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포토갤러리

[천체사진] 구상성단 M10 2005-05-30

- 명칭 : M10, NGC 6254
- 별자리 : 땅꾼자리(Ophiuchus)
- 적경 : 16h 54m 30s
- 적위 : -04° 02'
- 겉보기등급 : 6.7
- 겉보기크기 : 15.1' (arcmin)
- 거리 : 16,000 광년



○ M12와 함께 땅꾼자리에 속하는 가장 유명한 구산성단으로 소형망원경을 이용해 희미하게 그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구상성단은 샤를 메시에(Charles Messier)에 의해 1764년 5월 29일에 발견되어 처음에는 별을 가지지 않은 성운으로 기록되었다. 그 후 윌리암 허셀(William Herschel)이 처음으로 그것들 속에서 별을 분해해 냈다. M10은 실제 직경이 약 70광년이고, 우리에게서 69km/sec의 속도로 멀어지고 있는 아주 늙은 구상성단에 속한다.

○ 위 사진에서는 밝은 오렌지색과 파란색의 두 가지 종류의 밝은 별을 쉽게 구분할 수 있다. 오렌지색 별은 핵에서 수소가 고갈되고, 별 껍데기에서 수소가 타고 있는 적색거성이며, 파란별은 그들의 핵에서 헬륨이 타는 안정된 상태에 있는 단계이다. 이 사진에서 몇 개 보이지는 않지만, 어두운 회색의 별들만이 태양과 같이 그들의 핵에서 수소가 타고 있는 것 같다. 또한 M10에는 밝기가 변화하는 변광성이 단지 4개만 관측될 정도로 변광성의 개수가 극단적으로 적다

-촬 영 자 : 황인준
-촬영일시 : 2005년 3월 19일 03시15분
-촬영장소 : 강원도 횡성군 강림면 월현리
-촬영장비 : 300mm F4.0 자작 뉴튼식 반사망원경
-적 도 의 : AP EQ1200 GTO
-카 메 라 : SBIG ST-10XE (-30도)
-노 출 : 흑백(1X1) - 10분(5분x2매), RGB(2X2) - 각 5분(5분x3매)
-카메라 제어 및 합성 : Maxim DL, LRGB 합성
-이미지 프로세싱 : Stella Image 4.0, Photoshop 7.0


------------------------------------------------------------
* 구상성단 (globular cluster)
중력적으로 묶여 있는 별의 집단으로 그 전체적인 모양이 공과 같아서 구상성단(球狀星團)이라고 한다. 구상성단의 별은 적게는 수 만개에서, 많게는 수 백 만개의 별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크기도 지름이 수 십 광년에서 수 백 광년으로 다양하다. 구상성단 내의 모든 별들은 나이가 비슷한데, 대부분의 구상성단은 은하가 처음 생성될 시기에 태어난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까지 알려진 우리은하 내의 구상성단의 수는 약 150개이며, 현대에는 첨단 관측장비를 이용하여 외부은하의 구상성단도 끊임없이 발견하고 있다. 천문학자들은 우리은하 혹은 외부은하 주변의 구상성단을 관측하여 별의 진화와 은하의 형성 역사를 연구하고, 더 나아가 우주의 나이를 결정하는데 구상성단을 이용한다.

* 메시에 목록(Messier Catalogue)
프랑스 천문학자 샤를 메시에(Charles Messier)가 1774년 혜성관측을 수월하게 하기 위해 작성한 것으로, 혜성과 혼동되기 쉬운 110여개의 성단(星團), 성운(星雲), 은하(銀河)를 수집하였다. 이 목록에는 우리에게 잘 알려진 M1 (게성운:Crab Nebula), M31(안드로메다 은하:Andromeda Galaxy), M42 (오리온성운:Orion Nebula), and M45 (플레이아데스 성단:Pleiades) 등이 포함되어 있다.


만족도 조사
콘텐츠 담당부서
콘텐츠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