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별자리 : 쌍둥이자리
- 적경 : 07h 29m 0.3s
- 적위 : +13° 14' 46"
- 겉보기크기 : 약 5' (arc minutes)
- 분류 : 행성상성운

○ 메두사성운은 매우 오래된 커다란 행성상성운(planetary nebula)으로, 전체적으로는 둥근 모양을 가지고 있지만, 남동쪽(사진 좌측 위)부분이 더 밝게 빛나서 초승달처럼 보인다. 현재 이 성운이 메두사(Medusa)라는 이름을 가진 이유에 대해서는 명확하지 않다.
○ 메두사성운은 쌍둥이자리와 작은개자리의 경계부분에 위치하며, 2.9등급인 작은개자리 β별(β Canis Majoris)의 북쪽으로 5°, 3.6등급의 쌍둥이자리 λ별(λ Geminorum)의 남동쪽으로 4.3°떨어진 곳에서 찾을 수 있다.
○ 약 5분각의 크기를 가지며, 상당히 큰 행성상성운 중의 하나지만, NGC catalog에도 등록되지 않은 잘 알려지지 않은 천체이다. 이 성운의 코드인 PLN은 행성상성운에 대한catalog(Strasbourg-ESO Catalogue of Planetary Nebulae)로서, 1445개의 행성상성운을 포함하고 있다. PLN205+14.1에서 뒤의 숫자는 천체의 은하경도(Galactic Longitude)과 은하위도(Galactic Latitude)를 의미한다. 즉 205는 은하 경도를, 14.1은 은하위도를 나타낸다.
○ 성운 내부에 위치한 푸른빛을 띠는 별이 항성 진화 마지막에 남은 백색왜성으로, 이 뜨거운 중심별에서 나오는 강한 자외선 복사를 받아 붉은 빛을 발산하고 있다.
- 촬영자 : 황인준
- 촬영일시 : 2005년 10월 11일 02:09~, 2006년 2월 03일 08:22~
- 촬영장소 : 강원도 횡성군 월현리 나다 제 1 천문대
- 촬영장비 : HO-BYM 380FN w/ R200s용 코마커렉터
- 가대 : Astro-Physics EQ 1200 GTO
- 카메라 : SBIG ST 10XE w/ CFW-10, -40도 냉각
- 노출 : Ha필터 1200초X5장(1X1, 2006. 2. 3), RGB : 300초X4장(2X2 Binning, 2005. 10.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