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명칭 : 머리털자리은하단(Coma Cluster), Abell 1656
- 별자리 : 머리털자리(Coma Berenices)
- 적경(R.A.) : 12h 59m 48.7s
- 적위(Dec) : +27° 58' 50"
- 겉보기등급 : 13.5등급
- 분류 : 은하단 (Galaxy Cluster)
- 거리 : 3억 광년

○ 위 사진을 확대하여 보면, 수많은 점상(point-source)의 별, 십자형 회절상(defraction pattern)으로 보이는 밝은 별과 그리고 부옇게 퍼진 천체(extended source)들이 보인다. 점상의 별과 회절상의 별은 우리은하 내에 있는 천체이지만, 나머지는 모두 외부은하이다. 이렇게 수많은 은하들이 모여 있는 위 사진은 머리털자리 은하단(Coma Cluster), Abell 1656이다.
○ 미국의 천문학자 조지 오젠 아벨(George Ogden Abell, 1927-1983)이 만든 아벨 목록(Abell catalogue)은 적색편이가 약 0.2가 되는 은하단을 모은 것으로, 머리털자리 은하단은 이 목록에 등록되어 있다.
○ 머리털자리 은하단은 약 1000개 이상의 은하들이 모여 있으며, 대부분은 타원은하이지만 밖으로 갈수록 나선은하들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위 사진 가운데에 가로로 있는 두개의 밝은 천체는 NGC 4874(왼쪽)과 NGC 4889(오른쪽)로 우리은하보다 훨씬 큰 초거대타원은하(supergiant elliptical galaxy)이다. 그리고 이들 천체의 왼쪽아래에 밝은 타원은하가 보이는데 각각 NGC 4921, NGC 4911이다(NGC 4921이 NGC 4911보다 더 크게 보인다).
○ 머리털자리 은하단에는 위 사진에서 보이지 않는 은하단물질(intracluster gas)이 있다. 이 은하단물질은 은하단 전체를 감싸고 있는 뜨겁고 이온화된 가스덩어리로서 머리털자리 은하단의 모든 은하를 합친 질량보다 더 많은 질량을 차지하고 있을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뜨겁고 이온화된 가스덩어리에서는 X선을 방출하는데, 찬드라-X 우주망원경이 찍은 머리털자리 은하단의 영상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 이 은하단의 은하단물질은 전파를 방출하기도 한다. 이 전파는 마이크로파(microwave) 영역으로 우주배경복사가 변질된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천문학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선야예프-젤도비치 효과(Sunyaev-Zel'dovich effect, SZ effect)라고 부른다. 선야예프-젤도비치 효과는 우주배경복사(cosmic microwave background radiation)가 고에너지 입자(주로 전자)에 의해 산란되며 에너지를 얻는 현상으로, 역콤프톤 산란(inverse Compton scattering)의 한 예이다.
* 아벨의 은하단 목록에는 총 4,073개의 은하단이 수록되어 있다. 1958년 아벨에 의해 발표된 이 목록은 북반구의 2,712개의 은하단이 수록되었고, 아벨 사후인 1987년에 동료인 코윈(Harold G. Corwin)과 올로윈(Ronald P. Olowin)이 남반구의 1,361개의 은하단을 추가하였다.
- 촬 영 자 : 이 건 호
- 촬영일시 : 2007년 2월 23일
- 촬영장소 : 강원도 횡성군 덕초현 천문인마을 원격천문대
- 망 원 경 : KASTRON 12.5" DS F4.5
- 마 운 트 : EQ1200GTO
- 카 메 라 : SBIG STL-11000M
- 노출시간 : L[10분x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