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별자리 : 백조자리 (Cygnus)
- 적경 (RA) : 20h 22m 13.7s
- 적위 (Dec) : +40° 15' 24"
- 은하경도(Galactic Longitude) : 78.15°
- 은하위도(Galactic Latitude) : 1.87°
- 겉보기등급 : 2.23 등급
- 절대등급 : -6.12 등급
- 거리 : 750 광년
- 분광형 : F8lb
- 표면온도 : 6,500 K
- 광도 : 태양의 65,000배
- 질량 : 태양의 12 배
- 색지수(B-V) : +0.690
- 시선속도 (Radial Velocity) : -007.5km s-1

○ 여름밤하늘, 백조자리를 보면 은하수를 따라 나는 백조의 모습을 상상할 수 있다. 백조자리는 큰 십자가(+) 모양을 하고 있으며, 남반구의 남십자성에 비교하여 북십자성으로 부르기도 한다. 그리스 신화에 따르면 백조는 제우스 신이 스파르타의 왕비 레다를 만나러 갈 때 헤라에게 들키지 않기 위해 변한 모습이라 한다.
○ 사진 중심부의 가장 밝은 별이 백조자리에서 세 번째로 밝은 감마시그니(γ Cyg; Sadr)로 이며, 백조의 가슴에 해당한다. 사드르(Sadr)는 아라비아어로서 암탉의 가슴(Hen's breath)을 뜻한다. 이 별은 대부분의 초거성과는 달리, 밝은 노란색을 띄며 드겁지도 차지도 않은 중간 정도의 온도를 가지고 있다. 이 별은 현재 주계열에 속해 있으며 맥동하는 불안정한 상태의 별들이 갖는 온도와 밝기를 가지고 있다.
○ 감마시그니(Sadr)와 베타시그니(알비레오) 사이에는 아름다운 성운이 많으며, 감마시그니는 주변에 거대한 구조를 가진 방출성운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이영역은 Ha(Hydrogen Alpha) 필터를 사용하여 촬영하면 더욱 극적인 모양을 볼 수 있다.
사진에 나타난 붉은 성운의 대부분은 IC 1318이다. 특히 사진 왼편에 성운이 나뉘어진 영역이 나비성운 (Butterfly Nebula)이라고 이름붙여진 지역으로, 수직으로 뻗은 어두운 부분은 성간 먼지 띠이다.

- 촬영자 : 전영준
- 촬영일시 : 2005년 8월 5일 23시
- 촬영장소 : 강원도 정선군 고한읍 고한리 함백산 중턱부근
- 촬영장비 : PENTAX SDUF II(fl=400mm) LPS P2 filter+Fringe killer filter
- 가대 : 다카하시 Temma2
- 카메라 : canon 350D
- 가이드: 자동가이드
- 노출 :600초x4장(iso 800)
- 이미지처리 :스텔라이미지합성, 캐논DPP, Photoshop cs2(filter-noiseware적용), 주변부 약10%크롭
--------------------------------------------------------------
* Gamma Cyg의 여러 가지 명명법
- 고유명 : 사드르(Sadr)
- Star Name : 37gam Cyg
- Henry Draper (HD) Number : 194093
- Harvard Revised (HR) Number : 7796
- SAO Number : 49528
- Durchmusterung (DM) Number : BD+39 4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