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명 칭 : 직녀성, 베가(Vega), 거문고자리 알파별(Alpha Lyrae)
- 별자리 : 거문고자리( Lyrae)
- 적경(R.A.) : 18h 36m 56.2s
- 적위(Dec) : +38˚47'1.3"
- 겉보기등급 : 0.03 (B), 0.03 (V)
- 절대등급 : 0.58
- 거리 : 26.3 광년
- 표면온도 : 9,500K
- 분광형 : A0V
- 질량 : 태양의 2.5배 (2.5 Msun)
- 밝기 : 태양의 50배 (50 Lsun)
- 특징 : Delta scuti 형 변광성(주기 : 4.6시간)

○ 베가는 북쪽 은하수 속에 자리 잡은 거문고 자리의 가장 밝은 별로 백조자리 데네브와 독수리자리 알테어(견우성)와 함께 여름철 대삼각형(아래그림)을 만들며 여름철 별자리를 찾는 중요한 이정표가 된다.
○ 베가는 전하늘에서 태양을 제외하고, 시리우스(큰개자리), 카노푸스(용골자리), 알파센타우리(센타우루스자리), 아크투루스(목동자리) 다음으로 밝은 별로서, 5월 초저녁에 하늘에 나타나 8월 중순에는 천정(관측자의 머리위)에서 빛나며, 초겨울 저녁무렵에 지평선 아래로 사라진다.
○ 베가는 흰색의 주계열 항성으로 핵에서 수소핵융합 반응이 일어나고 있으며, 표면온도는 9500K이다. 지구와 아주 가까운 거리인 26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태양보다 50배 이상 밝다. 또한, 태양질량의 2.5배정도로 무거우므로, 내부연료를 빠르게 소모하여, 약 10억년도 안되는 짧은 기간동안 연료를 다 사용하게 되며, 이는 태양의 일생보다 10%정도의 짧은 기간이다.
○ 2002년에 천문학자들은 베가에서 행성 존재 가능성을 발표했다. 베가 주변의 생성된 먼지원반사이에서 두개의 먼지 덩어리를 발견했는데, 이것이 생명체가 존재하는 행성일지라도, 베가는 2억년의 짧은 생애를 주계열 항성으로 살기 때문에 원시생명체로 진화하기는 어렵다.
○ 19C 중반이후, Vega는 모든 파장에 대한 별의 등급을 정하는 기준으로, 겉보기 등급은 모든 파장에 대해서 0.0 등급으로 정의되어 왔다. 정의에 따르면, 베가의 색지수는 0.00이다.그러나 현대에 와서 등급이 재정의 되면서 베가의 등급이 +0.03정도 약간 변하였지만, 여전히 A0와 같은 분광형을 가지는 별의 색지수 B-V = 0.00이다.
○ 지구의 자전축은 세차운동에 의해서 26,000년을 주기로 1회전한다. 현재의 자전축은 북극성을 가리키고 있지만, 12,000년 후에는 베가가 현재의 북극성(작은곰 자리 알파별)을 대신해서 새로운 북극성이 될 것이다.
○ 위 사진은 아마추어천문가인 김승남씨가 촬영한 것으로, 중심부의 밝은 별이 직녀성(베가)이다. 별은 아주 멀리 떨어져 있어서 태양을 제외하고는 모두 점으로 보인다. 사진에서 별빛이 여러방향으로 퍼지는 이유는 조리개에 의한 빛의 회절현상때문이다

- 촬영자 : 김승남
- 촬영일시 : 2005년 6월 25일
- 촬영장소 : 충북 보은군 서당골 천문대
- 촬영장비 : Canon FD 400mm 1:2.8L (F5.6)
- 마 운 트 : Takahashi EM-200 Temmar 2
- 카메라 : 냉각 CCD 카메라 (SBIG ST-2000XM w/ CFW-8a). 영하10도 냉각
- 노출 : L filter(1x1 Binning) (3분+5분) x 3장, RGB filter(2x2 Binning) (1분+3분) x 각3장
- 이미지처리 : MaximDL, Stella Image 4.0, Adobe Photoshop CS
---------------------------------------------------------
※ 별이름의 명명법
날씨가 맑은 날, 남반구와 북반구 하늘을 모두 합쳐 우리눈에 보이는 별은 6,000개가 조금 넘는다고 한다. 그러나, 관측장비의 발달로 우리눈에 보이지 않던 별들까지도 발견하게 되고, 모든 별에 대한 이름을 정하는 것도 천문학의 한 영역이 되었다. 베가는 밝은 별이기 때문에 과거부터 부르던 고유한 이름이 있었지만, 아래 사진에서 Vega 주위에 산재하는 별들에 대한 이름은 새로 만들어지는 목록에 기록되어지고 있다.
- 바이어 코드 : 1603년에 요한 바이어가 그리스 알파벳을 이용하여 표현, 주로 별자리를 이루는 밝은 별들만을 밝기순으로 나열. ex) α Canis Majoris(시리우스)
- 플램스티드 번호 : 바이어 코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별자리의 별들을 적경순에 따라 숫자를 이용하여 나타냈다. ex) 183-Gem, 1553-Tau
- Bonner Durchmusterung (BD Number) : 1859~1862년에 수집된 324,188개의 별에 대한 위치와 등급 목록. 1886년에 133,659개의 목록이 추가되었다.
- Harvard Revised Photometry (HR Photometry) Catalogue : 6.5등급보다 밝은 9,096개의 별들에 대해 1908년에 에드워드 피커링이 수집한 목록.
- HD Catalog : 225,300개의 별에 대한 분광형과 위치 목록으로 하바드(1918~1924년)에서 수집된 목록으로 Henry Draper를 기념하기 위해 명명되었다. 오늘날 가장 널리 사용.
- SAO Number (Smithsonian Astrophysical Observatory Star Catalog) : 1966년에 미국 스미소니안천문대에서 작성되어 9등급까지의 별 259,000개를 포함하는 별 목록.
- Hipparcos Catalogue : 1997년 히파르코스위성에 의해 조사된 118,218개의 별에 대한 목록으로 시차와 고유운동 등 정확한 위치 정보와 등급을 포함한다.
- Fundamental Katalog (FK) : 독일에서 출판된 천체목록 시리즈로 1879년에 처음 위치 정보를 제공한 이후, FK2(1907), FK3(1937-38), FK4(1963), FK5(1988, 1991)가 발표되었다.
※ 베가의 여러 가지 명명법
-Bayor : α Lyrae
-Flamsteed : 3 Lyrae
-Hipparcos Identifier (HIP Number) : HIP 91262
-Harvard Revised (HR Number) : HR 7001
-Henry Draper Catalog (HD Number) : HD 172167
-Bonner Durchmusterung (BD Number) : BD+38 3238
-Smithsonian Astrophysical Observatory compendium (SAO Number) : SAO 67174
-Fundamental Katalog (FK5 Number) : FK5 6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