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명칭 : IC 2118, 마귀할멈성운(witch-head nebula)
- 별자리 : 에리다누스자리(Eridanus)
- 적경(R.A.) : 5h 2m 00s
- 적위(Dec) : -7° 63' 00"
- 겉보기크기 : 60' x 160'(각분)
- 분류 : 반사성운(reflection nebula)
- 거리 : 680 광년

○ 위의 사진은 물 끓는 주전자에서 나오는 증기나 밥 짓는 가마솥을 살짝 열었을 때 피어오르는 허연 김(steam)과 같은 모양을 하고 있는 성운이다. 이 성운은 IC 2118로서 그 모습이 동화 속 '마귀할멈의 옆얼굴'처럼 퀭한 눈, 매부리코, 주걱턱 모양이 그럴듯하게 보이기 때문에 마귀할멈성운(witch-head nebula)라고 부르기도 한다.
○ 마귀할멈이 쳐다보는 쪽에는 오리온자리 베타별인 리겔(Rigel)이 있고, 이 그림의 아래에는 에리다누스자리 베타별 쿠르사(Cursa)가 있지만 위 사진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IC 2118은 오리온자리의 초거대 별들이 내는 항성풍이 서로 만나는 영역에 자리잡고 있어 별탄생 지역이기도 하다.
○ IC 2118은 1등성인 푸른별 리겔(오리온의 발)이 내는 빛을 반사하여 그 모습을 발하는 반사성운이다. IC 2118과 같은 반사성운은 성운의 미세먼지들이 붉은빛보다 푸른빛을 잘 반사하기 때문에 비교적 푸른색을 많이 띤다. 그리고 IC 2118은 별빛에 가열된 가스들이 내는 붉은 기운도 함께 어울러져 있다.
- 촬 영 자 : 김 일 순
- 촬영일시 : 2006년 12월 18일, 2006년 12월 25일
- 촬영장소 : 강원도 횡성군 강림면 천문인마을 NADA 제1천문대
- 망 원 경 : Canon FD 300mm F2.8 -> F4
- 마 운 트 : NJP Temma2
- 카 메 라 : ST-10XME w/ CFW-8A(-30)
- 노출정보 : L필터[400초x42장(1x1)], RGB필터[각 400초x6장씩(2x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