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명 칭 : M20, Trifid Nebula (NGC 6514)
- 별자리 : 궁수자리(Sagittarius)
- 적경(R.A.) : 18h 02m 36s
- 적위(Dec) : -23° 02' 00"
- 등 급 : 9등급
- 겉보기크기 : 28'(arc minutes)
- 분 류 : 발광성운(Emission Nebula), 반사성운(Reflection Nebula)
- 거 리 : 5,200광년

○ 봉숭아 꽃잎을 닮은 M20 삼렬성운은 궁수자리의 서쪽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이 성운은 1764년 샤를 메시에(Charles Messier)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다. 20년 뒤 윌리엄 허셀(William Herschel)이 독자적인 목록을 만들면서 성운을 4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이름을 붙여 구분하였다. 이 후 그의 아들 존 허셀이 처음으로 삼렬성운(Trifid Nebula)이라고 불렀다.
○ 위 사진에서와 같이 이 성운은 붉은 영역(봉숭아의 꽃잎)과 푸른 영역(봉숭아의 독)으로 구성되어 있다. 붉은 영역은 방출성운이며, 중심에는 젊은 성단(ADS 10991)을 품고 있다. 수소 가스 덩어리인 방출 성운은 수소가 이온화하면서 붉은 빛을 낸다. 그 앞에 암흑성운(B 85)이 있어 3개의 꽃잎 모양을 만든다. 방출성운 뒤쪽에는 푸른 반사성운이 둘러싸고 있으며 이 영역에 새로운 별이 탄생하고 있다.
○ M20 중심에는 7.6등급, 10.7 등급, 8.7등급의 뜨겁고 거대한 삼중성(ADS 10991)이 있다. 삼중성의 등급의 차이 때문에 M20의 밝기는 9.0 등급, 또는 6.8 등급 등으로 서로 다르게 소개되고 있다.
○ 이 성운의 거리는 2,200 광년부터 7,600 광년까지 다양하며, 최근의 관측결과로는 5,200 광년으로 알려져 있다.
- 촬영자 : 김일순
- 촬영일시 : 2006년 3월 30일
- 촬영장소 : 강원도 횡성군 강림면 월현리 NADA 제1천문대
- 망 원 경 : 12인치 반사(구경 292mm, F 4.1, FL 1200mm)
- 가 이 드 : FS 78 + ST-4
- 가 대 : 다카하시 NJP Temma2
- 카 메 라 : Canon EOS 350D (Low Pass Filter 제거) + LPS-P2 필터
- 노출정보 : ISO 800, 6분 x 14장
- 이미지처리 : MaximDL에서 RGB 분해 후 Align, Combine, RGB 합성->Photoshop CS2에서 Level, Curve 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