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명칭 : IC 342
- 별자리 : 기린자리(Camelopardalis)
- 적경(R.A.) : 03h 46m 49s
- 적위(Dec) : 68° 05' 47"
- 은경(l) : 138° 10' 12"
- 은위(b) : 10° 34' 48"
- 겉보기등급 : 9.1
- 겉보기크기 : 21’.4 x 20’.9 (arc min)
- 분류 : 나선은하(Sc)
- 거리 : 1000만 ~ 1400만 광년

○ 위 사진은 나선은하 IC 342로 데닝(W. F. Denning)이 1895년에 처음 발견하였다. 우주팽창론을 주장한 에드윈 허블(Edwin P. Hubble)은 이 은하가가 국부은하군에 속해 있을 것으로 생각하였으나, 많은 관측결과에 의해 실제로는 허블의 생각보다 훨씬 멀리 떨어져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위 사진처럼 IC 342는 정면에서본은하(face-on galaxy)로 아름다운 나선팔에는 수많은 성단과 성운이 띠를 이루고 있다. 은하 전면에는 우리은하에 속한 수많은 별들이 있다.
○ 이 천체는 우리은하 적도면 근처에 위치하여(은위 b=+10.58°), 우리은하의 성간먼지에 가려져 더 어둡게 보인다(연구에 의하면 약 2.4등급 정도 실제등급보다 어둡게 보인다고 한다). 그렇지 않았다면 하늘에서 더 밝게 보이고, 발견시기도 많이 앞당겨졌을 것이다. 이러한 위치적 특성은 이 은하의 밝기는 물론 거리, 겉보기 크기, 질량, 회전속도 등의 물리량을 결정하기 어렵게 만들고 있다.
○ IC 342는 타원은하 Maffei 1과 함께 많은 왜소은하(dwarf galaxy)들과 집단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위 ‘IC 342 군’, ‘Maffei 군’ 또는 ‘IC 342/Maffei 군’이라 불리는데, 이 은하군은 국부은하군과 중력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어 국부은하군의 진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 촬 영 자 : 황 인 준
- 촬영일시 : 2006년 9월 24일
- 촬영장소 : 강원도 횡성군 천문인마을 나다 제 1 천문대
- 망 원 경 : ADT Kastron 380DS w/ Astrooptics 3" Wynne Corrector
- 마 운 트 : AP EQ1200 GTO
- 카 메 라 : ST-10XE w/ CFW-10(-20)
- 노출정보 : L필터[400초(1x1) x 7], RGB필터[각 400초(2x2) x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