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포토갤러리

[천체사진] 9P/Tempel 1 2005-07-04

- 궤도주기 : 5.5년
- 근일점 거리 : 1.5AU
- 반사율 : 0.07
- 자전주기 : ~38시간
- 최대 안시 등급 : ~ 9.3등급
- 발견 역사 : 1867년 4월 3일 발견(빌헬름 템펠) -> 1873, 179년 관측 -> 1881년 목성 근처에 가까이 접근한 후, 한동안 관측 불가 -> 1967년 재발견




○ 위 사진은 7월 4일 오후 1시 54분과 오후 3시 16분 (한국시각)에 촬영한 템펠 1 혜성의 모습으로, 혜성과 딥임팩트 탐사선에서 분리된 충돌체와의 충돌 전후의 모습이다. 템펠1 혜성의 충돌은 한국시각으로 오후 2시 52분이었기때문에 국내에서는 충돌 당시장면을 관측할 수 없었다. 그러나 한국천문연구원이 미국 애리조나 주에 설치한 레몬산천문대의 1m 자동망원경을 이용해 촬영하였다.

- 촬영일시 : 2005년 7월 4일 3시 16분
- 촬영장소 : 미국 애리조나 주 레몬산천문대
- 촬영장비 : 레몬산천문대 1m 자동망원경
- 카 메 라 : 2KCCD
- 노출정보 : 120초


------------------------------------------------------------
※ 딥임팩트 (Deep Impact)
미항공우주국(NASA) 딥임팩트 탐사선으로부터 분리된 지름 1m의 원통모형의 충돌체를 템펠 1 혜성에 충돌시킴으로써 크레이터의 생성원리와 혜성 내부와 외부의 차이 등을 알아내고, 크레이터의 내부와 충돌파편으로부터 태양계 생성의 원리를 알아내기 위한 우주 실험이다. 충돌체의 총중량은 372kg, 충돌 순간의 속도는 10.2km이다.

※ 템펠1 혜성
1867년 4월 3일, 프랑스 마르세유에서 에른스트 빌헬름 템펠에 의해 발견된 템펠1 혜성은, 같은 해 5월 독일의 C. 브룬스에 의해 주기혜성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5년 6개월 주기로 화성과 목성 사이를 지나는 혜성으로 길이 14km, 폭 4km이다. 발견 당시부터 1881년까지 5.68년을 주기로 태양을 공전했으나, 그 이후 목성의 중력 영향 때문에 공전주기가 짧아져 현재 5.5년을 주기로 공전하고 있다.
현재 남쪽 하늘 처녀자리 스피카 동쪽에서 찾을 수 있으며, 7월 4일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지점(근일점)을 통과하는데, 이 때 밝기는 9.3등급이다.

※ 레몬산천문대 (Mt. Lemmon Optical Astronomy Observatory; LOAO)
한국천문연구원이 미국 아리조나주에 있는 레몬산(Mt. Lemmon, 해발 2,776 m)에 건설한 레몬산천문대는 직경 1 m 자동광학망원경을 보유하고 있다. 대덕연구단지 본원에서 네트워크를 이용해 관측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현지에 가지 않고 무인으로 원격조종하여 관측한다. (http://lemmon.kasi.re.kr/)
만족도 조사
콘텐츠 담당부서
콘텐츠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