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포토갤러리

[천체사진] 태양의 홍염 2006-04-10

- 명칭 : 정온 홍염



○ 태양의 내부는 핵, 복사층, 대류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우리가 맨눈으로 보는 태양의 표면은 대기층으로 광구, 채층, 코로나로 구분할 수 있다. 고온의 이온화된 기체들이 태양표면에서 중력과 자기력의 의해 다양한 현상을 만드는데 이를 태양활동이라 한다.

○ 위의 사진은 다양한 태양활동 중에 하나인 홍염(prominence)을 촬영한 것이다. 홍염은 태양의 채층에서 보이는 현상으로 그 수명은 수 시간에서 수일에 이른다.

○ 홍염은 주위에 비해 차갑고 밀도가 높은 기체 덩어리가 태양의 중력을 이기고 떠올라 있는 것이다. 이러한 홍염은 채층에 떠 있다가 아래쪽으로 떨어지거나 태양 대기권 밖으로 빠져나간다.

○ 홍염은 분출형 홍염(eruptive prominence)과 정온 홍염(quiescent prominence)으로 구분하며, 위의 사진에서 나타난 홍염은 정온 홍염이다. 분출형 홍염은 수명이 1시간 정도에 지나지 않으며, 정온 홍염은 수일 이상 지속된다.

○ 태양을 보다 자세히 들여다보면, 태양의 가장자리에서는 배경에 비해 밝게 보이고, 태양 전면에서는 태양복사광을 차단하여 어둡게 보인다. 홍염이 태양 전면에 있을 때는 길게 뻗은 어두운 형태의 줄무늬를 가지는데, 이를 필라멘트(filament)라고 부른다. 홍염은 개기 일식 때 백색광으로도 볼 수 있다.



- 촬영자 : 김동빈
- 촬영일시 : 2006년 4월 2일
- 촬영장소 : 대전시민천문대 주 관측실
- 망원경 : 128mm 굴절(F/8)
- 홍염 필터 : Coronado SolarMax 60
- 접안렌즈 : Vixen LV 25mm
- 카메라 : Nikon E4500
- 노출 정보: (상단그림) ISO 400, 4x zoom, F5.1, 1/125초, (하단그림) ISO 100, F2.6, 1/250초
- 이미지 처리: (상단그림) MaxIm DL에서 Unsharp Mask / Photoshop에서 Level 조정, (하단그림) Photoshop에서 Level 조정
만족도 조사
콘텐츠 담당부서
콘텐츠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