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포토갤러리

[천체사진] 나선성운 NGC 7293 2005-10-17

- 명칭 : 나선성운(Helix Nebula), NGC 7293
- 별자리 : 물병자리
- 적경(R.A.) : 22h 48m
- 적위(Dec) : -20° 48'
- 겉보기등급 : 7.3등급
- 겉보기크기 : 16‘/28’ (arc minutes)
- 실제크기 : 1.5광년
- 분류 : 행성상성운 (Planetary nebula)
- 거리 : 450광년



○ 아주 먼 미래에 태양의 운명은 아래 사진과 같은 모습이 될 것이다. 나선성운(Helix nebula; NGC 7293)은 물병자리에 위치한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행성상성운으로, 칼 루드비히 하딩(Karl Ludwig Harding)에 의해 1824년에 발견되었다.

○ 시차측정 결과 거리가 450 광년으로, 알려진 행성상성운 중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며, 겉보기크기 또한 가장 큰 것 중 하나이다. 사진상에 나타난 나선성운의 겉보기 크기는 보름달의 반경보다도 크며, 헤일로까지 포함하면 거의 달의 겉보기 지름에 해당하는 28분각까지 뻗쳐있다. 이는 다른 행성상성운에 비해 거리가 매우 가깝기 때문에 더 커 보이는 것이다.

○ 성운의 팽창은 약 1만 년 전에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최근 허블 망원경으로 고리를 자세히 살펴본 결과, 방사형으로 뻗쳐나가는 혜성모양의 가스체가 수천 개 발견되었다. 이 가스체는 우리 태양계보다도 더 크며 맹렬한 속도로 팽창하고 있다.

○ 행성상성운의 팽창기체는 중심별(백색왜성)에서 나오는 강한 자외선 복사를 받아 붉은 빛과 초록빛을 발산한다. 초록빛은 이온화된 산소에 의한 것이며, 붉은 빛은 수소와 질소 때문이다.

○ 성운이 아주 밝음에도 그 빛은 너무 넓게 퍼져있어서 육안으로 관측하기는 쉽지 않다.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나선성운(Helix nebula)이라는 이름은 사진상에 나타난 성운의 모양 때문에 생겨난 이름이며, 때때로 해바라기(Sunflower)성운이라고도 불린다.

- 촬영자 : 황인준
- 촬영일시 : 2005년 6월 12일 23:38~
- 촬영장소 : 강원도 횡성군 월현리 나다 제1 천문대
- 촬영장비 : 자작 12인치 반사망원경 ( FL = 1360mm)
- 가대 : AP EQ1200 GTO
- 카메라 : 냉각 CCD 카메라 (SBIG ST 10XE w/ CFW-10). 영하15도 냉각
- 노출 : L필터 5분x8장(1x1 Binning), RGB필터 5분x각2장 (2x2 Binning)
- 이미지처리 : MaximDL, Stella Image 4.0, Adobe Photoshop CS
만족도 조사
콘텐츠 담당부서
콘텐츠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