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명 칭 : 독수리 성운(Eagle Nebula), IC 4703
- 별자리 : 뱀자리
- 적 경 : 18h 18m 48s
- 적 위 : -13˚ 47'
- 거 리 : 7000광년

○ 독수리 성운(IC 4703)은 여름철 은하수가 흐르는 뱀자리에 위치한 성운으로 우리에게는 M16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M16은 스위스 천문학자 슈조(Philippe Loys de Cheseaux)가 1745년에 성단만을 발견하였으나, 1764년 샤를 메시에가 성운을 발견하였다. 현재는 전체 성운에 대해서는 IC 4703이라하고, 성운 내부의 밝은 중심영역이나 산개성단을 M16 (NGC 6611)이라 부른다.
○ 막대한 양의 가스 구름에 의해 둘러싸인 M16은 젊은 산개성단으로 질량이 큰 젊은 별들로부터 나오는 자외선 복사에 의해 주변의 가스를 부분적으로 이온화시키고 있다. 약 7000광년 정도의 거리에 있고, 지름은 70광년이며, 질량은 태양의 약 12,000배이다.
○ 사진의 중심부분(아래사진)은 밀도가 높은 분자운과 먼지들에 의해 생성된 세 개의 기둥이 보이는데, “코끼리 코“를 연상시킨다. 이 기둥은 “창조의 기둥”으로 별 탄생이 활동적으로 일어나고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이다. 성분은 차가운 성간 수소가스와 먼지들로서 새로운 별들의 인큐베이터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천문학적으로 연구가치가 매우 높은 지역이다.

보현산천문대 1.8m 망원경을 이용하여 중심부분을 확대 촬영
- 촬영자 : 신병석
- 촬영일시 : 2005년 6월15일 새벽
- 촬영장소 : 전북 장수 무령고개
- 망 원 경 : SKY 90 with flattner (FL = 408mm)
- 마 운 트 : 다카하시 EM200 Temma 2 Jr.
- 카 메 라 : 냉각 CCD 카메라 (SBIG ST - 2000XM ). 영하 20도 냉각
- 노출정보: H alpha filter ( 4.5nm ) . 5분 x 5장( 1x1 Binning)
- 이미지처리 : MaximDL 에서 처리후 Adobe Photoshop CS에서 후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