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알림사항

Total 550 RSS
21 2016-02
No. 400 일반
한국천문연구원 국영문 홈페이지를 개편하였습니다. 연구분야, 학술활동, 과학문화활동 등 콘텐츠 강화를 위해 노력하였고, 모바일 접근이 가능하도록 구축 하였습니다. 또한 향후 1주일 간 12:00~13:00, 18:00~19:00 사이, 안정화를 위한 시스템 업데이트가 지속 수행될 예정이며, 간헐적 끊김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많은 양해 부탁 드립니다. 앞으로도 한국천문연구원 홈페이지를 많이 사랑해 주시기 바랍니다.고맙습니다. 
21 2016-02
No. 399 일반
2016년 후기 UST-한국천문연구원 캠퍼스 세부전공 모집분야  2016년 후기에는 아래 명기한 교수의 연구분야만 지원 가능하며 그 외 세부전공의 신입생은 선발하지 않습니다. 각각의 세부전공 관련 문의사항은 각 교수님께, 기타 문의사항은 캠퍼스 대표교수(김상철, sckim@kasi.re.kr) 또는 전공책임교수(곽영실, yskwak@kasi.re.kr)께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For the entrance in 2016 September to Astronomy and Space Science Major, applicants can only apply to the research fields below. Questions on each research area are to each professor, while other questions are to the Campus Representative Professor (Sang Chul KIM sckim@kasi.re.kr) or the Chief Major Professor (Young-Sil Kwak, yskwak@kasi.re.kr).  [가나다순]  (1) Prof. Arman Shafieloo  (2) 고종완 교수 (Prof. Jongwan Ko)  (3) 곽영실 교수 (Prof. Young-Sil Kwak)  (4) 김상철 교수 (Prof. Sang Chul KIM)  (5) 김순욱 교수 (Prof. Soon-Wook Kim)  (6) 김종수 교수 (Prof. Jongsoo Kim)  (7) 손봉원 교수 (Prof. Bong Won Sohn)  (8) 양유진 교수 (Prof. Yujin Yang)  (9) 이상성 교수 (Prof. Sang-Sung Lee)  (10) 정웅섭 교수 (Prof. Woong-Seob JEONG)  (11) 조중현 교수 (Prof. Jung Hyun Jo)  ----------------------------------  (1) Prof. Arman Shafieloo (shafieloo@kasi.re.kr)  Title Testing Cosmological Models using Large Scale Structure Data  The project will be on working and developing advanced methods of statistical analysis to test different cosmological models and early universe scenarios using current and future large scale structure data. The student will be considered to work on SDSS4 data as well as simulations of the data from future DESI and LSST surveys (Cosmology group at KASI is officially member of SDSS4 and DESI surveys and soon we will join LSST). Strong background in basic physics, astrophysics and cosmology is required. Candidates with subject related project experiences would have advantage in the selection process.  (2) 고종완 교수 (Prof. Jongwan Ko, jwko@kasi.re.kr)  제목 : 은하단 및 은하의 형성과 진화(Galaxy clusters and galaxy formation and evolution)  우주의 대부분의 은하는 은하군의 형태로 있고, 은하군은 결국 은하단으로 병합한다 (나아가 초은하단을 형성하지만 초은하단은 중력적으로 안정된 상태가 아니다). 따라서 은하단은 우주에서 중력적으로 안정된 가장 큰 천체 (the largest relaxed, virialized system in the Universe)로 알려져 있고, BCG (Brightest Cluster Galaxy)는 그런 은하단에서 가장 밝고 무거운 특별한 은하로 주로 은하단의 중심에 위치하며 우주의 거대구조와 (즉, 은하단 환경) 연계한 은하의 형성과 진화를 이해하는데 최적의 연구 대상이다. 또한 은하단에는 다양한 은하들이 모여 있기에 은하의 형성과 진화 연구에 있어서도 중요한 연구 대상이다. 세부적으로 연구 분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우주의 거대구조와 (은하군 및 은하단 환경) 연계한 은하의 형성과 진화  - 은하단의 암흑물질 분포 (dark matter distribution)와 은하간 물질의 분포 (Intra-cluster medium distribution) 분석을 통한 은하단의 형성과 진화  - 은하단의 구조 및 운동학적인 특성과 BCG (Brightest Cluster Galaxy) 특성의 상호 연관성  - BCG의 별생성 (star formation) 및 질량 증가 (mass assembly) 과정 추적을 통한 BCG 형성 시나리오 검증  - 다파장 자료를 활용한 무거운 조기형 은하의 형성과 진화  (3) 곽영실 교수 (Prof. Young-Sil Kwak, yskwak@kasi.re.kr)  제목 : 근지구우주환경(전리권/고층대기)  Near Earth's Space Environment (Ionosphere/Upper Atmosphere)  (4) 김상철 교수 (Prof. Sang Chul KIM, sckim@kasi.re.kr)  제목 : KMTNet 망원경 관측자료를 이용한 초신성 탐사 연구  한국천문연구원은 2015년 10월 1일부터 직경 1.6미터 망원경 3기(각 망원경의 시야는 2도x2도)를 남반구 3개 대륙(칠레, 남아프리카공화국, 오스트레일리아)에 설치하여 KMTNet (Korea Microlensing Telescope Network) 시스템으로 운영하고 있다. 우리는 2015년부터 2019년까지 5년 동안 각 망원경 시간의 17%을 확보하여 남반구 초신성 탐사에 이용하고 있다. KMTNet의 세 망원경을 이용하여 KMTNet 초신성 프로젝트(KMTNet Supernova Project: KSP)를 수행하고 있으며, 이 과제는 동일 천체를 24시간 연속하여 관측할 수 있는 특장점을 갖고 있다. KSP의 측광탐사 자료를 이용하여 광시야 광학 CCD 관측자료의 처리, 점광원 및 퍼진광원의 측광, 초신성 등의 변광천체와 모은하 관측자료를 측광하고 이를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한다. 아울러 제미니(Gemini) 8.1m 망원경 등을 이용한 분광후속관측연구도 수행한다.  Title : KMTNet Supernova Research  Supernova Research will be done using the Korea Microlensing Telescope Network (KMTNet) system, which is three identical 1.6m telescope systems with 2 deg X 2 deg FOV CCDs in Chile, South Africa and Australia, which ensures 24-hour coverage of the southern hemisphere. KMTNet has officially ed observations in 2015 October. Since our KMTNet Supernova Project(KSP) has secured 17% of telescope time for each of the three telescopes during 2015 – 2019, we have opportunities to utilize these vast amount of data for the researches on supernovae and nearby galaxies.  (5) 김순욱 교수 (Prof. Soon-Wook Kim, skim@kasi.re.kr)  제목: 초거대 질량 블랙홀의 플레어 및 상대론적인 제트에 대한 전파 및 다파장 관측 연구  블랙홀은 질량이 아주 작은 미니 블랙홀(mini balck hole), 별 정도 질량의 블랙홀(stellar black hole), 태양 질량의 수백 이상의 중간 질량 블랙홀(intermediate mass black hole) 및 수백만 태양 질량이상인 초거대 질량 블랙홀(supermassive black hole) 등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요한 것은 모두 동일한 일반상대론의 블랙홀 물리학을 따를 것으로 예상된다는 것이다.  초거대 질량 블랙홀은 원시 은하(퀘이사) 및 은하 중심의 핵(활동성 은하 핵)에 위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중에서 자주 갑자기 밝아지는 플레어(flare) 및 그에 따라 광속에 가깝게 방출되는 상대론적인 제트 현상들이 관측되는 종류들이 있다. 이 현상들은 간섭효과를 이용, 수백 km 이상 떨어진 전파망원경 여러 개로 이루어진 초장기선간섭계(VLBI)를 써서 연구해야 한다. 우리는 한국천문연구원이 보유한 VLBI 장치인 KVN과 국외의 VLBI 장치들을 이용해, 초거대 질량 블랙홀의 플레어 및 제트의 관측 연구를 하고 있다. 전파뿐만 아니라, 적외선, 가시광, 엑스선 및 0.1 TeV에 이르는 감마선 등 다파장 관측 자료를 이용해, 강착원반, 고에너지 복사(컴프턴 산란 및 싱크로트론 복사) 등을 연구해오고 있다. 특히 본인은 추가로 플레어 및 제트 현상에 따른 초고에너지(ZeV) 입자 상호작용에 관한 국제공동연구에도 참가 중이다. 전파뿐만 아니라 적외선, 엑스선 및 감마선 관측에도 관심이 많다. 또, 미니 블랙홀, 별 질량 블랙홀, 초신성 현상 및 중간 질량 블랙홀들에 대한 초거대 질량 블랙홀과의 공통적인 물리학적 특성 및 다파장 상호관계에도 매우 관심이 높다.  위와 같은 연구에는 거의 모든 현대 관측 천문학에서 기본적으로 필요한 컴퓨터를 이용한 관측 자료 기법은 물론, 다양한 고에너지 천체물리학 지식의 습득, 응용이 필요하다. 이러한 지식은 학부에서 일부 배워오면 더 좋지만, 학문적 열정이 매우 대단하다면, 대학원 과정 초중반에도 충분히 습득 가능하다. 위와 같은 고에너지 전파 천체물리학(high energy radio astrophysics)에서는 아주 낮은 에너지(온도)부터 초고에너지 영역까지 다루며, 순식간에 에너지가 백만 배 이상 증가하는 등의 예상치 못한 격변광 현상을 보이므로, 광범위한 에너지 영역의 다양한 물리학들을 접할 수 있어서, 다른 천문 분야에서는 맛 볼 수 없는 특이한 학문적 재미를 느낄 수 있다. 또 예상외의 갑작스러운 격변광 현상의 연구에는 항상 성실히 끈질기게 대비하는 마음가짐이 매우 중요하다.  (6) 김종수 교수 (Prof. Jongsoo Kim, jskim@kasi.re.kr)  제목 : 수치천체물리학 또는 전파천문학  별 탄생 기작의 중요한 물리적 요인은 중력, 자기장, 난류이다. 특히, 최근 난류와 자기장 중에서 어느 요인이 더 중요한 역할을 하는가를 규명하는 것이 이 분야의 최대 관심사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별 탄생 지역의 자기장의 세기를 알아야 한다. 또한, 자기장의 방향, 분자운의 분포 형태, 방출류의 방향과의 상호 연관 관계가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관측과 이론을 병행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 주제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될 예정이다. 첫째, 별탄생 지역의 편광 관측 자료를 최대한 모으려고 한다. 특히, SMA (Submillimeter Array), ALMA (Atacama Large Millimeter/submillimeter Array), 광학, 적외선 망원경의 편광 관측 자료를 모을 예정이다. 둘째, 별 탄생 지역의 편광 관측 자료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난류를 띠고 있는 분자운에서 형성되는 밀도가 높은 코아 모형이 필요하다. 이 모형을 위해 자체 중력이 포함된 자기유체역학 방정식을 푸는 수치 계산을 수행할 예정이다. 세째, 이 수치 계산 모형에서 편광을 계산하기 위해서 기존의 연구자들이 이미 개발한 코드를 사용할 예정이다. 네째, 관측 결과와 수치 계산 결과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자기장의 방향, 방출류의 방향, 코아의 생김새의 상호 연관 관계를 규명할 예정이다.  (7) 손봉원 교수 (Prof. Bong Won Sohn, bwsohn@kasi.re.kr)  제목 : Radio-loud AGN pc-scale 제트 구조 변화 연구  초대형 블랙홀에서 출발한 제트의 내부 에너지가 외부의 압력과 균형을 이루기 전으로 여겨지는 AGN의 파섹 스케일 제트의 물리적 현상은 제트의 내부에너지가 지배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K-H 불안정성 등에 의한 효과로는 이러한 지역에서는 큰 기여를 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측된다. 그럼에도 VLBI 초고분해능 전파간섭계 (VLBI) 관측으로 이러한 pc-scale 구조가 다양한 구조적 변화를 보임을 확인하고 있다. 우리는 KVN의 장점인 다파장 동시 측성/편광 관측으로 이러한 AGN 제트의 구조적 변화의 원인으로서 이중초대형블랙홀과 자기장의 역할을 탐구하고자 한다.  (8) 양유진 교수 (Prof. Yujin Yang, yyang@kasi.re.kr)  제목 : 고적색편이 연구  우리 연구 팀은 현재 Lyα 성운이라고 불리는, 크기가 약 100 kpc에 달하고 강한 Lyα 선을 방출하는 원시은하를 연구하고 있다. 최근의 연구들은 이러한 Lyα 성운이, 은하단이나 은하군이 매우 격렬한 과정을 통해 생성되고 있는 시스템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Lyα 성운을 자세히 연구함으로써 은하들과 은하간 물질(IGM)이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원시 은하군/은하단 내에서 아주 무거운 은하들이 어떻게 만들어지는가를 이해하고자 한다. 신입생은 대형 광학 망원경(VLT, Gemini, Magellan), 전파 망원경(PdBI와 JVLA), 그리고 여러 다파장 관측에서 얻어진 자료를 분석하고 해석하는 연구를 주도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를 통해 얻어질 흥미로운 결과를 바탕으로 자신만의 관측 프로그램을 고안하고 그 관측 프로그램을 직접 수행하는 훈련을 받게 될 예정이다. 2016년 2학기부터 시작할 수 있는 작은 연구 과제들로는 (1) Lyα 성운 내 은하들의 다파장 특성 연구, (2) Lyα 성운의 가스 운동학 및 블랙홀 연구, (3) 중심파장을 바꿀 수 있는 tunable 필터 관측 자료를 이용한 원시은하단/은하군 탐사, (4) 넓은폭 필터 관측 자료를 이용한 원시은하단/은하군 탐사, (5) Lyα 성운의 성간 물질 또는 은하 주변 물질 연구, (6) 서브밀리미터 은하의 주변 환경 연구 등이 있다. 이 중에서 학생이 가장 흥미를 느끼는 주제를 가지고 첫 연구를 진행하게 된다. 신입생이 소속될 은하진화그룹은 현재 약 25명의 박사급 연구원들이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일하고 있는 매우 젊고 활동적인 그룹이다. 따라서 다른 연구원들, 학생들과의 교류를 통해서 폭넓고 다양한 은하 관련 연구를 접할 수 있다. 다가올 GMT시대의 한국 관측 천문학을 주도할 학자로 성장할 젊은 천문학자들의 지원을 기대한다.  (9) 이상성 교수 (Prof. Sang-Sung Lee, sslee@kasi.re.kr)  국문 : 활동성은하핵 감마선 폭발의 기원에 대한 연구  활동성은하핵 (AGN, Active Galactic Nuclei)에서 최근 Fermi 감마선우주망원경을 통해 자주 관측되는 고에너지 감마선 폭발현상은 상대론적 제트 (relativistic jets) 내부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상대론적 제트에서는 여러 가지 복사기작에 의해 전자기파 전영역에서 복사방출이 일어나는데, 싱크로트론 복사 (Synchrotron radiation), 역콤프턴산란 (Inverse Compton scattering), 도플러부스팅 (Doppler boosting) 등이 그것이다. 이 연구분야에서 제기되는 두 가지 의문점은 첫째, AGN에서 관측되는 감마선 폭발현상의 기원은 무엇인가와, 둘째, 그 원인의 물리적 기작은 무엇인가이다. 첫 번째 질문에 대한 설명으로 제기되는 이론은 1) 고에너지 플라즈마로 이루어진 상대론적 제트 (Marscher et al. 2008), 2) 그 상대론적 제트에서 방출되는 복사의 도플러부스팅 (Dermer 1995), 3) 상대론적 전자에 의한 역콤프턴산란 등이 있다.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을 찾는데 중요한 이론적, 관측적 사실로는 1) 상대론적 제트 내의 플라즈마의 압축(Compression)과 가열(heating), 2) 상대론적 입자의 생성기작, 3) 제트의 밝기와 자기장의 급격한 변화현상 등을 들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활동성은하핵에서 방출되는 고에너지 감마선 폭발현상의 기원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되, 상대론적 제트의 복사 기작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에 대해, 다파장 전파관측을 통해 연구하는 것이다. (http://radio.kasi.re.kr/kvn/ksp.php 참조). 이 연구는 우리나라 최초 전파간섭계인, 한국우주전파관측망 (KVN, Korean VLBI Network)의 다파장 동시관측 성능을 이용하여 감마선 폭발 현상을 보이는 활동성은하핵 30여개 천체를 고분해능 다파장 VLBI 관측모니터링 (iMOGABA: Interferometric Monitoring of Gamma-ray Bright AGN)과 다파장 단일경 편광 모니터링 관측(MOGABA: Monitoring of Gamma-ray Bright AGN)을 통해 감마선 폭발현상과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것을 주을 주요 연구방법으로 채택하였다. 따라서 iMOGABA 관측은 매달 24시간 VLBI 관측을 수행하여 30여 천체의 22/43/86/129 GHz snapshot 영상을 얻고, MOGABA 관측은 감마선 폭발이 발생하는 천체를 대상으로 매주 단일경 편광 관측을 22/43/86GHz 대역에서 수행하여 편광된 빛의 특성(편광률, 편광각)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2017년까지 총 50회의 iMOGABA 관측을 수행할 것이고, 다수의 AGN에 대해 MOGABA 관측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English : Origins of Gamma-ray Flares in Active Galactic Nuclei  Gamma-ray flares of Active Galactic Nuclei (AGN) are known to be occurred in innermost regions of relativistic jets which radiate in whole ranges of electromagnetic spectra due to synchrotron radiation, synchrotron self absorption, inverse-compton scattering, doppler boosting etc. Here we may raise two questions on the natures of the gamma-ray flares of AGN such as: a) What is the basic cause of the gamma-ray flares from AGNs? b) What is the physical process of the causes? For the first question, there are several suggestions like 1) a relativistic jet of high energy plasma (Marscher et al. 2008), 2) Doppler boosting of synchrotron radiation of the jet (Dermer 1995), 3) inverse Compton scattering by relativistic electrons, etc. For the second question, we may find some candidates and detail mechanism for the gamma-ray flares such as 1) compression and heating of the plasma in the relativistic jets, 2) generation of the relativistic particles, 3) rapid variability in flux and magnetic field. In order to answer to the questions, we may conduct either 1) studies of large samples of flaring AGNs for investigating statistics and correlation of observed properties (Lister et al. 2011), 2) multi-wavelength observations of individual objects for testing time profiles of flares (Jorstad et al. 2010), for studying physical properties of emission features (jet knots) (Agudo et al. 2011), and studying evolution of SEDs (Wehrle et al. 2013), or 3) polarization observations for looking at magnetic field environments (Jorstad et al. 2013). Possible explanations of the gamma-ray flares in AGNs are a) shocks-in-jets propagating within jet flow and b) bending of the whole jets. For both cases, we should expect changes in polarization, luminosity, particle distribution, and structures of jets at mas-scale. The multifrequency simultaneous VLBI/SD observations with KVN are the best tool for detecting such changes correlated with gamma-ray flares. This key science program aims to answer the fundamental questions about the basic nature of the flares of AGN.  The Interferometric Monitoring of Gamma-ray Bright AGNs (iMOGABA) project (Lee et al. in prep.) has been launched in 2015 as a key science program of Korean VLBI Network (KVN). This project uses KVN for monthly interferometric monitoring of more than 30 gamma-ray bright AGN at 22, 43, 86, and 129 GHz simultaneously (see http://sslee.kasi.re.kr for preliminary results). The iMOGABA aims especially at the potential connection between gamma-ray outbursts and the formation of new jet components, by investigating the potential correlation of the gamma-ray light curves with the brightness and mas-scale structures of the inner jets. The monitoring cadence of a month and the observing frequencies of 22-129GHz make this project unique in studying the gamma-ray flaring AGN. (10) 정웅섭 교수 (Prof. Woong-Seob JEONG, jeongws@kasi.re.kr)  제목 : 적외선 관측기기 및 이를 활용한 적외선 은하 생성 기원과 역사 연구  우주에서 활발한 별생성 활동을 보이는 은하들 대부분은 "obscured"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은하들의 생성과 진화를 연구하기 위해서 적외선 관측기술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먼 우주초기의 은하나 별빛들이 적색이동되어 관측되는 적외선 파장대는 지상에서의 대기 및 열잡음에 의한 영향으로 지상 관측이 어려워 우주에서의 관측이 매우 효율적이다. 광학, 광기계, 자료 및 신호 처리 등 극미광 적외선 관측을 위한 관측 기술을 습득하여, 적외선 은하를 관측하기 위한 다양한 영상/분광 타입의 관측 기기를 연구 개발하고자 한다. 아울러, 개발된 기기로 적외선 은하 관측을 통해 그 은하들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천체 물리학적인 이론과 분석 방법을 연구한다. 근적외선에서 부터 서브밀리 파장대에 이르는 다양한 적외선 파장대에 대한 다파장 자료로부터 적외선 은하의 생성 기원과 그 특성을 파악하여, 먼 우주에서 부터 현재에 이르는 별생성 역사를 밝히고자 한다.  (11) 조중현 교수 (Prof. Jung Hyun Jo, jhjo39@kasi.re.kr)  제목 : 우주감시  우리나라는 우주위험으로부터 국민의 안전과 우주자산을 보호하기 위한 ‘우주환경감시기관’을 한국천문연구원에 설치하였다. 한국천문연구원의 우주위험감시센터에서는 이 ‘우주환경감시기관’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종합 대응체계를 구축하고, 우주위험의 감시 및 대응 기술을 확보하며 우주위험 대비 기반확충을 위한 연구개발을 수행 중에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분야의 우수한 인재를 양성하고 학위를 수여하여 대한민국의 우주감시 전문인력 배출에 이바지 하고자 한다.  - 천체 역학, 궤도공학, 우주동력학, 위치천문학, 기본계천문학  - 우주감시 관측 정보 처리 및 분석  - 인공 및 자연우주물체 위험도 분석  현재 우주위험감시센터에는 이와 관련한 전공교수 2명을 포함하여 현장 강의가 가능한 박사연구인력 3명이 근무하고 있으며 자연우주물체 관련 전공 박사연구인력 4명이 인접 파트에서 근무하여 강의 및 연구 지원이 가능하다. 2016년 후기 모집에서는 석박사 통합과정이나 박사과정 학생을 모집한다. 석박사통합과정 학생의 경우에는 기본과목을 KAIST, 연세대, 충남대 등에서 공동학점으로 이수할 수 있다. 
13 2016-01
별과 우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선정 공지
No. 398 일반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진행한 '별 앱 별 어워드'의 결과를 공지합니다. '별 앱 별 어워드'는 스마트폰과 태블릿pc의 등장으로 모바일을 통한 지식 보급이 발달하고 있는 추세에 맞춰, 모바일 앱을 통해 천문우주지식을 확산하고자 진행되었습니다. 이번 어워드에서는 2개의 앱을 우수 앱으로 선정하였습니다. 선정된 앱들은 2016년 1월 15일까지는 무료 배포되고 있습니다^^ 아래 링크로 만나보세요! 1) All About the Solar System [구글플레이스토어] ▶ 다운로드 바로가기 [아이폰 ios] ▶ 다운로드 바로가기 2)MarbleS - Our Solar System (※MarbleS는 iOS 패드용만 있어서 iPad 2 이상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 [iPad ios] ▶ 다운로드 바로가기 별과 우주 모바일 앱을 체험해보세요^^! 사용중 문의하실 내용이 있으시면 아래 번호로 문의주세요. ☎ 문의전화 : (042)-865-2064
04 2016-01
No. 397 일반
사랑하고 존경하는 천문연구원 가족여러분, 2016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연휴기간 편하게 쉬시고 좋은 꿈들 많이 꾸셨는지요. 올 한 해도 여러분들 항상 건강하시고 가정에 행운이 깃들기를 진심으로 기원 드립니다. 사랑하고 존경하는 천문연구원 가족여러분, 지난 한 해는 여러 가지 어려운 일도 많았지만 많은 것을 성취 한 한해였습니다. 광학부에서는 KMTNet 준공식을 치르고 이제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되었습니다. 외계행성 탐색 관련하여 석학급 과학자 Gould 교수님을 모시게 되었습니다. KMTNet에서 좋은 연구 성과가 나오기를 기대합니다. GMT 사업은 칠레 현지에서 기공식을 갖고 본격적인 건설이 시작되었고, 우리가 참여하고 있는 GCLEF 예비 설계가 완료되고 이제 본격적인 개발 단계로 진입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오랜 기간 준비하던 GMT 부경도 실제 제작을 위한 첫 걸음을 내딛었습니다. 전파부에서는 대덕전파천문대 16채널 수신기 개발을 완료하고 이제 관측연구를 시작하게 되어 또한 기대가 큽니다. 그리고 작년에는 KVN을 이용한 연구성과도 많이 나와서 올 한해도 큰 기대를 해도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우주부에서는 그동안 개발한 FIMS와 MIRIS를 이용한 연구 성과가 나오고 있으며 NISS 개발도 계획대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태양우주환경 부분에서도 좋은 연구결과가 많이 생산되고 있으며 외부수탁연구도 활발하게 수행하고 있습니다. SLR은 세종관측소를 준공하였고, 감악산 관측소 건설도 예정대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OWL 사업도 계획대로 진행되어 올해는 사업을 완료할 시점이 되었습니다. 우주론 그룹에서는 첫 번째 퍼스트무버 프로젝트로 선정이 되어 좋은 연구결과를 내고 있습니다. 이런 노력들이 결실을 맺어 2015년 작년에는 SCI 논문생산 실적이 2014년 151편에서 30%이상 증가한 199편을 기록했습니다. 여러분들의 노고에 진심으로 감사하고 아울러 축하의 말씀을 전해 드립니다. 앞에 말씀드렸듯이 올해도 기대되는 분야가 많아 작년 못지않은 성과가 나올 것으로 생각합니다. 사랑하고 존경하는 천문연구원 가족여러분, 새해를 맞아 몇가지 당부의 말씀을 드리고자 합니다. 올 한해 SLR과 OWL 구축 사업을 마무리 지어야 하는 관계로 주요사업 예산 사정이 어렵습니다. 올 한해는 좀 어렵더라도 허리띠를 졸라매고 과제 수행에 내실을 기해주시기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현재 진행하고 있는 그룹별 중장기 계획 작성을 잘해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이번에 만드는 중장기 계획은 꼭 실행성이 있도록 작성되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원장으로 올해에도 개방형혁신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과제선정, 평가, 관리 절차를 내실화하고 글로벌스탠다드 수준에 도달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사랑하고 존경하는 천문연구원 가족 여러분, 새해 아침에 우리는 밝은 희망을 품고 원대한 꿈을 꿉니다. 그러나 2016년 한 해도 우리 앞에는 어려운 일도 적지 않게 생길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럴수록 우리 모두 주인의식을 갖고 상호 배려하고 참여하여 즐겁고 활기있는 연구소를 만들어 가자고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저는 원장 취임 후 기회 있을 때마다, 저의 제일 중요한 책무는 연구원들이 연구에 몰입할 수 있는 연구소, 모두가 행복하고 자부심을 느끼는 연구소를 만드는 것으로 인식하고, 모든 직원들을 섬기는 자세로 원장직을 수행하겠다고 공언하였습니다. 올해도 초심을 변치 않고 여러분들과 호흡을 같이 하며 최선을 다해서 연구소 발전에 매진하겠다고 다짐합니다. 올 한해 우리 모두 서두르지 말고 차근차근 힘을 모아 앞으로 나아갑시다. 다시 한 번 한 해 여러분들 항상 건강하시고 가정에 행운이 깃들기를 진심으로 기원 드리며, 신년인사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16년 1월 4일 한국천문연구원 원장 한인우
09 2015-12
No. 396 일반
2016년 소백산천문대 겨울학교 우리나라가 세계 최대 망원경인 GMT 건설 사업에 참여하게 됨에 따라 GMT 시대에 활동하게 될 예비 천문학자들과 한국천문연구원 광학 관측 연구자들이 함께, 직접 망원경과 관측기기를 이용하여 천체관측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광학관측 천문학에 대한 이해를 돕고, 예비 천문학자들과의 교류를 도모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2016년 소백산천문대 대학생 겨울학교”를 다음과 같이 개최합니다. □ 목적 ○ 적전공대학생 등 예비천문학자에 대한 천체관측 연구연수를 통한 관측천문학 이해 증진 ○ GMT 시대를 대비한 광학 관측 천문학자 육성 □ 주제 : "Long-slit Spectros" □ 대상 : 천문학 관련 전공 학부생 □ 일정 : 2016년 1월 29일(금) ~ 2016년 2월 2일(화) [4박 5일간] □ 인원 : 약 20명 (2인 1개조, 총 20여개 팀으로 구성) □ 겨울학교 강의 계획 ○ 천체분광관측 ○ IRAF 사용법 및 Long-slit 분광 ○ 시선속도/속도분산 분석 ○ 방출선 및 흡수선 스펙트럼 분석 ○ 특강 : 미정 ○ 기타 특별 활동 : 태양안시관측, 눈 썰매타기, 트레킹 등 ○ 팀별 결과 발표 □ 참가비 (4박 5일 숙식비, 관측자 기준 적용) : 1인 12만원 ○ 숙식비 이외의 경비는 소백산천문대에서 지원 □ 강사진 : 광학천문본부 소속 연구원 □ 신청 및 마감 : 참가자 직접 이메일 신청, 2016년 1월 15일 신청 마감 □ 선정 및 통보 : 강사진이 선정, 이메일 개별 통보(1월 18일까지) □ 신청 접수 및 문의 ○ 문의 : 043-422-1108 (담당자 : 최한별, 박찬영) ○ 신청접수 : stella84@kasi.re.kr / oossooo15@kasi.re.kr □ 참가 신청서 다운로드 : 첨부파일(2016년 대학생 겨울학교 참가신청서.hwp) 한국천문연구원 광학천문본부 소백산 천문대
09 2015-12
No. 395 일반
주요내용 2016년 동계교원천문연수의 주요내용을 나타냅니다. 기관명, 과정명, 과정구분, 종별, 목적, 기간, 경비, 참고사항, 평가계획, 셔틀버스 운행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명 한국천문연구원 (대전시교육청 특수분야 연수지정기관) 연수 과정명 초급,중급,고급 연수 과정구분 전문성 향상 연수 종별 직무 연수 연수 목적 현직 교원들이 접하기 어려운 실질적인 천문학 지식과 현대 천문학 분야의 최신 지식을 연수하여 학교 교육에 기여함. 연수 장소 연수 장소 : 초급,중급 -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덕대로 776 한국천문연구원 본원 고급 - 소백산천문대 (충북 단양군)  전화 번호 : 042-865-2064  전자 메일 : sunny921@kasi.re.kr  우편 번호 : 34055  F A X : 042-865-2144 연수 대상 전국 초중등 교원 연수 기간 2016 동계 초급 : 1월11일~13일, 2박3일, 16시간, 1학점  2016 동계 중급 : 1월13일~15일, 2박3일, 16시간, 1학점 2016 동계 고급 : 1월15일~17일, 2박3일, 16시간, 1학점 연수 경비 초급 1인당 자비 부담 30,000원(식비별도 20,000원)  중급 1인당 자비 부담 50,000원(식비별도 20,000원)  고급 1인당 자비 부담 50,000원(숙식비별도 70,000원) 참고 사항 강사 : 한국천문연구원 임홍서 박사 외 19명  한국천문연구원은 1995년부터 매년 교원천문연수에 관한 특수분야 직무연수를 시행하고 있음 평가 계획 최저 이수 시간 16시간 셔틀버스운행 대전역(동광장), 대전 복합 터미널(노블레스 앞) ▷ 자세한 내용안내 및 연수 신청서를 작성하실려면 홈페이지 접수 자세한 안내를 눌러주세요 ▷ 교원연수 신청관련 문의 042-865-2064 ▷ 홈페이지 비밀번호 오류 및 문의 042-865-2188
09 2015-12
별 앱 별 어워드 개최 안내
No. 394 일반
한국천문연구원에서는 스마트폰과 태블릿pc 등 모바일 기기를 통한 천문우주지식 전파를 위해 '별 앱 별 어워드'를 개최합니다. 다양한 천문정보를 제공하고 지식을 전파할 수 있는 모바일 앱을 개발하시는 개발자분들의 많은 관심과 지원바랍니다. 1. 행사일정 - 접수 : 2015년 12월 8일(화) ~ 2015년 12월 15일 (화) 18시까지 - 당선작 선정 : 2015년 12월 23일경 - 공고 : 한국천문연구원 홈페이지 공지 및 개별 통보 - 모집대상 : 천문우주지식을 전파할 수 있는 모바일 앱을 직접 개발한 내국인 및 국내개발사 2. 접수안내 - 접수방법 : 이메일접수(youareastar@kasi.re.kr) - 접수요령 : 첨부된 신청서 양식에 따라 작성하여 제출 - 문의사항 : youareastar@kasi.re.kr 3. 모집문의 한국천문연구원 홍보 및 과학문화팀 (042-865-2064) 4.목적 국민들의 천문우주과학에 대한 관심에 부합하여 모바일 앱을 통해 대국민 천문우주 지식 전파 확산 스마트폰과 태블릿pc의 등장으로 모바일을 통한 지식보급사업이 발달하고 있는 추세임 일상생활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는 친근하고 유용한 천문우주 정보를 제공하고자 함 5.활용계획 제작자와 협의 후 일정기간 동안 무료배포, 추후 협의 체험용 기기를 통해 과학문화 행사 때 유용하게 활용 가능 (대한민국과학창의축전, 사이언스페스티벌, 대한민국별축제 등) 6.심사 및 수상 심사위원 : 천문학 관련 전공자 및 교육자 심사방법 : 출품 앱을 비공개로 모바일기기를 통해 직접 체험해보고 사용해보며 심사 우수 앱을 5개 이내로 선정, 상장과 상금 200만원 수여
16 2015-11
No. 393 일반
한국천문연구원(KASI)은 연구원이 보유하고 있는 기술과 각종 제도의 지원을 통하여 강소•전문•중견기업으로 성장을 원하는 기업을 기술지도하는 제도인 테크노닥터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테크노닥터는 기술문제와 전문가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을 한국천문연구원 소속 전문가가 기술지도하는 제도입니다. 2015년도 한국천문연구원 패밀리기업 중에서 기업이 필요한 기술을 개발 및 기술 지원하는 맞춤형태의 수요형 R&D 과제를 수행하고자 공모하오니 관심 있는 중소기업의 많은 신청을 바랍니다. 1. 신청자격 - 2015년도 현재 한국천문연구원 패밀리기업 2. 모집분야 : 광학계 성능 측정 기술, 광학계 설계 및 제작 기술, 전파 신호처리 기술, 전파천문 수신 기술, 우주방사선 측정 기술, 우주 측지 분야 기술, 영상?전자제어 기술, 천체망원경 관련 기술, 천문 콘텐츠 3. 과제기간 : 1년 4. 제출서류 : 기업수요형 RnD과제 사업계획서 1부 5. 신청기간 : 2015. 12. 07.(월) 18:00 까지 6. 선정평가 : 2015. 12. 15.(화) 7. 신청서 접수 담당 : 이다교 042-865-3390 / leedagyo@kasi.re.kr . 패밀리 기업 모집 문의 - 중소기업협력센터 김광동 (전문위원) 042-865-3357 / kdkim@kasi.re.kr - 중소기업협력센터 남욱원 (센터장) 042-865-3221 / uwnam@kasi.re.kr
30 2015-10
No. 392 일반
제9회 전국학생천체관측대회 수상팀 공지 제9회 전국학생천체관측대회 수상팀을 다음과 같이 발표합니다. 수상팀 여러분들께 축하의 말씀을 드립니다. 1. 중등부 수상팀 중등부 수상팀의 학교, 팀명, 상명, 내역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학 교 팀 명 상 명 내 역 대전동산중학교 오거성 대상 한국천문연구원장상 부림중학교 마카리안 금상 한국과학창의재단이사장상 대전동화중학교 별헤는반 금상 한국과학창의재단이사장상 대전봉산중학교 GALAXY BS 은상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장상 영선중학교 안타레스 은상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장상 구산중학교 VEGA 동상 국립평창청소년수련원장상 대전문정중학교 별찾사 동상 국립평창청소년수련원장상 명현중학교 GM 동상 국립평창청소년수련원장상 인천신정중학교 나유타 동상 국립평창청소년수련원장상 양정중학교 천상바라기 동상 국립평창청소년수련원장상 2. 고등부 수상팀 고등부 수상팀의 학교, 팀명, 상명, 내역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학 교 팀 명 상 명 내 역 동두천고등학교 ButterStar 대상 한국천문연구원장상 부산과학고등학교 퀘이사 금상 한국과학창의재단이사장상 경산과학고등학교 지스타ZESTAR 금상 한국과학창의재단이사장상 대전동신과학고등학교 TELSA 은상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장상 동성고등학교 성유천지 은상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장상 대건고등학교 동방의별 동상 국립평창청소년수련원장상 성수고등학교 VOID 동상 국립평창청소년수련원장상 강원고등학교 Oort Cloud 동상 국립평창청소년수련원장상 구성고등학교 깐따삐야 동상 국립평창청소년수련원장상 한성과학고등학교 Polaris 동상 국립평창청소년수련원장상 3. 지도교사상 수상자 지도교사상 수상자의 학교, 팀명, 성명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학 교 팀 명 성명 대전동산중학교 오거성 진병훈 부림중학교 마카리안 박상인 대전동화중학교 별헤는반 정윤화 대전봉산중학교 GALAXY BS 류현아 영선중학교 안타레스 박홍제 구산중학교 VEGA 최근욱 대전문정중학교 별찾사 심현영 명현중학교 GM 김경숙 인천신정중학교 나유타 박선영 양정중학교 천상바라기 김상진 동두천고등학교 ButterStar 노지영 부산과학고등학교 퀘이사 이경훈 경산과학고등학교 지스타ZESTAR 이오균 대전동신과학고등학교 TELSA 김선봉 동성고등학교 성유천지 구경록 대건고등학교 동방의별 김효태 성수고등학교 VOID 박지현 강원고등학교 Oort Cloud 노한솔 구성고등학교 깐따삐야 김준호 한성과학고등학교 Polaris 이승우 ※ 시상식 날짜와 장소, 수상자 워크숍 관련내용은 추후 공지하겠습니다. ※ 관련문의 한국천문연구원 글로벌협력실 조현수042-869-5909
07 2015-10
칠레 천문탐사의 기회 '스마트 과학퀴즈쇼 간다면 간다'
No. 391 일반
'스마트 과학퀴즈쇼 간다면 간다'는 대전에서 개최되는 사이언스페스티벌과 세계과학정상회의를 기념하여 대전엑스포 시민광장에서 생방송으로 진행된다. 이 행사는 대전광역시와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가 주최하고, 한국천문연구원과 하나은행이 후원한다. ○ 일시 : 2015년 10월 9일 금요일 오후 7시 50분(생방송) ○ 장소 : 대전시 엑스포 시민광장 ○ 출연진 : 서경석 홍진호 사유리 김영희 이진호 여한종 ○ 참여방법 1. 구글플레이/앱스토어에서 [땡기지 앱] 다운받고 설치 2. 앱 로그인 3. 10월 9일(금) 저녁 7시 50분에 방송되는 [스마트과학교 간다면간다] 프로그램에 접속 4. 생방송 과학 문제에 참여하기 ○ 상품안내 1등 - 칠레 천문탐사 여행권(8박10일, 2인항공권, 숙식 일체/1500만원 상당) 2등 - 상금 200만원 3등 - 상금 50만원 (2명) 그 외 - 노트북,백화점상품권,외식상품권,제과상품권,문화상품권,커피상품권 등 200만원 상당의 상품 참여하신 모든 분들께 추첨을 통해 신세계 기프트 상품권(10만원권), 아웃백상품권,파리바게트모바일, 문화상품권, 생방송 현장 참여자 선착순 350분께 신세계 기프트 상품권(2만원권) 드립니다. 관련 링크  : http://home.ebs.co.kr/science/main
만족도 조사
콘텐츠 담당부서
콘텐츠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