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포토갤러리

[천체사진] 초승달 성운(NGC 6888) 2007-07-16

- 명칭 : NGC 6888, 초승달 성운(Crescent Nebula)
- 별자리 : 백조자리(Cygnus)
- 적경(R.A.) : 20h 12m 07s
- 적위(Dec) : 38° 21' 18"
- 겉보기크기 : 18' x 13' (arc minutes)
- 분류 : 성간 가스운(interplanetary gas cloud)
- 거리 : 5,000 광년



○ 위의 사진에서 천해 산호 속을 헤엄치고 있는 한 마리의 가오리처럼 보이는 천체가 초승달 성운이라고 불리는 NGC 6888이다.

○ 25만 년 전에 형성된 초승달 성운은 게성운(M1)처럼 초신성 잔해물(supernova remnant) 같아 보이지만, 실제로는 7.4 등급의 울프-레이에 별(Wolf-Rayet star)이 내뿜는 항성풍에 의해 생긴 특이한 성간가스 성운이다. 이 성운의 중심에 있는 울프-레이에 별(HD 192163, WR 136)은 현재도 많은 양의 항성풍을 일으키고 있다. 또한 위 그림의 초승달 성운에서 위쪽 밝은 부분에는 밀집성(중성자 별)이 있는데, 울프-레이에 별이 내는 항성풍이 이것에 부딪쳐 X-선을 발생시킨다.

* 울프-레이에 별은 태양보다 20배와 8배 큰 두 별이 서로 근접하여 있는 중량급 근접쌍성계로서, 두 별이 서로 질량을 주고받으면서 진화한다. 이 과정에서 태양에 20배가 되는 질량을 항성풍으로 주변에 방출한다. 울프-레이에 별에 의해 생긴 성운은 카시오페아 자리의 NGC 7635, 큰개자리의 NGC 2359가 있다.

- 촬 영 자 : 김 일 순
- 촬영일시 : 2007년 6월 17일
- 촬영장소 : 강원도 횡성군 강림면 월현리 NADA 제1천문대
- 망 원 경 : 12인치(F/4) 뉴토니언
- 마 운 트 : NJP Temma2
- 카 메 라 : ST-10XME w/CFW-8A(-20)
- 노출정보 : Hα필터[1200초x4장(1x1)], RGB필터[각 300초x3장씩(1x1)
만족도 조사
콘텐츠 담당부서
콘텐츠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