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명칭 : M8 석호성운(Lagoon Nebula), NGC 6523
- 별자리 : 궁수자리
- 적경(R.A.) : 18h 03m 48s
- 적위(Dec) : -24° 23' 00"
- 겉보기등급 : 6.0
- 겉보기크기 : 90’ x 40’
- 분류 : 발광성운
- 거리 : 5,200 광년

○ 위 사진은 석호성운으로 알려진 M8로 여름철의 가장 큰 발광성운이다. 이 성운은 약 40여개의 별로 이루어진 산개성단 NGC 6530을 포함하고 있다. 이 성운은 은하수에 있는 궁수자리에 위치하며, M20 삼렬성운과 약 1.5° 떨어져 보인다.
○ 이 천체는 1680년 존 플램스티드에 의해 산개성단(NGC 6530)이 먼저 발견되고, 1747년이 되어서야 르 장티에 의해 산개성단 주변의 성운이 알려지게 되었다. 오늘날 이 성운이 M8로 불리는 것은 1764년 5월 샤를 메시에가 자신의 목록에 8번째로 등록하였기 때문이다. 당시 메시에는 M8의 산개성단을 주로 설명하였으며, 성운에 대해서는 궁수자리 9번째 별 주변만을 언급하였다.
○ 위 그림에서 가운데 영역은 자주빛 암흑성운에 의해 밝은 3개로 구분되어 보인다. 1890년 아그네스 클라크가 이 성운을 소개할 때, 이 가운데 영역의 모습을 본 따 처음으로 석호성운(Lagoon Nebula)이라 불렀다. 이 암흑성운은 B 88, B 89, B 269로 내부에 원시별(protostar)로 생각되는 구상체(globules)가 관측되는 것이 특징이다.
○ 아래 그림에 표시하였듯이 석호성운 안에 작은 밝은 부분이 있는데, 이 부분을 확대하여 보면 모래시계 모양의 구조가 보인다. 특별히 그 부분만을 모래시계성운(Hourglass Nebula)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존 허셀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다.

- 촬영자 : 이건호
- 촬영일시 : 2006년 3월 31일
- 촬영장소 : 강원도 천문인마을 원격천문대
- 망원경 : 구경 300mm F5 뉴튼망원경
- 마운트 : 독일식 적도의 (EQ1200GTO)
- 카메라 : 냉각CCD카메라 (SBIG STL-11000M)
- 노출 정보: RGB필터 5분 x 1장씩(2x2 Binning)
- 이미지처리 : Flat field 보정, Dark 및 Bias 감산 (Max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