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명칭 : 73P/Schwassmann-Wachmann 3
- 분류 : 단주기 혜성
- 장반경 : 3.06 AU (1 AU = 1억 5천만 km)
- 이심율 : 0.69
- 주기 : 5.36년
- 근일점 통과 : 2006년 6월 6일
- 혜성의 절대등급 : 12(1995년 모혜성), 13이상(2006년 조각혜성)
- 핵의 절대등급 : 15(1995년 모혜성), 14이상(2006년 조각혜성)
- 지구 최접근 기록 : 0.0617 AU (1930년 5월 31일)
- 2006년 지구 접근 : 0.07 AU 이상 (2006년 5월 12일)

그림1. 73P-C/슈바스만-바흐만 3
○ 위의 사진은 태양을 향해 가는 73P/슈바스만-바흐만 3 혜성 중 조각혜성 C를 촬영한 것이다.
○ 73P/슈바스만-바흐만 3 혜성은 약 5.36년마다 태양 주위를 한번 공전하는 주기혜성이다. 이 혜성은 독일 함부르크 천문대의 아놀드 슈바스만(Arnold Schwassmann)과 아노 바흐만(Arno Wachmann)이 1930년 5월에 처음 발견하였다. 주기혜성으로는 73번째 발견되었으며, 슈바스만과 바흐만이 발견한 3번째 주기 혜성이기도 하다. 실제로 첫 발견 해인 1930년에 이 혜성의 지구에 최접근 했던 기록을 가지고 있다.
○ 73P/슈바스만-바흐만 3 혜성의 관측 역사는 많은 사연을 가지고 있다. 첫 발견 후 5년 뒤인 1935~1936년 사이에, 여러 가지 관측요건이 좋지 못하여 지구 주위를 통과하는 이 혜성을 관측하지 못했다. 적어도 연속된 3주기 동안 혜성을 관측해야 혜성의 궤도를 정확히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1935~1936년의 미관측은 이 혜성의 궤도를 예측을 어렵게 했다. 설상가상으로 1953년 10월과 1965년 11월에 이 혜성이 목성근접통과(각각 0.9AU, 0.25AU)를 함으로서 혜성의 궤도가 변동하여 예측에 혼란을 주었다. 1979년 8월에 이 혜성을 재발견하였으나, 1985~1986년에 또 관측을 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1990년, 1995~1996년, 2000~20001년 연속으로 관측하게 됨으로써 혜성의 궤도를 안정되게 예측할 계기가 마련되었다.
○ 73P/슈바스만-바흐만 3 혜성은 유별난 일생을 사는 혜성이기도 하다. 최근 20년 동안의 관측 기록을 보면 이 혜성은 지속적으로 깨지면서 조각나고 있다. 1995년 말 혜성이 깨지기 시작하여, 4개의 조각혜성이 되었다. 각각 73P-A/슈바스만-바흐만 3, 73P-B/슈바스만-바흐만 3, 73P-C/슈바스만-바흐만 3, 73P-D/슈바스만-바흐만 3의 이름이 주어졌는데, 73P-D/슈바스만-바흐만 3 혜성은 이내 관측되지 않고 사라져 버렸다. 그 중 가장 밝은 혜성은 73P-C/슈바스만-바흐만 3 혜성이다.

그림2. 73P-B/슈바스만-바흐만 3
○ 2001년에는 73P-B/슈바스만-바흐만 3, 73P-C/슈바스만-바흐만 3가 새로운 73P-E/슈바스만-바흐만 3 혜성과 함께 관측되었다. 올해 2006년의 관측에서는 이 조각혜성들이 다시 60여개의 조각혜성으로 붕괴되었으며, 역시 73P-C/슈바스만-바흐만 3 혜성이 절대등급 약 13등급으로 가장 밝다.

그림3. 73P-G/슈바스만-바흐만 3과 73P-R/슈바스만-바흐만 3
○ 천문학자들에게 이러한 혜성의 관측은 혜성이 붕괴되는 과정 및 원리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기회가 된다. 혜성의 붕괴는 혜성 자체가 성기게 뭉쳐져 있거나, 빠른 회전에 의해 원심력이 크거나, 태양 근처에서 태양열에 의해 혜성 내부의 증발압력이 높은 경우 등 다양한 원인이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현재 73P-C/슈바스만-바흐만 3 혜성의 겉보기등급은 약 5등급이다. 이 조각혜성군은 주초에 거문고자리에 떠 있다가, 주말에 여우자리를 지나 계속해서 페가수스자리, 물고기자리로 진행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 73P/슈바스만-바흐만 3 조각혜성들은 5월 12일과 28일 사이에 지구에 최접근(평균 1천1백만 km)하여 지나갈 것이다.

그림 4. 헤르쿨레스 자리에 있는 73P/슈바스만-바흐만 3 조각혜성들
- 촬 영 자 : 박영식
- 촬영시간 : 2006년 5월 3일 3~4시
- 촬영장소 : 전북 장수 무령고개
- 마운트 : Takahashi EM-200b
- 카메라 : Canon 20D(iso 1600) +Pentax SDUF 400mm @f/4, 100s(x4)[73p_c.jpg]
Canon 20D(iso 1600) +Pentax SDUF 400mm @f/4, 100s(x3)[73p_b.jpg]
Canon 20D(iso 1600) +Pentax SDUF 400mm @f/4, 100s(x2)[73p_gr.jpg]
Canon 20D(iso 1600) +Nikkor 50mm(f/1.4) @f/4, 60s(x2)[73p_all.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