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포토갤러리

[천체사진] 뱀 암흑성운(B72) 2005-07-25

- 명 칭 : 뱀 암흑성운(Snake Dark Nebula), B72
- 별자리 : 땅꾼자리 (Ophiuchus)
- 적 경 : 17h 23m 30s
- 적 위 : -23˚ 37' 59"
- 거 리 : 650광년
- 겉보기 크기 : Size: 30'



○ 뱀성운(snake nebula)은 19세기 말 바나드(E.E. Barnard)에 의해 목록화된 182개 암흑지역 중 한곳으로, Barnard 72(B72)라 부른다. 위 사진에서 오른쪽 구불구불한 검은 지역이 말머리성운 다음으로 유명한 뱀 암흑성운이다. 또한 가느다란 곡선이 S자 모양을 닮아 ‘S자 성운’이라고도 부른다.

○ 뱀성운은 성간 분자운과 성간먼지로 구성되어 있어 새로운 별이 탄생하는 지역인데, 이 지역에 산재하는 성간먼지입자는 주로 탄소로 구성되어 가시광선을 흡수하고 적외선에서 재방출 한다. 재방출된 적외선은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으므로, 우리가 보는 지역의 배경별빛을 차단하게 되고, 마치 별이 없는 지역인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킨다.

○ 뱀성운은 Oph의 북쪽으로 1.5도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하여, 궁수자리와 전갈자리 사이의 은하수에서 뱀이 쉬고 있는 형상을 하고 있다. 태양으로부터 650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보름달 정도의 겉보기 크기를 가진다.

○ 사진 왼편 검은부분은 아래서부터 B68, B69, B71, B70이고, 오른쪽의 길게 굽이치는 모습이 B72(뱀성운)이다.

- 촬영자 : 조창우
- 촬영일시 : 2005년 4월 4일 02:26~
- 촬영장소 : 강원도 횡성군 월현리 중앙천문대
- 촬영장비 : 자작 12인치 반사망원경 ( FL = 1200mm), 빅센 코마 코렉터 + LPS P1 광해 필터
- 가대 : NJP TEMMA2
- 카메라 : Cannon EOS20D
- 가이드 : ST-5C 자동 가이드
- 노출 : 4분 X 7장
- 이미지처리 : MaximDL, Stella Image 4.0, Adobe Photoshop CS


--------------------------------------------------
* 바나드 (Edwin Emerson Barnard : 1857~1923)
천문학자 겸 천체사진가로, 미국 테네시주에서 태어나 독학으로 천문학을 공부하였다. 혜성발견을 시작으로 릭천문대(Lick Obs.)에 근무하면서 목성의 새로운 위성을 발견하여 세계적 명성을 얻었다. 자신의 사진기술을 이용하여 은하수 사진을 촬영하던 중 은하수 군데군데 나타나는 암흑영역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이 영역이 별이 없는 것이 아니라, 암흑물질에 의해 배경별이 보이지 않는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1919년 천체물리학지(Astrophysical Journal)를 통해 182개의 암흑성운 목록을 발표하였다. ("On the Dark Markings of the Sky with a Catalogue of 182 such Objects").
평생 17개의 혜성을 발견할 정도로, 관측 중독자였던 그는 날씨에 따라 기분이 좌우될 정도였다고 한다.

* A dark nebula
암흑성운 : 가스와 먼지로 구성된 성운으로 별이 태어나는 곳이다. 전형적인 온도가 영하 260도 정도로 아주 낮아 빛을 방출하지 않고 오히려 배경의 별빛등을 차단한다. 가장 유명한 암흑성운은 오리온자리의 말머리성운(B33)이다.
만족도 조사
콘텐츠 담당부서
콘텐츠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