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포토갤러리

[천체사진] 삼각형자리은하, M33 2011-10-10

- 명칭 : Triangulum galaxy(삼각형자리은하), M33, NGC 598
- 별자리 : 삼각형자리(Triangulum)
- 적경(R.A.) : 1h 33m 50s
- 적위(Dec) : 30° 39' 37"
- 겉보기등급 : 5.7등급
- 겉보기크기 : 70.8' x 41.7' (arc minutes)
- 분류 : 나선은하(Spiral Galaxy)
- 거리 : 약 300만 광년



○ 위 사진은 삼각형자리은하(Triangulum galaxy)로 알려져 있는 M33이다. M33은 1654년 지오반니 바티스타 호디에르나(Giovanni Batista Hodierna, 1597-1660, 이탈리아 시실리 출신의 천문학자)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고, 약 한 세기 뒤인 1764년 샤를 메시에는 이 천체를 재발견하고 그의 목록에 등록하였다. M33은 종종 M101과 더불어 바람개비은하(Pinwheel galaxy)라고 불리기도 한다.

○ M33은 우리은하가 속한 국부은하군의 은하이면서, 안드로메다은하(M31)의 위성은하로 생각되고 있다. M33은 우리은하나 안드로메다은하보다 약 1/4배 작지만, 우리은하와 가까이 있기 때문에 달의 두 배 크기로 보인다.

○ 위 사진과 같이 M33은 여러 개의 나선팔을 가진 ‘정면에서 본 은하(face-on galaxy)'의 모습을 가지고 있어 상대적으로 많이 기울어져 있는 안드로메다은하와 대조를 이룬다. M33은 우리은하와 가까이 있고 나선은하의 정면을 볼 수 있다는 점이 은하를 연구하는 표본으로써의 구실을 하고 있으며, 안드로메다은하와 더불어 은하의 거리를 재는 척도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M33에 속한 다양한 천체들이 NGC 목록(NGC 588, NGC 592, NGC 595, NGC 603)이나 IC 목록(IC 131, IC 132, IC 133, IC 134, IC 135, IC 136, IC 137, IC 139, IC 140, IC 142, IC 143)에 등록되어 있기도 하다.

○ 위 사진에 M33은 팽대부(burge, 중심부)의 특징이 약하고, 나선팔도 여러 갈래 찢어놓은 듯 어지러이 보인다. 나선팔에는 루비같이 빛나는 붉은 HII영역과 젊은 별들의 구름인 푸른 영역들이 다수 존재한다. 위 사진에서 은하중심에서 1시 방향 나선팔 끝에 있는 붉은 점은 NGC 604로서 M33의 대표적인 HII영역이다(NGC 604에는 약 200개 이상의 뜨겁고 무거운 별들이 갓 태어나고 있다). M33에는 종족II의 별들과 구상성단도 관측되었다.

○ 삼각형자리은하는 아직 초신성 폭발이 관측되지 않았지만, 폭발의 흔적인 초신성 폭발 잔해가 수 개 관측되었다. 또한 25개의 세페이드 변광성을 포함하여 112개 이상의 변광성이 발견되었다.

- 촬 영 자 : 전 승 표
- 촬영일시 : 2011년 9월 24일
- 촬영장소 : 경남 의령군 한우산
- 망 원 경 : Pentax 125SDP
- 마 운 트 : Takahashi EM-200 Temma2 Jr.
- 카 메 라 : SBIG ST-2000XM
- 노출정보 : L = 10m*10(1*1binning), RGB = 각 5m*5(2*2binning), Ha = 20m*4(1*1binning) [총 4시간 15분]
-------------------------------------------------------------------------------------------------------------
* 메시에 목록(Messier Catalogue)
프랑스 천문학자 샤를 메시에(Charles Messier)가 1774년 혜성관측을 수월하게 하기 위해 작성한 것으로, 혜성과 혼동되기 쉬운 110여개의 성단(星團), 성운(星雲), 은하(銀河)를 수집하였다.
* NGC (New General Catalogue of Nebulae and Star Clusters)
NGC 목록은 성운, 성단, 은하에 대한 목록으로, 존 허셀과 그의 아들 윌리암 허셀이 1863년에 발표한 GC(General Catalogue; 5079개)를 John Dreyer(1888년)가 확장, 개정한 것으로 7,840개의 북반구 천체를 포함하고 있다. 그 후 추가적으로 발견된 천체는 IC 목록으로 보완하였다. NGC 2000.0으로 알려진 NGC/IC 목록은 현재 전하늘에 걸쳐, 13,000개가 넘는 천체의 목록을 제공한다.
* IC (Index Catalogue)
IC는 Dreyer가 만든 NGC 목록(1888년, 7840개의 북반구 천체목록)을 보완하기위해 만든 목록으로, 1985년(1529개)과 1908년(3857개)에 새로운 성단, 성운, 은하를 추가시킨 목록을 말한다.
만족도 조사
콘텐츠 담당부서
콘텐츠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