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포토갤러리

[천체사진] 태아성운 2007-09-17

- 명칭 : IC 1848(Sh2-199), 태아 성운(embryo nebula)
- 별자리 : 카시오페이아자리(Cassiopeia)
- 적경(R.A.) : 20h 49m 21s
- 적위(Dec) : +60° 38' 03"
- 겉보기등급 : 6.5등급
- 겉보기크기 : 60'(or 120')
- 분류 : 발광성운(emission nebula)
- 거리 : 6,000 광년



○ 위 사진은 카시오페이아자리의 동쪽에 위치한 IC 1848이다. 커다란 머리와 통통한 몸통이 엄마 뱃속에 잠들어 있는 태아의 모습을 닮아 태아성운(Embryo Nebula)이라 부른다. IC 1848은 엄밀하게 말하면, 태아내부에 존재하는 산개성단을 말하는 것이지만, 보통은 이 성단과 주변의 성운(IC 1848A) 모두를 가리킨다. 그러나 IC 1848의 모습은 상상하기에 따라 아기코끼리 같기도 하고, 코뿔소 같기도 하며, 어찌 보면 돼지나 곰 같기도 하다.

○ 이 성운을 소울성운(Soul Nebula)으로 부르기도 한다. 위 사진에는 보이지 않지만, 이 성운의 2.5° 서쪽에 있는 IC 1805(하트성운, Heart Nebula)와 더불어 카시오페이아 이중성운(Double Nebula, Soul과 Heart)이라고 일컫기도 하는데, 이는 이 두 성운과 약 5° 정도 거리에 있는 페르세우스자리의 이중성단에 빗대어 부르는 이름이다.

○ 태아성운은 전체적으로 붉은 빛을 띠고 있는데, 그 이유는 성단의 젊고 뜨거운 별들이 내뿜는 자외선에 의해 성단 주변의 수소가스들이 붉은 빛(수소방출선=H-alpha)으로 발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 성운의 생긴 모습이 탄생을 상징하듯 이 성운에서는 새로운 별이 많이 탄생하고 있다

○ 태아성운의 오른쪽에 독립적으로 있는 작은 성운은 IC 1871이다.

- 촬 영 자 : 고 창 균
- 촬영일시 : 2007. 8. 22(수)
- 촬영장소 : 강원도 화천군 별만세 관측소
- 망 원 경 : Pentax 125SDP (+reduser F4.9)
- 마 운 트 : NJP Temma pc
- 카 메 라 : STL11000M/C2 (+ Astrodon Tru-Balance Ha, LRGB Filters)
- 노출정보 : Ha필터[15분x5장(1x1)], RGB필터[각 5분x3장(2x2)]
만족도 조사
콘텐츠 담당부서
콘텐츠 만족도