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포토갤러리

[천체사진] 오리온자리 별탄생영역 2011-08-17

1.


○ 위의 사진은 오리온자리의 별탄생영역을 근적외선 영역으로 찍은 사진이다. 별이 탄생하면서 먼지가 내는 열을 근적외선 영역으로 촬영을 하였다. 붉은색으로 표시된 영역은 다른 영역보다 밀도가 높은 영역이다.

2.


○ 오리온 성운에 위치한 우리은하에서 가장 유명한 별탄생영역이다. 거리가 500pc(파섹)으로 비교적 가까워 별탄생 과정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천체이다.

○ VLBI 을 이용한 H2O 또는 SiO 메이저 관측을 통해 현재 생성 중에 있는 원시성 주변에 형성된 강착원반과 (SiO 메이저, 안쪽 H2O 메이저) 원시성으로부터 방출되는 쌍극분출류의 (바깥쪽 H2O 메이저)를 볼 수 있다. KVN+VERA로 관측된 부분이 회전하고 있는 두꺼운 강착원반임을 보여 준다.

○ 별탄생영역에 분포되어 있는 메이저 현상은 전파영역에서 관측할 수 있다. 이 분포도를 측정하면 별탄생에 관해 알아낼 수 있다. 가시광영역에서도 관측이 가능하지만, 전파영역보다 분해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전파영역에서 관측을 하고 있다.

* pc(파섹) : 지구에서 보았을 때, 태양을 중심으로 시차가 1초되는 물체까지의 거리. 1pc=3.26광년.
* VLBI : 서로 떨어져 있는 전파망원경을 이용하여 천체의 정확한 위치 및 화상을 얻는 전파간섭기술.
* KVN : 지름 500km 크기의 전파망원경에 필적하는 높은 분해능을 가진 국내 최초의 VLBI 관측망.
* 메이저현상 : 물, 일산화규소 등의 분자메이저들이 분포되어 있는 곳에서 분자들이 방출선(천이선)을 내며, 밀도가 높은 곳에서는 분광선이 증폭됨.

1.
- 각크기/분해능 : 3호분 x 3분 / 1초
- 주파수 : 근적외선(2 마이크론)
- 망원경 : 1m 급 광학망원경
2. (좌측상단에서부터 시계방향순으로 설명)
- 각크기/분해능 : 30도 x 20도 / 1초
- 주파수 : 광학
- 망원경 : 1m 이하 광학망원경

- 각크기/분해능 : 1도 x 0.6도 / 1초
- 주파수 : 광학
- 망원경 : 1m 이하 광학망원경

- 각크기/분해능 : 0.4호초 x 0.4호초 / 0.001호초
- 주파수 : 43GHz (일산화규소(SiO)메이저)
- 망원경 : KVN+VERA

- 각크기/분해능 : 1.5호초 x 1.5호초 / 0.1호초
- 주파수 : 22GHz (물(H2O) 메이저)
- 망원경 : VLA 전파간섭계

- 각크기/분해능 : 3호분 x 3분 / 1초
- 주파수 : 근적외선(2 마이크론)
- 망원경 : 1m 급 광학망원경 (흑백)
만족도 조사
콘텐츠 담당부서
콘텐츠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