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포토갤러리

[천체사진] NGC 1499 2005-08-01

- 명칭 : 캘리포니아 성운(Califonia nebula), NGC 1499
- 별자리 : 페르세우스자리 (Perseus)
- 적경 : 04h 00.7m
- 적위 : +36˚ 37'
- 거리 : 1000광년
- 실제 크기 : 100광년
- 겉보기 크기 145 x 40 (arc min)



○ 캘리포니아 성운 (NGC 1499)은 거대한 H II 영역으로, 바나드(E.E. Barnard)에 의해 1884년에 발견되었다. 매우 뜨겁고 푸른 주계열성 별(O7e)인 페르세우스자리 멘키브별(ξ Persei, Menkib : 사진에서 성운 아래쪽에 위치하는 밝은 별)이 성운을 빛나게 하는 에너지 원이다.

○ 아주 어두운 장소에서 Hβ 필터가 장착된 시야가 넓은 망원경을 이용하면 볼 수도 있지만, 낮은 표면 밝기 때문에 사진관측을 통해서만 정확히 확인할 수 있다.

○ 캘리포니아 성운은 미국의 서부해안에 있는 캘리포니아와 모양이 약간 닮았다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2.5도 x 0.5도의 넓은 영역을 차지한다.

○ 뜨거운 별 근처에 있는 성간 수소는 별에서 방출되는 강한 자외선을 흡수하여 수소원자에서 전자가 떨어져 나간다(전리). 이때 전리된 수소로 이루어진 지역을 H II 영역(H II region)이라 한다. 전리된 수소는 양성자와 전자 상태로 남아있을 수 없고, 다시 전기적으로 결합하면서 빛을 내놓게 된다. 이때 대부분의 성운은 H-alpha 방출선만 내지만, 캘리포니아성운은 H-alpha 뿐 아니라, H-beta 방출선을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촬영자: 윤재룡
- 촬영장소: 강원도 철원군 대마리
- 망원경: Astro-physics 155EDF(F7.1)
- 가대 : Astro-physics 1200QMD
- 카메라 : Pentax 67
- 필름 : Kodak E200
- 노출 : 85분(2stop 증감)
- 기타장비 : 필름흡인. 질소주입. STV자동가이드


----------------------------------------------------------------
* Menkib (ξ Persei, 46-Persei)
겉보기 등급이 3.98등급, 절대 등급이 -4.70이며, 표면온도는 37,000K이고, 밝기는 태양의 330,000배, 질량은 태양의 40배이다. 분광형이 O형으로 캘리포니아 성운을 뜨겁게 달군다. 원래 이름은 아라비아어로 페르세우스의 어깨를 뜻하는 Menkib라고도 부른다. 현재 이별에 대해서는 많은 것이 알려져 있지 않지만, 대략 거성 혹은 초거성의 중간단계로, 수소핵융합 반응이 멈추고, 헬륨 핵융합 작용이 일어나는 것으로 예측된다. 매년 태양질량의 100만분의 1정도의 물질을 항성풍의 형태로 맹렬하게 뿜어내고 있다. 또한 작은 동반성을 가지고 있으며, 7일을 주기로 공전한다.

* 발광성운
성운 가운데에 매우 뜨겁고 밝은 별이 있어서 이 별에서 나온 강력한 자외선이 주변의 기체를 자극하여 빛을 낸다. 주로 수소원자의 H-alpha 방출선에 의한 것으로 붉은 색의 빛을 띠게 된다. 이러한 발광성운은 대개 최근에 별이 생겨나고 있는 영역이며, 대표적인 예가 오리온 대성운으로 성운 중심에 매우 젊은 별들이 발견된다.
만족도 조사
콘텐츠 담당부서
콘텐츠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