태양과 주변 하늘과 지상의 모습을 한꺼번에 담았다.
검게 변한 태양 주위로 사방으로 뻗친 코로나가 둘러싸여 있다.
(※ 사진의 저작권은 출품자에게 있으며, 무단 사용시 사용자가 전적으로 민형사상 책임을 지게 됩니다.)

★지구와우주분야 동상 - 거울속 우주 / 이상민
경북 김천 증산 30번국도에서 촬영한 작품
거울속에 담겨진 밤하늘의 은하수를 촬영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에서 시작된 촬영.
커브길 도로에서 볼 수 있는 안전거울에 반사되는 은하수의 모습이다.
(※ 사진의 저작권은 출품자에게 있으며, 무단 사용시 사용자가 전적으로 민형사상 책임을 지게 됩니다.)

★지구와우주분야 동상 - 불새 모양의 오로라 폭풍 / 윤순조
캐나다 옐로우나이프에서 촬영한 작품 오로라를 보기에 최적의 장소라 불리는 캐나다 옐로우나이프이지만, 이곳에서도 강렬한 오로라 폭풍을 보는 것은 매우 힘들다. 오로라가 빠르게 출렁이는 도중 불새의 형상을 하고있는 순간이다. (※ 사진의 저작권은 출품자에게 있으며, 무단 사용시 사용자가 전적으로 민형사상 책임을 지게 됩니다.)

그림부문
★심우주분야 은상 - M34의 별줄기는 누가 다 만들었을까 / 조강욱
망원경으로 대상을 잡아 놓고, 하나 하나 별빛을 정성스럽게 종이에 옮겨 그린 작품이다.
안시관측을 하며 사진이 아닌 종이에 직접 천체를 옮겨담다 보면 천체관측의 새로운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
(※ 사진의 저작권은 출품자에게 있으며, 무단 사용시 사용자가 전적으로 민형사상 책임을 지게 됩니다.)

★태양계분야 동상 - 태양의 거대 흑점 / 김주영
최근 24년간 가장 큰 흑점이었던 AR2192의 위치와 모양변화를 기록하였다.
(※ 사진의 저작권은 출품자에게 있으며, 무단 사용시 사용자가 전적으로 민형사상 책임을 지게 됩니다.)
![태양의 거대 흑점 2192(2209), [관측시간 2014년 10월 22일 12:55 / 관측장소 N 36,46 E 127,3],[관측시간 2014년 10월 28일 13:50 / 관측장소 N 36,46 E 127,3],[관측시간 2014년 10월 23일 13:30 / 관측장소 N 36,46 E 127,3],[관측시간 2014년 10월 29일 09:40 / 관측장소 N 36,46 E 127,3],[관측시간 2014년 10월 25일 10:30 / 관측장소 N 36,46 E 127,3],[관측시간 2014년 11월 19일 13:37 / 관측장소 N 36,46 E 127,3](위의 동일한 내용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file/content/20160122174658895_7C5REGK1.jpg)
동영상 부문
★지구와우주분야 금상 - Moments / 김호섭
제목의 Moments처럼 밤하늘의 다양한 천문현상의 순간들이다.
달과 태양의 출몰, 달의 칭동표현, 일식과 월식, 혜성 등 다양한 천체들의 움직임이 담겨있다.
▶동영상 바로가기
★심우주분야 은상 - 우주 관측영상 / 이신구
관측지에서 망원경으로 관측하는 장면을 CCTV로 생생하게 담았다.
▶동영상 바로가기
★지구와우주분야 동상 - 불상과 탑 / 김창수
한국의 불상과 탑을 배경으로 한 밤하늘의 모습.
▶동영상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