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 반 경 : 5.2AU (778,412,000km)
- 궤도이심률 : 0.048
- 근 일 점 : 4.95AU (740,743,000 km),
- 원 일 점 : 5.23AU (816,081,000 km)
- 궤도경사각 : 1.3°
- 적도지름 : 142,984km (지구의 11.209배)
- 극 지름 : 142.062km
- 질 량 : 1.8987E27kg (지구의 317.82배)
- 평균밀도 : 1.33 g/cm3 (지구의 0.24배)
- 표면중력 : 20.87 m/s2 (지구의 2.13배)
- 유효온도 : -148℃
- 반 사 율 : 0.52
- 공전주기 : 11.86년
- 회합주기 : 398.884일
- 자전주기 : 9.92시간
- 탈출속도 : 59.54 km/s (지구의 5.33배)
- 대기화학조성 : 수소(85%), 헬륨(15%), 메탄, 암모니아 등
- 위성 수 : 63 개

○ 목성은 태양으로부터 5번째 위치한 태양계 행성 중 가장 큰 행성으로, 크기는 지구 지름의 11배이며, 부피는 지구의 약 1,300배가 넘는다. 목성은 대부분이 가스로 이루어져 있는 목성형 행성이며, 태양이 생성될 당시의 수소와 헬륨의 구성성분비를 그대로 보존하고 있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또한 목성의 밀도는 태양의 밀도(1.4 g/cm3)와 거의 유사하다. 목성은 달, 금성 다음으로 밝으며 -14.등급에서 2.5등급 사이의 밝기로 빛난다. 목성의 겉보기 크기는 충에서 약 45″ 정도 된다. 목성은 자전주기가 약 10시간으로 빨리 회전하며, 대기가 가벼운 기체이므로 적도부근이 지구보다 20배 더 불룩하고 납작한 모양을 하고 있다.
○ 위의 그림과 같이 목성 표면은 검은띠(dark belt)와 밝은대(light zone)가 적도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목성 대기의 띠와 대는 비교적 안정된 구름 형태로서, 띠 내에서는 대기가 하강하고 백색 대에서는 상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림에서 목성 적도 좌하단에 있는 대적반(Great Red Spot)은 폭이 14,000km, 길이 30,000~40,000km로 6일에 1번 정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거대한 태풍이다.
○ 위의 그림에서 목성표면에 있는 검은 점은 목성의 위성인 이오의 그림자이며, 목성의 우하단에 있는 위성은 가니메데이다. 목성의 위성은 1610년 갈릴레오 갈릴레이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다. 갈릴레이가 발견한 목성의 4개의 위성인 이오, 유로파, 가니메데, 칼리스토를 갈릴레이 위성이라고 한다. 목성은 태양계 행성 중에 가장 많은 위성들 가지고 있는데, 파이오니아 10호(미국, 1973), 파이오니아 11호(미국, 1974), 보이저 1호?2호(미국, 1979), 카시니-호이겐스(미국, 유럽, 2000) 등의 많은 탐사선에 의해 현재 60여개가 넘게 발견되었다.
○ 올해 5월 5일은 목성 충(태양-지구-목성)이 있고, 5월 6일은 목성이 지구에 최접근하는 행성현상이 있다. 이때의 목성은 -2.5 등급을 가지고, 갈릴레이 위성은 약 5 ~ 6 등급을 가진다.

- 촬 영 자 : 최승용
- 촬영일시 : 2006년 3월 26일 04:00(KST)
- 촬영장소 : 경기도 안산 일대학 교정 주차장
- 망 원 경 : 300mm F4 (뉴튼 반사 망원경)
- 적 도 의 : 다카하시 NJP 템마 2
- 카 메 라 : 투유켐 프로 원 + 펜탁스 Or 6mm
- 이미지처리 : 레지스텍스 3, 포토샾 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