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리온자리에는 많은 성운들이 있다. 오리온의 허리에 해당하는 삼형제 별 중에서 동쪽 끝에 위치하는 제타오리온(ζOri) 주위에는 말머리모양의 암흑성운을 비롯해 발광성운(IC 434, NGC 2024), 반사성운(NGC 2023, IC 435)들이 모여 있다.
○ 오리온자리는 겨울철 별자리로 분류되지만, 가을철 깊은 밤에도 오리온 장군의 위용을 즐길 수 있다.
1. Zeta Orionis (Alnitak)
오리온의 허리에 해당하는 3개의 별 중 동쪽에 위치하며, 전체 오리온 별자리 중 5번째 밝은 별로 아랍어로 허리띠를 뜻한다. 분광형이 O형인 아주 뜨거운 별이며, 3초각 떨어진 곳에 위치한 동반성(B형)과 수 천 년을 주기로 궤도 운동하는 이중성이다.
- 적경(R.A.) : 05h 40m 45.5s
- 적위(Dec) : -01° 56‘ 34"
- 안시등급 : 1.74
- 절대등급 : -5.26
- 색지수(B-V) : -0.21
- 표면온도 : 31,000 K
- 광도 : 태양의 100,000배
- 질량 : 태양의 20배
- 분광형 : O9.5Ib
- 분류 : 초거성(Super Giant)
- 거리 : 817광년
- 다른 이름 : HR 1948, HD 37742
2. 말머리성운(Horsehead nebula ; B33)
가장 널리 알려진 암흑성운으로, 먼지구름이 배경의 발광성운(IC 434)을 가린 모습이 말머리와 닮아서 말머리성운이라고 부른다. 거대한 오리온 대성운의 일부이며, 거리는 1,600광년 정도 된다.
배경의 발광성운은 IC434이며, 오리온자리 시그마(σ) 별빛을 받아 붉은색으로 밝게 빛나고 있다. 망원경으로 보기는 어려우며, 오랜 시간 노출하여 찍은 사진에만 모습을 드러내는 어두운 성운이다
- 적경(R.A.) : 05h 40.9m
- 적위(Dec) : -02° 28‘
- 겉보기크기 : 6'x4'(arc minutes)
- 분류 : 암흑성운 (dark/diffuse nebula)
- 거리 : 1,600광년
3. IC 434
IC 434는 말머리성운의 배경에 밝게 빛나는 붉은 색의 발광성운으로, 시직경은 90‘x30’으로 매우 큰 영역을 차지한다. IC 434는 1889년 피커링(E. Pickering)이 사진관측을 통해 발견하였고, 말머리성운은 그 다음해인 1990년에 촬영된 사진(Isaac Roberts가 촬영)을 바나드가 처음 확인하여 목록화하였다.
4. 불꽃성운(The Flame Nebula; NGC 2024)
발광성운 NGC 2024는 사진에서 가장 밝게 빛나는 오리온자리 제타(ζ Ori)별 동쪽에 있는 붉은 성운이다. 이 성운은 주위의 고온의 별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받아 붉은 빛을 방출하고 있다. 이 성운은 시지름 약 30'×30'정도로이고, 안시 2.0등급으로 밝지만 제타별의 밝은 빛에 가려 잘 보이지 않는다. 중심부의 검은 줄기는 차갑고 밀도가 낮은 성운이 배경의 밝은 빛을 가려서 검게 보이는 것이다.
- 적경(R.A.) : 05h 42m
- 적위(Dec) : -01° 50‘
- 겉보기크기 : 30'x30'(arc minutes)
- 분류 : 발광 (emission nebula)
- 거리 : 900광년
- 등급 : 2.0등급
5. NGC 2023
NGC 2023은 사진 중심부근에 둥근 모양을 가진, 푸른색의 반사성운이다. 이 성운은 태양으로부터 1,600광년 떨어진 8.5 등급의 별빛을 반사해 자신의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이 별은 분광형이 B형이고, 표면온도가 11,000~25,000K이다.
- 촬영자 : 박현권
- 촬영일시 : 2005년 2월 5일
- 촬영장소 : 강원도 횡성군 천문인 마을
- 망원경 : 구경 160mm F3.3 뉴튼식 반사망원경
- 가 대 : 독일식 GOTO 적도의 (EM200 Temma Jr)
- 카메라 : 냉각CCD카메라(SBIG ST-2000XM), 영하30도 냉각
- 노 출 : L필터 300초 x 6장 (Unbinned), R,G,B필터 각 100초X3장씩 (Binned 2X2)
- 이미지처리 : MaximDL에서 Calibration, Align, Combine를 처리후 Photoshop CS2에서 Level 및 Curve 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