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명칭 : NGC 6888, 초승달 성운(Crescent Nebula)
- 별자리 : 백조자리(Cygnus)
- 적경(R.A.) : 20h 12m 00s
- 적위(Dec) : 38° 21' 00"
- 겉보기크기 : 18' x 13' (arc minutes)
- 분류 : 성간 가스운(interplanetary gas cloud)
- 거리 : 5,000 광년

○ 위의 그림은 백조자리에 넓게 퍼져있는 성운의 일부(백조의 목 부분)를 촬영한 그림이다. 위 그림의 가운데에는 천해 산호 속을 헤엄치고 있는 듯 보이는 한 마리의 가오리가 있는데, 이것이 초승달 성운이라고 불리는 NGC 6888이다.

○ NGC 6888, 초승달 성운은 게성운(M1)처럼 초신성 잔해물(supernova remnant) 같아 보이지만, 실제로는 7.4 등급의 울프-레이에 별(Wolf-Rayet star)이 내뿜는 항성풍에 의해 생긴 특이한 성간 가스 성운이다. 이 성운의 가운데에 있는 울프-레이에 별(적색거성)은 현재도 많은 양의 항성풍을 일으키고 있다. 또한 위 그림의 초승달 성운에서 왼쪽 밝은 부분에는 밀집성(중성자 별)이 있어 울프-레이에 별이 내는 항성풍이 이것에 부딪쳐 X-선을 발생시킨다.
(참고) 울프-레이에 별은 태양보다 20배와 8배 큰 두 별이 서로 근접하여 있는 중량급 근접쌍성계로서, 두 별이 서로 질량을 주고받으면서 진화한다. 이 과정에서 태양에 20배가 되는 질량을 항성풍으로 주변에 방출한다. 울프-레이에 별에 의해 생긴 성운은 카시오페아 자리의 NGC 7635, 큰개자리의 NGC 2359가 있다.
- 촬영자 : 신 병 석
- 촬영장소 : 전북 장수 무령고개
- 촬영일시(시간) : 2006년 5월 8일 새벽
- 망 원 경 : Takahashi FS 60C w/ Sky 90 Flattner
- 마 운 트 : Takahashi EM 200 Temma 2 Jr
- 카 메 라 : SBIG 6303E Class 1(냉각 CCD카메라, -25도 냉각)
- 노출정보 : H-alpha image 15분 노출 x 5장 ( 1x1 binning )
- 이미지처리 : Maxim DL에서 align, combine(median 합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