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포토갤러리

[천체사진] NGC 281과 IC 1590 2007-04-23

- 명칭 : 팩맨성운(Pacman Nebula, NGC 281), IC 1590
- 별자리 : 카시오페이아자리(Cassiopeia)
- 적경(R.A.) : 00h 52m 25s
- 적위(Dec) : 56° 33' 54"
- 겉보기크기 : 30' x 35'
- 겉보기등급 : 7.4 등급
- 분류 : NGC 281(발광성운), IC 1590(산개성단)
- 거리 : 약 1만 광년



○ 캐스터네츠를 연상시키는 위의 사진은 발광성운 NGC 281이다. 1980-1990년대 오락실에서 유행하던 아케이드 게임(arcade game) 중에 하나인 팩맨의 모습을 닮았다고 하여 ‘팩맨 성운(Pacman Nebula)’이라 부르기도 한다. 위의 사진은 협대역필터인 Ha(초록색, green), OIII(파랑색, blue), SII(빨강색, red)를 사용하여 촬영하였다.

○ 팩맨성운의 중심에는 불과 수 백만년 전에 탄생한 뜨거운 청색 별들로 구성된 산개성단 IC 1590이 있다. 수 백개의 별로 이루어진 IC 1590의 중심에는 하나의 별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여러개의 별이 중력적으로 강하게 묶여있는 다중성(multiple star system)이 있으며, 이 다중성이 엄청난 양의 항성풍을 내고 있다. 또한 이 산개성단이 내는 빛은 주변의 성간 가스를 이온화시키고, 이 이온화된 성간가스들이 식으면서 빛을 발하고 있다.

○ 팩맨의 입 부근에는 막대모양의 굵은 먼지띠(dust lane)가 있으며, 미래의 별탄생 영역으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위 사진에서 푸른색 팩맨의 볼에는 복 구상체(Bok globule)라는 점박이가 있다. 복 구상체는 1940년대 바트 복(Bart Bok)이 처음 제시하여 이름 붙여졌다. 보통 수 백 광년 크기의 이러한 구상체는 별을 만드는 자궁 역할을 하게 된다.


- 촬 영 자 : 황 인 준
- 촬영일시 : 2006년 12월 29일
- 촬영장소 : 충남 아산 산새들 천문대
- 망 원 경 : 입실론 160
- 마 운 트 : EM 200 Temma PC
- 카 메 라 : ST-10XE w/ CFW-10(-40)
- 노출정보 : Ha, OIII, SII [각 1000초(1x1) x 3]
만족도 조사
콘텐츠 담당부서
콘텐츠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