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포토갤러리

[천체사진] M78 2007-04-30

- 명칭 : M78 (NGC 2068)
- 별자리 : 오리온지리(Orion)
- 적경(R.A.) : 5h 46m 46.7s
- 적위(Dec) : 0° 0' 50"
- 겉보기등급 : 8.3 등급
- 겉보기크기 : 8' x 6'
- 분류 : 반사성운(reflection nebula)
- 거리 : 1,600 광년



○ 기나긴 동굴여행을 마치고 날 밝은 밖으로 나서기 직전에 입구의 풍경처럼 보이는 위의 사진은 오리온자리에 있는 M78 반사성운(가운데 푸른색)이다. 그리고 왼쪽 아래의 반사성운이 NGC 2071이다. M78은 1780년 피에르 메생(Pierre Méchain)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고, 같은 해 샤를 메시에는 자신의 목록에 이 천체를 등록하였다. 1919년에는 로웰천문대의 베스토 슬리퍼(Vesto M. Slipher)에 의해서 반사성운임이 밝혀졌다.

○ M78은 성간먼지 구름으로 별 빛의 푸른색을 반사하여 위의 사진처럼 보인다. 또한 M78에는 45개의 질량이 작은 황소자리 T형 변광성(T Tauri Variable)이 발견되었다. 황소자리 T형 변광성은 밀도가 높은 성간가스 내에 존재하는 별(전주계열성, pre-main sequence)로서, 머지않아 주변의 가스를 날려버리고 태양과 같은 주계열성(main sequence)이 된다.

○ M78이 위치한 오리온자리는 겨울철 대표적인 별자리로 우리은하(은하수) 원반의 바깥 부분에 위치한다. 우리은하 밀도파의 영향으로 나선팔에 성간물질이 집중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성운들이 형성되어 오리온 복합체(Orion complex)를 이루게 하고 있다. 오리온의 칼과 벨트(삼태성) 주변에 있는 오리온 복합체(Orion complex)는 M42, M43을 중심으로 많은 성운들이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 촬 영 자 : 박 정 용
- 촬영일시 : 2007년 2월 19일
- 촬영장소 : 충청남도 태안군 대부도 대남초교
- 망 원 경 : SMC 12"(300mm Newtonian, f4)
- 마 운 트 : EQ 1200 GTO
- 카 메 라 : SBIG 2000XM(-30도)
- 노출정보 : L필터[63분(1x1)], RGB필터[각 21분(2x2)]
만족도 조사
콘텐츠 담당부서
콘텐츠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