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측천체 : 태양(+달)
- 시작시각 : 2007년 3월 19일 10시 48분(KST, 서울기준)
- 종료시각 : 2007년 3월 19일 12시 16분(KST, 서울기준)
- 총 일식진행시간 : 1시간 28분 (서울기준)
- 최대 식심시각 : 11시 31분(KST, 서울기준)
- 최대 식분 : 0.195 (서울기준)

○ 위 사진은 지난 3월 19일에 있었던 부분일식을 약 2~3분 간격으로 연속 촬영한 것이다. 이번 부분일식은 서울기준으로 10시 48분에 시작하여 약 88분 후인 12시 16분에 종료되었다. 11시 31분에는 달이 태양을 최대(10.2%)로 가렸다. 이번 부분일식은 우리나라 전역에서 관측이 가능하였다.
○ 일식은 해-달-지구가 일직선으로 놓일 때 달에 의해 해가 가려지는 현상이다. 달이 해의 전부를 가리면 개기일식이라고 하고, 일부만 가리면 부분일식이라고 한다.
○ 일반적으로 맨눈으로 일식을 관측하기 위해서는 태양 빛을 감소시키는 일식 안경이나 필름 등 사용해야 하며, 소형망원경이나 쌍안경을 사용해 반드시 태양필터를 사용하여 눈을 보호해야 한다. 구름이 엷게 끼인 날씨일 경우는 맨눈으로 일식을 관측할 수 있다. 과거에는 자수정을 통해 태양을 보거나, 벼루에 먹을 갈아 그 위에 태양을 담아 일식을 관측하였다고 한다.
○ 앞으로 우리나라에서 관측할 수 있는 일식은 2035년 9월 2일(오전 9시 40분, 평양지역 통과)의 개기일식과 2041년 10월 25일(9시, 원산지역 통과)의 금환일식이 예측되고 있다. 또한 2009년에는 7월에는 우리나라 내에서는 부분일식으로 보이지 않지만, 배를 타고 남쪽바다로 나가면 개기일식을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촬 영 자 : 이병국
- 촬영일시 : 2007년 3월 19일 10시47-12시22분
- 촬영장소 : 충남 천안시 불당동
- 망 원 경 : FSQ106 Coronado Solamax 60mm + BF 10 blocking filter + 18mm contrast enhanced eyepiece.
- 마 운 트 : Vixen SXW Sphinx
- 카 메 라 : Nikon Coolpix 4500
- 노출정보 : 조리개우선모드 F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